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15:17:41

플랫라인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20250611_115849.jpg
코믹스 작가 알렉스 밀른이 그린 플랫라인
플랫라인
Flatline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군용 구급 차량
소속 디셉티콘

1. 개요2. 특징3. 작중 행적
3.1. IDW 코믹스
3.1.1. 20053.1.2. 2019
4. 완구5. 기타6. 외부 링크

1. 개요

트랜스포머 제너레이션 1에 등장하는 디셉티콘 소속 트랜스포머다.

2. 특징

의술에 뛰어난 메딕으로, 손상된 부품을 교체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신체를 제작하는 데 능숙하다. 명목상으로는 디셉티콘이지만, 의료 선서를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이며 자신에게 맡겨진 환자가 디셉티콘이든 오토봇이든, 그 외 누구든 상관없이 치료한다.

3. 작중 행적

3.1. IDW 코믹스

3.1.1. 2005

파일:1749520685.jpg파일:RID20_Flatline.jpg
디셉티콘 소속이지만 직접적인 전투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고, 의무병/외과의사 역할에 집중한다.

첫 등장은 [Robots in Disguise] 시리즈이다. 중립도시 아이아콘에서 픽싯과 함께 부상자들을 치료하며 활동한다. 전투가 잦아지는 시기에는 메가트론, 스타스크림, 슈페리온, 알시 등 다양한 트랜스포머들의 부상 치료를 담당하게 된다. 전투 현장에서 블러전의 폭주로 부상을 당하고, 치료 중 거의 살해당할 뻔했으나 가까스로 생존하게 된다.

이후 사이버트론의 정치적 혼란기에도 남아 부상자 치료와 의학적 조언을 계속 제공한다. 끝까지 자신의 본분(치료)을 지키는 인물로 묘사되며, 다수 팬들 사이에서 “디셉티콘임에도 존경할 수 있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3.1.2. 2019

파일:800px-DarknessOnceGazedUponPart3_FlatlineExarchon.jpg
여기서는 디셉티콘이 아닌, 중립 또는 공공 의료진으로 등장한다.

[Transformers (2019)] 본편에서 활약하며, 부상자 진료 및 병원 운영에 주력을 다한다. 사이드스와이프, 쇼크웨이브, 퀘이크 등 중상자들을 치료하며, 항상 의료 윤리를 지키는 냉정하고 논리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라이즈의 활동이 거세질 무렵에는 호이스트와도 협력한다.

이후 엑사콘과의 갈등에 휘말리며, 러커스 등과 함께 그 몸이 엑사콘의 스파크를 보관할 용도로 납치당하고, 최후에는 자신의 스파크 저장소가 무단으로 활용되고, 방사선에 의해 사망하고 만다.

4. 완구

4.1. 에이지 오브 더 프라임

  • 보이저 클래스 플랫라인
    파일:Picsart_25-06-10_16-58-22-385.jpg
    웨이브 1으로 발매된 레드 얼럿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이며, 플랫라인의 첫 완구화. 추가 액세서리가 동봉된다. 여담으로 이름의 뜻[1]과는 다르게 비클 모드 옆을 보면 심박수 무늬가 있다.

5. 기타

  • 원래 플랫라인은 패자의 역습 코믹스에 등장한 캐릭터를 각색한 버전이다. 거기서는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라기보다는 전장 속에서 실험하고 조작하는 '과학자형 외과의'로, 디셉티콘의 도구가 된 차가운 실험자로 등장한다.
  • 디자인을 자세히 보면 30주년 기념으로 출시된 트레일브레이커 완구의 디자인이랑 비슷한데, 이는 [Robots in Disguise] 시리즈의 아트를 맏았던 앤드류 그리피스가 플랫라인을 30주년 기념으로 출시된 디럭스 클래스 트레일커터[2] 완구를 기반으로 한 버추얼 리툴[3]을 해서 디자인했기 때문이다.
  • 명목상 디셉티콘에 들어간 것을 표현한 것인지 플랫라인의 몸체를 보면 디셉티콘 휘장이 그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완구에서는 디셉티콘 휘장을 제대로 달고 있다.

6. 외부 링크


[1] 심정지를 뜻한다.[2] 당시 트레일브레이커의 상표권 문제 때문에 트레일브레이커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없어서 이름을 트레일커터로 변경하였다.[3] 실제 금형 변경 없이 캐릭터 디자인이나 설정을 다르게 해 동일한 완구를 다른 캐릭터처럼 보이게 만든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