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02:09:52

프랭크 로젠블랫

<colbgcolor=#262633><colcolor=#fff> 프랭크 로젠블랫
Frank Rosenblatt
파일:frank rosenblatt.jpg
이름 프랑크 로젠블랫
Frank Rosenblatt
출생 1928년 7월 11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뉴욕 뉴로셸
사망 1971년 7월 11일 (향년 43세)
미국 체서피크 만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심리학자, 인지과학자, 교수
학력 코넬 대학교 박사

1. 개요2. 생애3. 업적
3.1. 퍼셉트론


1. 개요

프랭크 로젠블랫(Frank Rosenblatt)은 미국 심리학자이자 인공지능 연구자이다. 로젠블랫은 퍼셉트론(perceptron) 개념을 최초로 제안하고 구현한 인물로, 퍼셉트론이 최초의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인만큼 인공 신경망이라는 개념을 처음 세상에 탄생시킨, 인공 신경망의 아버지 격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로젠블랫의 연구는 현대 인공 신경망 딥러닝 기술 발전의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으며 알파고, ChatGPT 등 현대의 유명한 AI모델들도 거슬러 올라가면 로젠블랫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2. 생애

1928년 미국 뉴욕 뉴로셸에서 태어났다 코넬 대학교에서 심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56년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코넬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과 신경생물학 분야 연구에 매진했다. 로젠블랫의 본래 전공은 심리학이었으나 결과적으로는 컴퓨터 과학과 인공지능 분야에 더 큰 발자취를 남겼다. 로젠블랫은 특히 뇌 작동 방식과 기계 학습 모델을 연결하는 방법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연구를 이어나갔으나 안타깝게도 1971년 43세 생일에 체서피크 만에서 보트 사고로 비교적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로젠블랫의 인공지능 인공 신경망 연구 역사에서 매우 아쉬운 부분으로 꼽힌다.[1]

3. 업적

3.1. 퍼셉트론

로젠블랫의 가장 기념비적인 업적으로는 단연 퍼셉트론(perceptron)의 개발을 꼽을 수있다 1957년 처음 그 개념을 발표했고, 미해군 연구소(U.S. Office of Naval Research)의 지원을 받아 1958년에는 IBM 704를 활용해 소프트웨어로 구현했다. 로젠블랫은 퍼셉트론의 창안자였을 뿐 아니라 자신이 만든 퍼셉트론에 대한 애정도 남달랐다. 그는 심지어 '마크 원 퍼셉트론[2]'이라는 하드웨어 기기를 직접 제작하기까지 했다.

퍼셉트론은 인간 뇌 신경 세포 뉴런의 정보 처리 과정을 모방한 초기 인공 신경망 모델이다 입력 신호들에 각각 가중치를 곱하고 그 합이 특정 임계값을 넘으면 1 그렇지 않으면 0을 출력하는 단순한 구조다. 퍼셉트론의 등장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다. 기계가 스스로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고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퍼셉트론의 제작과 연구를 후원하던 미해군은 퍼셉트론 시연 당시 이 기술이 사진 속 적군과 아군을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을 것으로 크게 기대했다고 한다. 로젠블랫은 자신의 연구를 집대성하여 1962년에는 신경동역학의 원리 라는 책을 출판했다. 이 책은 신경망 분야의 고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퍼셉트론은 발표 초기 엄청난 관심과 기대를 모았다 심지어 스스로 학습하고 생각하는 기계가 곧 등장할 것이라는 성급한 예측까지 나왔다. 하지만 퍼셉트론은 명확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XOR 문제같은 선형 분리가 불가능한 문제를 단층 퍼셉트론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를 지적한 것이 1969년 MIT 마빈 민스키와 시모어 페퍼트가 출간한 퍼셉트론이었다. 이 책은 퍼셉트론의 한계를 수학적으로 증명했으며 로젠블랫의 연구뿐 아니라 인공 신경망 연구 전반에 대한 회의론을 확산시켰다. 이 책은 연구 자금 지원이 끊기고 관련 연구가 침체되는 이른바 첫 번째 인공지능 겨울이 찾아오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민스키와 페퍼트의 비판은 단층 퍼셉트론에 국한된 것이었지만 당시에는 이게 신경망 전체의 한계처럼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었다. 로젠블랫 본인도 다층 퍼셉트론의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고 여러가지 디자인을 스스로 제안했으나 로젠블랫이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음으로써 관련 연구는 더 진전되지 못했다. 로젠블랫 사후 인공 신경망의 연구는 한동안 침체기를 겪었지만 퍼셉트론이라는 아이디어 자체는 사라지지 않았다. 이후 제프리 힌튼 등에 의해 다층 퍼셉트론과 역전파 알고리즘 등이 개발되면서 신경망 연구는 부활했다 현대 딥러닝 혁명의 씨앗은 결국 로젠블랫이 뿌린 셈이다.


[1] 혹자는 그가 조금만 더 오래 연구 활동을 지속했다면 인공지능 겨울이 짧아졌거나 다른 방향으로 연구가 계속 진행되었을 것이라고 가정하기도 한다[2] 400개의 광수용기(photocell) 배열을 입력으로 사용해 간단한 시각 패턴을 인식하도록 설계되었다. 시각 패턴이라고는 하지만 복잡한 그림이나 도형은 아니었고, 주로 글자 인식에 활용되었다. 마크 원 퍼셉트론은 비록 처리능력은 제한적이었지만 가중치를 조절하며 학습하는 능력을 보여주었고 기계 학습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기념비적인 장치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