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8 22:52:17

푸른우산관해파리

푸른우산관해파리
파일:Porpita porpita.jpg
<colbgcolor=#f93,#620> 학명 Porpita porpita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Animalia
자포동물문Cnidaria
히드라충강Hydrozoa
꽃민컵히드라충목Anthoathecata
푸른우산관해파리과Porpitidae
푸른우산관해파리속Porpita
푸른우산관해파리P. porpita
언어별 명칭
한국어 푸른우산관해파리
영어 Blue Button
일본어 ギンカクラゲ

1. 개요2. 상세3. 인간과의 관계
3.1. 위험성3.2. 대량 발생
4. 다른 생물과의 관계5. 여담


1. 개요

꽃해파리목Anthoathecata 푸른우산관해파리과Porpitidae에 속하는 자포동물의 일종.

2. 상세

크기는 직경 3cm 내외로 작은 편이며, 고깔해파리처럼 생식개충, 영양개충 등 여러 개의 폴립들이 모여 하나의 군체를 구성한다. 부유기는 금빛이 도는 갈색이며, 산연돌기나 촉수 등의 개충은 살아있을 때 짙은 푸른색을 띈다. 산연촉수는 부유기 아래에 여러 개의 고리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 #
우산은 얇고 납작한 모양이며, 몸이 대부분 수분으로 이뤄진 다른 해파리들과는 다르게 우산이 키틴질로 되어있다. 이 덕분에 죽고 나서도 흔적없이 사라지지 않고, 키틴질의 외골격이 남는다. #

수온이 따뜻한 해역에서 서식하며, 주로 바다의 표층에서 해류와 바람에 의존하여 표류한다. 주된 먹이는 요각류갑각류 유충 등이다.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지중해, 아라비아해 동부에 달하는 바다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주로 경상북도 등 남해안에 분포하며, 7~8월 즈음에 출현한다. #

3. 인간과의 관계

3.1. 위험성

상술하였듯, 이 종은 약한 독을 가지고 있어 안전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경제적/생태적/학술적 가치 또한 높지 않은 종이다. 그나마 노무라입깃해파리Nemopilema nomurai와는 다르게 수산업에 딱히 피해를 끼치지도 않고 독도 약한 편이라, 유해성은 비교적 떨어지는 편이다. #
하지만, 아무리 약독성이라고 해도 접촉성 피부염이나 과민성 쇼크을 유발할 위험은 여전히 남아있고, 어린아이나 노약자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 또한, 언뜻 보았을 때 맹독성 해파리인 고깔해파리Physalia physalis와 외형이 유사하여 혼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한다. #

즉, 하술할 대량 발생 등을 계기로 접할 기회가 있더라도 절대 함부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만약 이미 쏘였다면 민간요법에 의지하지 말고 정확한 응급처치를 실시해야 한다.

3.2. 대량 발생

2025년 7월 말에 제주도 등지에서 대량발생하여 상당한 이슈가 되었다. 출현율이 0.3%이던 5월에 비해 7월 24일 기준 0.7%로 늘어났으며, 고밀도 출현 해역은 제주도 전역 (제주시, 서귀포시)이라고 한다. 이는 2~3년만의 일로, 노무라입깃해파리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와는 달리 비정기적으로 대량발생한다. 아직 국내 해역에 정착하여 번식하는 수준까지는 아니고, 해류나 바람 등에 밀려서 유입되는 것이라고 한다. #

대량 발생으로 인해 일부 해수욕장 출입이 통제되는 것은 물론, 외형이 마치 곰팡이처럼 생긴 탓에, 관광객들에게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등 관광 산업 등에 피해를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와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등의 관련 기관들이 수거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소방당국과 국립수산과학원 등에서 주의를 당부하였다. # #

4. 다른 생물과의 관계

  • 푸른갯민숭달팽이Glaucus atlanticus, 보라고둥속Janthina 생물 등의 먹이가 된다. #
  • 말라바르전갱이Carangoides malabaricus라는 전갱이과 물고기가 푸른우산관해파리와 공생을 한다. 해당 물고기는 어릴 때 푸른우산관해파리 밑에 숨는 습성을 통해 생존성을 높인다. [1] 이 때 물고기를 숙주로부터 분리하면 패닉에 빠지며, 다시 합사하면 원래 짝에게 돌아간다고 한다. #

5. 여담

  • 고깔해파리와 마찬가지로, ‘해파리’라는 이름과 다르게 실제로는 히드라충강에 속하는 히드라의 일종이다.
  • 상술하였듯, 특유의 짙은 파란 색상과 곰팡이처럼 보이는 외형 탓에 ‘곰팡이 해파리’라는 별명으로도 불리고 있다고 한다. #
  • 같은 과의 근연종으로 벨렐라(돛배관해파리)가 있다. 촉수부를 비롯한 각 개충의 역할과 배치는 푸른우산관해파리와 같고, 부양을 위한 우산부가 타원형이며 윗부분으로 돛 처럼 반원형 조직이 있다. 그리고 푸른우산관해파리보다 독성이 강하다.
파일:external/i1.ruliweb.daumcdn.net/553CA4233B54D60006?.jpg파일:external/i1.ruliweb.daumcdn.net/553CA41735080F0023?.jpg

[1] 즉, 편리공생의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