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16 11:14:55

폼페이우스 트로구스

이름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트로구스
(Gnaeus Pompeius Trogus)
출생 미상
사망 미상
직업 생물학자, 역사가
대표작 자연사, 필리포스 역사 등

1. 개요2. 생애3. 작품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의 생물학자, 역사가. 동식물의 생태를 다룬 '자연사'와 마케도니아 왕국을 주요 테마로 삼아 지중해 세계의 전반적인 역사를 다룬 <필리포스 역사>를 지었다. 원본은 현존하지 않으나, '자연사'는 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 부분 인용되었고, <필리포스 역사>는 유스티누스의 요약본으로 전해진다.

2. 생애

<필리포스 역사> 43권 말미에 저자의 신분과 가족관계가 적혀 있다. 조상은 이탈리아의 여러 부족 중 하나인 보콘티족을 기원으로 하며, 할아버지 트로구스 폼페이우스는 폼페이우스 휘하 기병대 장교로서 퀸투스 세르토리우스와의 세르토리우스 전쟁에 참전해 로마 시민권을 획득하고 폼페이우스의 이름을 썼다. 삼촌 역시 폼페이우스 휘하 기병대 장교로서 미트리다테스 6세와의 전쟁에 참전했다. 이렇듯 그의 집안은 대대로 폼페이우스의 클리엔테스로서 활동했으나, 아버지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에서 군복무를 했으며, 이후에는 카이사르의 개인 비서가 되었다. 그는 이 덕분에 아우구스투스의 치세 때 나름대로 잘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20년 파르티아카르헤 전투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동방 원정 때 노획한 로마 군기를 되돌려준 것을 끝으로 서술이 끝나는 것을 볼 때, 그는 그 즈음까지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3. 작품

트로구스의 역사서 <필리포스 역사(Historiae Philipicae)>를 요약 정리한 유스티누스에 따르면, 필리포스 역사는 총 44권에 달했다고 한다. 이 저서는 바빌론의 고대 사건부터 저자의 시대까지를 아우르는 세계사다. 명목상의 주제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기원, 발전, 쇠퇴, 소멸이지만, 실제로는 지중해 세계 전반의 역사를 총괄하였다. 각 권의 대략적인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권: 다리우스 1세까지의 아시리아인, 메디아인, 페르시아인의 역사
제2권: 이집트, 스키타이, 아마존, 크세르크세스 1세가 죽을 때까지 아테네의 초기 역사
제3권: 도리아인, 스파르타의 역사
제3~5권: 펠로폰네소스 전쟁키루스 대왕의 원정
제6권: 기원전 4세기 필리포스 2세까지의 그리스 역사
제7권: 필리포스 2세까지의 마케도니아 역사
제7~9권: 필리포스 2세
제10권: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에서 다리우스 3세까지 페르시아의 역사
제11~12권: 알렉산드로스 3세
제13~17권: 코루페디움 전투까지의 디아도코이 전쟁
제17~18 및 25권: 피로스 전쟁
제18~22권: 고대 카르타고의 역사
제19~23권:시칠리아의 참주
제24~26 및 28~29권: 안티고노스 왕조와 그리스의 역사
제26~27 및 30~32권: 셀레우코스 제국
제31~34권: 마케도니아 전쟁과 아카이아 전쟁
제34~36권: 셀레우코스 제국과 기원전 2세기 중반의 동방
제37~38권: 미트리다테스 6세
제39~40권: 셀레우코스 왕조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쇠퇴
제41~42권: 기원전 20년까지 파르티아의 역사
제43~44권: 로마가 지중해를 정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략한 기록, 마르세유, 스페인, 카르타고의 역사

그는 이 저서에서 가이우스 살루스티우스 크리스푸스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의 수사학적 서술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봤다. 그는 역사적 인물이 저자가 지어낸 연설을 직접적으로 밝히는 식의 저술을 진실을 왜곡하는 짓이라고 여기고 지양하였으며,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기에서 사용한 담백하고 '객관화된' 문체를 선호했다. 한편, 로마의 팽창 과정에 대해 지극히 간략하게 다루기만 했고, 로마에 맞서 싸운 피로스 1세, 한니발 바르카, 필리포스 5세, 미트리다테스 6세를 중요하게 다룬 것을 볼 때, 로마의 패권 정책에 개인적으로 반감을 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헬레니즘 시대의 뒤리데스와 필라르코, 쿠마의 에포로스, 폴리비오스, 아파메아의 포시도니오스, 키오스의 테오폼포스, 반로마적 입장을 견지한 것으로 유명한 동시대의 티마게네스의 저서들을 참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원본은 현존하지 않으나, 유스티누스에 의해 요약 정리된 필사본이 중세 수도자들에 의해 200여 권으로 옮겨 적히면서 부분적이나마 전해지고 있다.

트로구스는 이와 별도로 동식물의 생태에 관한 <자연사(De animalibus)>를 집필했다. 이 책 역시 현존하지 않으나, 대 플리니우스가 이 책을 부분 인용하여 <박물지>에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