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 기원전 509년 | 기원전 509년 보결 | 기원전 509년 보결 | 기원전 508년 | 기원전 507년 |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 스푸리우스 루크레티우스 트리키피티누스 | 마르쿠스 호라티우스 풀빌루스 |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Ⅱ |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Ⅲ | |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콜라티누스 |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 티투스 루크레티우스 트리키피티누스 | 마르쿠스 호라티우스 풀빌루스 Ⅱ | ||
기원전 506년 | 기원전 505년 | 기원전 504년 | 기원전 503년 | 기원전 502년 | |
스푸리우스 라르키우스 |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볼루수스 |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Ⅳ | 아그리파 메네니우스 라나투스 | 오피테르 베르기니우스 트리코스투스 | |
티투스 헤르미니우스 아퀼리누스 | 푸블리우스 포스투미우스 투베르투스 | 티투스 루크레티우스 트리키피티누스 Ⅱ | 푸블리우스 포스투미우스 투베르투스 Ⅱ | 스푸리우스 카시우스 베켈리누스 | |
기원전 501년 | |||||
포스투무스 코미니우스 아우룬쿠스 | |||||
티투스 라르키우스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 |
<colbgcolor=#a00201><colcolor=#fbe673> | |
출생 | 생년 미상 |
로마 왕국 로마 | |
사망 | 기원전 486년 |
로마 공화국 로마 | |
재임기간 | 고대 로마 집정관 |
기원전 501년 9월 1일 ~ 기원전 500년 8월 29일 | |
고대 로마 집정관 | |
기원전 493년 9월 1일 ~ 기원전 492년 8월 29일 |
[clearfix]
1. 개요
고대 로마의 집정관.2. 생애
기원전 501년 티투스 라르키우스와 함께 집정관이 되었으나 티투스 라르키우스가 독재관이 되며 첫번째 집정관 임기는 허무하게 끝났다.이후 기원전 493년 스푸리우스 카시우스 베켈리누스와 함께 집정관이 되어 볼스키족과의 전쟁을 치렀다. 그는 처음에 안티움의 군대를 패배시킨 다음 롱굴라와 폴루스카 마을을 점령했다. 그는 코리올리를 포위하고 안티움에서 온 볼스키족의 병력의 공격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코리올라누스[1]의 지휘로 승리를 거두고 코리올리를 점령했다. 또한 인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원전 488년, 로마에서 망명해 볼스키의 군대를 이끌고 돌아와 로마를 포위한 장군 코리올라누스에게 파견된 집정관급 사절 중 한명이었다.
이후 기원전 486년, 동료 집정관이었던 스푸리우스 카시우스 베켈리누스의 농지법 사건에 연루되어 화형당했다.
[1] 기원전 5세기에 살았던 로마의 장군이다. 그는 코리올리 포위전 중 용감한 행동에 따라 이름 "코리올라누스"를 받았다. 코리올리를 점령한 이후 곡물 분배에 대한 주장으로 평민들의 격분을 사 유죄 판결을 받아 로마에서 망명하였고, 볼스키의 군대를 이끌고 로마를 포위했다. 하지만 그의 아내, 어머니, 다른 로마의 여인들의 간청으로 군대를 철수시켜 결국 그 공격은 실패로 돌아갔다. 그 후 그의 운명은 불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