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 20%, #ffffff 80%, #ffffff); color: #00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나키드 왕조 | ||||
<rowcolor=#b59162>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
이나코스 | 포로네우스 | 아피스 | 아르고스 | 크리아수스 | |
<rowcolor=#b59162>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포르바스 | 트리아파스 | 이아소스 | 아게노르 | 크로토포스 | |
<rowcolor=#b59162> 11대 | 12대 | ||||
스테넬로스 | 펠라스구스 | ||||
다나이드 왕조 | 아반시아드 왕조 | ||||
<rowcolor=#b59162> 초대 | 2대 | 초대 | 2대 | 3대 | |
다나오스 | 린케우스 | 아바스 | 아크리시오스 | 메가펜테스 | |
<rowcolor=#b59162>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
아르지오스 | 아낙사고라스 | 알렉토르 | 이피스 | 스테넬로스 | |
<rowcolor=#b59162> 9대 | |||||
실라라보스 | |||||
멜람푸스 왕조 1) | |||||
<rowcolor=#b59162>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
멜람푸스 | 안티파테스 | 오이클레스 | 암피아라오스 | 암필로코스 2세 | |
비아스 왕조 1) | |||||
<rowcolor=#b59162>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
비아스 | 탈레오스 | 아드라스토스 | 디오메데스 | 키아니푸스 | |
펠로이드 왕조 | |||||
<rowcolor=#b59162> 초대 | 2대 | ||||
오레스테스 | 티사메노스 | ||||
1) 가칭임 |
<colcolor=#b59162><colbgcolor=#663333> 아르고스 2대 국왕 포로네우스 Φορωνεύς | Phoroneus | |
부모 | 이나코스 (아버지) 멜리아[1] (어머니) |
형제 | 아이기알레우스 (남동생) 페게우스 (남동생) 이오 (여동생) 필로디케 (누이) |
배우자 | 키나 혹은 케르도[A] 혹은 텔레디케[A] 혹은 페리메데 혹은 페이토 |
자녀 | 아피스 (아들) 카르 (아들)[4] 클리메노스 (아들) 스파르톤(아들) 리르코스(아들) 크토니아(딸) 프티아 (딸)[5] 니오베 (딸)[6] 에우롭스 (서자) 이름 불명 (딸)[7] |
1. 개요
그리스 로마 신화의 등장인물.3천명의 강의 신 포타모이 중 하나이자 아르고스의 창업군주인 이나코스의 아들로, 이오의 오빠이며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아르고스의 2대 왕이 된다.
2. 행적
원시시대에 펠레폰네소스 지방을 다스리던 왕으로, 제우스에게서 이 권리를 하사받았다. 헤라 숭배 신앙과 불 및 대장간의 사용을 도입했다고 전해진다.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포로네우스는 사람들을 공동체로 모이게 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그 이전까지는 가족 단위로 뭉쳐살았으나, 포로네우스의 시대 이후, 공동체, 나라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만들어진 듯하다.
3. 후계자?
포로네우스의 후계자는 아들 아피스가 왕위를 물려받았다는 전승과, 딸 니오베의 아들 아르고스가 왕위를 물려받았다는 전승으로 나뉜다. 다만, 다나오스가 왕위를 차지하기 전까지의 모든 아르고스의 왕들이 아르고스의 후손들이기 때문에, 나무위키에서는 아피스를 3대, 아르고스를 4대 왕으로 서술한다.아르고스의 아버지는 제우스라는 전승과, 포로네우스 자신이라는 전승으로 또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