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1 23:28:10

페로두아 베자

파일:perodua-logo.png
파일:2025 페로두아 베자.png
BEZZA[1]

1. 개요2. 상세 (B300/D63D, 2016~현재)
2.1. 초기형 (2016~2019)2.2. 1차 페이스리프트 (2020~현재)2.3. 파워트레인2.4. 안전성2.5. 판매량 및 수상2.6. 수출 시장에서
3. 참고자료4. 경쟁차량5. 둘러보기

1. 개요

말레이시아의 자동차 제조사인 페로두아에서 2016년에 출시한 A-세그먼트 형태의 소형 세단으로, 페로두아 최초의 세단형 차량 겸 독자 디자인을 적용한 차량이다.[2]

2. 상세 (B300/D63D, 2016~현재)

2.1. 초기형 (2016~2019)

파일:2016 페로두아 베자 전면부.png<nopad> 파일:2016 페로두아 베자 후면부.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6 페로두아 베자 운전석.png
}}}}}}}}} ||
초기형 차량 (2016~2019)

2010년 쿠알리룸푸르에서 열린 모터쇼에서 동명의 콘셉트 카를 통해 먼저 첫 세단 라인업에 대한 암시를 한 후 2013년 버디즈 콘셉트 카를 거쳐 이후 2015년에 회장인 다툭 아미나르 라쉬드의 승인을 받아 2016년 7월 21일에 처음 출시되었고 페로두아 악시아의 후속 차종으로 플랫폼을 공유하였다. 차량의 생산은 말레이시아 슬랑오르의 세렌다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기존에 비해 연비 향상 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정지-시동 공회전 및 회생 제동 기능, 차량 자세 제어 장치(VSC)를 최초로 탑재한 브랜드 내 차량이었다. 차량의 설계는 무함마드 자무렌 무사의 주도로 이루어졌고 자체 디자인 및 스타일링 부서에서 자체적으로 설계했는데, 토요타다이하츠 차량 대신 쉐보레 아베오를 참고하였다. 현지화율을 95%로 늘리고 3억 링깃[3]의 비용을 들인 독자 개발 차량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토요타의 엔진과 다이하츠 기반 플랫폼을 사용해 완전한 기술 독립을 이룬 차량은 아니다. 현대 포니 같은 느낌이라 보면 될 듯.

출시 당시에는 스탠다드 G, 프리미엄 X, 어드밴스의 세 가지 사양이 제공되었으며, 이듬해 4월에는 모든 사양 후면 범퍼에 스커트가 더 깊어진 변화를 거쳤다. 프리미엄 X와 어드밴스 사양은 에어컨 제어 장치에 크롬 플래티넘 장식을 적용받았고, 후자는 기존의 퀼팅이 없는 새로운 가죽 시트가 들어갔다.

2018년 4월, 스탠다드 G 사양은 GX트라(GXtra) 사양으로 대체되었다. 해당 사양에는 측면 스커트와 크롬 도어 핸들이 추가되는 등 키트 향상이 이루어젺다. 또한 새로운 오션 블루(Ocean Blue) 색상도 선택 가능했는데, 기존 1.3L 사양에만 적용되었던 옵션이었다. 대시보드와 멀티미디어 시스템 주변 패널에는 피아노 블랙 색상이 적용되었으며, 멀티미디어 시스템 자체도 블루투스 연결 기능이 추가되었다. 다른 부분에서는 에어컨 통풍구 주변, 스티어링 휠 스포크 및 기어 레버 베이스에 새틴 마감이 적용되었고 외부에 있는 도어 핸들을 모방한 크롬 도어 핸들도 추가되었다.

2019년 4월 11일, 50대 한정판 리미티드 에디션이 출시되었다. 이 사양은 프리미엄 X를 기반으로 하며 오직 자동변속기로만 제공되었다. 프리미엄 X 사양 대비 변화된 점으로는 기어업(GearUp) 액세서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성 요소에 대한 다른 마감 처리가 포함되었다.

안전성으로는 아세안 NCAP에서 별점 5점을 획득했다.

차량의 전장은 4,170mm, 전폭은 1,625mm, 전고는 1,525mm, 휠베이스는 2,455mm, 공차중량은 865kg~940kg이었다.

2.2. 1차 페이스리프트 (2020~현재)

파일:2020 페로두아 베자 전면부.png<nopad> 파일:2020 페로두아 베자 후면부.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20 페로두아 베자 운전석.png
}}}}}}}}} ||
1차 페이스리프트 차량 (2020~현재)

2020년 1월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새로운 사양 체계는 1.0L G MT 및 AT, 1.3 X AT와 1.3 AV AT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사양의 실내 및 외장의 변화가 있었다. 전후면부 범퍼 재설계와 LED 헤드램프 향상, 후면 크롬 장식과 측면 스커트에 유광 블랙 마감이 적용되었다. 14인치 터빈 디자인과 15인치 투톤 알로이 휠이 각각 1.0L와 1.3L 사양이 적용되었으며 기존 4개 색상에서 가넷 레드 및 그래나이트 그레이 색상이 추가되었다.

실내에는 흰색 조명이 들어간 향상된 속도계 및 대시보드를 가로지르던 유광 블랙 바는 은색으로 대체되었다. 여기에 후방 카메라와 첨단 안전 보조 2.0 (Advanced Safety Assist, ASA 2.0)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보행자 감지, 충돌 전 경고, 충돌 전 제동, 전방 이탈 경고 및 페달 오조작 제어 기능이 적용되었다. 여기에 후방 범퍼 센서, 잠김 방지 제동 시스템(ABS), 전자식 제동 분배 장치(EBC)가 전 사양에 기본 적용되었으며, 차체 자세 제어 장치(VSC), 키리스 엔트리, 전방 범퍼 센서 및 푸시 스타트와 같은 기능들이 1.3L 사양에 기본 적용되었다.

차체 색상 범퍼, LED 헤드램프, 전자식 측면 미러 및 방향지시등[4], 후면 도어 투톤 가니쉬, 크롬 도어 핸들, 후방 센서, LED 후면 콤비네이션 램프가 공통 적용되었다. 다만, 전면 그릴 디자인은 1.0L 은색 마감, 1.3L는 크롬 마감, 전면 안개등, 코너 센서, 블랙아웃 필러는 1.3L 사양에만, 후방 카메라는 최고급형 한정으로 들어갔다.

실내에는 공통적으로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자동 꺼짐 헤드램프, ISOFIX 시스템, 다기능 보관함이 들어가며 재질은 최고급형은 가죽, 나머지 사양은 천을 활용하였다. 이외에도 12V 파워 소켓이 들어간다. 또한, 내비게이션 및 '스마트 링크' 기능을 갖춘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들어간 오디오 시스템과 아이들 스탑 표시등이 적용된 멀티 인포 디스플레이와 A.S.A 2.0 기능은 최고급형 한정으로 들어간다. 1.3L 사양에는 파워 윈도우에 걸림 방지 기능과 스마트 엔트리와 푸시 버튼 시동/정지 기능이 적용되며 운전석 높이 조절 장치가 들어간다.

2.3. 파워트레인

파워트레인으로는 67마력/91Nm[5]의 출력과 토크를 내는 1.0L 1KR-VE형 12V DOHC I3 엔진이 탑재되었는데, 기존 페로두아 악시아의 1KR-DE2형 엔진의 개선형을 스탠다드 G와 GX트라 사양에 탑재되었다. 보어 x 스트로크(mm)는 71.0 x 84.0, 연비는 MT 사양 22.8km/L, AT 사양 21.3km/L였다.[6] 최고 속도는 172km/h까지 낼 수 있다.

고급 사양(프리미엄 X 및 어드밴스)에는 94마력/121Nm의 출력과 토크를 내는 1.3L 1NR-VE형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는 마이비에 탑재되던 K3-VE형 엔진의 개선형이었다. X 사양 기준 21km/L였으나, 에코 아이들 스톱-스타트 시스템 및 회생 제동 기능이 들어간 어드밴스 사양은 22km/L의 연비를 기록했다. 보어 x 스트로크 (mm)는 72.5 x 80.5였고 최고 속도는 198km/h까지 낼 수 있었다.

압축비는 11.5:1, 지능형 가변 밸브 타이밍(VVT-i)[7], 36L 연료탱크가 두 엔진에 모두 들어갔다. 여기에 기존 대비 높은 와류를 발생시키는 흡기 포트, 더 길어진 흡기 매니폴드, 마이크로 연료 분사 인젝션, 저마찰 밸브 리프터가 들어갔다.

두 엔진 모두 5단 수동변속기와 4단 4E-AT형 자동변속기와 합을 맞췄다. 유로 IV 기준을 충족하며 최고급형인 어드밴스는 자동변속기만 선택 가능했다. 이후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며 프리미엄 X의 MT 탑재 사양이 선택지에서 사라졌다.

2.4. 안전성

페로두아 베자 충돌테스트 결과 (아세안 NCAP)

다수의 능동 및 수동 안전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아세안 NCAP에서 어드밴스 사양은 별점 5점, 나머지 사양은 별점 4점을 획득하였다. 모든 사양에 잠금 방지 제동 시스템(ABS), 전자식 제동력 분배(EBD), 운전자와 조수석 탑승자를 위한 이중 SRS 에어백, 그리고 후방 주차 센서가 기본 적용되었고 어드밴스 사양에는 VSC를 포함해 랙션 컨트롤(TRC), 제동 보조 장치(BA), 경사로 출발 보조 장치(HSA)까지 제공되었다. 여기에 후방 카메라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터치스크린 헤드 역시 장착되었다.

프리미엄 X 사양에는 전방 주차 센서, 솔라 & 보안 윈도우 필름, 그리고 운전석 측 파워 윈도우에 끼임 방지 보호 기능이 적용되었고 2020년부터 VSC가 확대 적용되었고 아루즈에 처음 적용된 ASA 2.0 기능이 어드밴스 사양에 추가되었다. [8]

2.5. 판매량 및 수상

  • 판매량
페로두아 베자 판매량
<rowcolor=#000> 연도 말레이시아 시장 판매량
<colbgcolor=#C00000> 2016년 <colbgcolor=#fff><colcolor=#000> 34,390대
2017년 53,540대
2018년 49,911대
2019년 45,656대
2020년 56,995대
2021년 42,698대
2022년 59,439대
2023년 89,265대
2024년 100,814대

출시 다음 날 총 5,000대 계약이 이루어질 정도로 좋은 판매고를 올렸으며 같은 해 7월 26일 발표에서 10,115건의 예약 주문을 받았다고 발표했고 이는 하루 평균 1,000대 가량을 받은 것이었다고 한다. 2016년 8월 말에 25,000대 가량이 주문되며 월간 약 10,000대 가량은 팔린 것으로 보인다. 2018년 11월 기준 138,800대를 판매했으며, 현재까지도 페로두아 내에서 3번째로 가장 잘 팔리는 차량 겸 프로톤 사가의 판매량을 상회하고 있다.

2023년부터 판매량이 급증해 기어코 2024년에는 10만대 이상을 판매하였다.

* 수상 이력
  • 최우수 어린이 탑승자 보호 (COP), 소형차 부문 - 아세안 NCAP 그랑프리 어워드 2016
  • 최우수 성인 탑승자 보호 (AOP), 소형차 부문 - 아세안 NCAP 그랑프리 어워드 2016
  • 올해의 최우수 패밀리 라이드 (RM100k 미만) - 카시푸(Carsifu) 편집자 선정 어워드 2016
  • 가장 중요한 디자인 성과 - 말레이시아 올해의 차 (COTY) 2016
  • 인기상 (People's Choice Award) - 말레이시아 올해의 차 (COTY) 2016
  • 올해의 입문형 승용차 - 말레이시아 올해의 차 (COTY) 2016
  • 말레이시아 굿 디자인 마크 2016
  • 올해의 자동차/올해의 데뷔 자동차 - 프로스트 & 설리반 (Frost & Sullivan) 2017 베스트 프랙티스 어워드
  • 세단 & 해치백 (RM50k 미만) - 말레이시아 올해의 차 (COTY) 2017
  • 말레이시아 최고의 시티카 3종 - Aurizn Awards 2018 'Cars of Malaysia'
  • 예산 합리적인 자동차 (실버 위너) - Carlist.my 인기상 (People's Choice Awards) 2018

2.6. 수출 시장에서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모리셔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모리셔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모리셔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4개 사양으로 출시되었으며, 인기 있는 국제 관광지라는 점을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싱가포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싱가포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페로컴 오토(Perocom Auto Pte Ltd)를 통해 1.3 X 사양만 판매했으며, 페이스리프트 사양은 2020년 2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리랑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리랑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17년 6월 7일에 1.0L AT 사양이 현지 유통업체(Unimo Enterprises Ltd.)를 통해 런칭 행사를 가지고 판매를 시작했고 싱가포르와 비슷한 시기에 페이스리프트 사양의 판매가 시작되었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루나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루나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현지 업체(GHK Motors Sdn Bh)를 통해 MT와 AT를 모두 장착한 옵션 바디킷, 2년 보증이 제공되는 1.3L 프리미엄 X 사양을 들여왔고 2019년 중반부터 GX트라 사양이 들어왔고 비슷한 시기에 프리미엄 X 사양의 판매가 중단되었다. 1.0L G 사양 AT 탑재 사양이 2020년 9월 18일에 페이스리프트 사양으로 들여오기 시작했으며, MT 탑재 차량은 단종되었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파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파키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정식 판매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해당 국가에서 포착되었다.

3. 참고자료

4. 경쟁차량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perodua-logo.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C00000,#191919> 경차 베자 · 아지아 칸찔 · 켈리사 · 비바 · 케나리
소형차 마이비 -
소형 SUV 아루즈 · 애티바 켐바라 · 노티카
MPV 엘자 -
상용차 - 루사
}}}}}}}}} ||



[1] 말레이어로 '다르다'를 뜻하는 베자(Beza)에서 유래되었다. 베자의 zz는 창립 22주년을 맞아 숫자 22와 유사한 느낌을 주며 두 개의 z가 하나의 z처럼 보이도록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2] 다만, 차체 구조, 디자인의 개발에서는 다이하츠의 지원을 받긴 했다.[3] 원화가치 약 1,046억원[4] 최고급형인 1.3L AV 사양은 리트랙터블 기능이 적용된다.[5] 악시아에 비해 1Nm 정도 증가하였다.[6] 이는 악시아에 비해 1.2km/L 정도 개선된 수치였다.[7] 1.3L 사양은 이중 VVT-i가 들어갔는데, 저속 및 중속 토크 개선을 위해 흡기 시스템에 더 긴 포트를 갖추고 있으며, 연비 향상을 위해 저마찰 롤러 암 기반의 밸브 트레인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었다.[8] 해당 차량에는 보행자 감지 기능이 있는 전방 충돌 경고, 자동 긴급 제동(4–80km/h 속도에서 작동), 페달 오작동 제어 및 전방 출발 경고 기능이 적용되었다. 이 중에서 전방 출발 경고 기능은 정지 신호등에서 앞 차량이 출발했을 때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