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8:31:05

First Stand Tournament

퍼스트 스탠드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0fe3f9><tablebgcolor=#0fe3f9,#0fe3f9>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LoL e스포츠
국제 대회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블랙.svg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화이트.svg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svg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 월드 챔피언십
2025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지역 리그 | 지역별 하위 리그
}}}}}}}}} ||
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블랙.svg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화이트.svg
<colbgcolor=#ece5e7><colcolor=#45002c> 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
First Stand Tournament
주최 라이엇 게임즈
주관
약칭 FST
출범 연도 2025년
진출 자격 소속 리그 스플릿 1 우승팀[A]
최근 대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First Stand Tournament
최근 우승 팀 Hanwha Life Esports (2025)
최다 우승 팀 Hanwha Life Esports (1회)
최다 우승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Zeus, Peanut, Zeka, Viper, Delight (1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1. 개요2. 위상3. 역사4. 진행 방식5. 역대 기록
5.1. 역대 대회
6. 트로피7. 여담8. 관련 문서

1. 개요

2025년부터 신설된 LoL e스포츠의 연초 국제 대회. 세 번으로 나눠진 스플릿 중 첫 번째 스플릿이 종료된 뒤 개최된다. 2025년부터 개편되는 5대 리그의 첫 번째 스플릿에서 우승한[A] 한 팀씩, 총 다섯 팀이 참가한다.

2. 위상

시즌 초반부에 이뤄지는 소규모 국제전인 만큼 팬들의 흥미를 돋우는 의미가 크다. 시즌이 바뀌며 격변하는 메타에 대하여 각 리그 최상위권 팀들이 메타를 어떻게 해석했는지 알아볼 수 있는 대회이기도 하다. 또한 각 리그의 우승 팀들만 모이므로 리그 대항전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

국제 대회 위상의 척도는 월즈가 중심이지만 월즈와의 직접적인 연계 방안은 없는 대회다. 대신 MSI 티어 배정에 영향을 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MSI에 5대 메이저 리그 1시드 팀들은 브래킷 스테이지(8강)에 직행하고, 퍼스트 스탠드 우승 지역 2시드 팀까지 총 6팀이 8강에 직행한다. 이후 남은 4개 지역 2시드 팀들이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거쳐 2팀이 추가로 8강에 합류한다. 예를 들어 만약 LCK 소속팀이 퍼스트 스탠드에서 우승한다면 Road To MSI를 통해 선별된 2팀은 모두 MSI 브래킷 스테이지에 직행한다.

다만 현행 방식에는 퍼스트 스탠드 우승팀에게 MSI 직행 티켓을 주는 것은 아니어서, 같은 리그의 2시드 팀에게 좋은 일만 시켜주고 정작 퍼스트 스탠드 우승팀이 MSI는 진출도 못할 수 있다.[3] 다시 말해 우승팀 자체에는 직접적인 혜택이 없는 셈이고 '우승팀의 소속 리그'에 혜택이 돌아가서 간접적으로만 이득을 볼 수 있는 구조다.

3. 역사

2025 시즌부터 국제 LoL e스포츠가 새로운 포맷으로 통일되면서 3개의 정규 시즌 종료 후, 국제대회를 한번씩 치를 것으로 발표되었다. 따라서 스플릿 1에 대응하는 신규 국제대회로 퍼스트 스탠드를 발촉하였고 초대 대회는 대한민국 서울 롤파크에서 개최된다.

4. 진행 방식


  • 5대 리그에서 스플릿 1 우승 팀들이[4] 참가한다.
  • FST의 모든 경기에서 '피어리스 드래프트'를 적용한다.
  • 5개 팀들은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모든 팀들과 각각 한 번 씩 3판 2선승제(Bo3) 경기를 치르게 된다.
  • 라운드 로빈 종료 후 최하위 팀은 탈락하며, 4강에서 1위 팀은 4위 팀과, 2위 팀은 3위 팀과 5판 3선승제(Bo5) 경기를 치르게 된다.
  • 4강에서 승리한 2팀은 결승에서 Bo5 경기를 치르며, 우승 팀의 지역은 MSI에서 1시드 팀과 2시드 팀 모두 브래킷 스테이지에 직행한다.[5]

5. 역대 기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irst Stand Tournament/역대 기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rst Stand Tournament/역대 기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rst Stand Tournament/역대 기록#|]][[First Stand Tournament/역대 기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역대 대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ECE5E7><tablebgcolor=#ECE5E7> 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퍼플.svgFirst Stand Tournament
역대 대회
}}} ||
{{{#!wiki style="color: #FF55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45002c> 1회 2회 3회 4회 5회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5
대한민국
[[|
파일:브라질 국기.svg
]]
2026
브라질
[[|
파일:ASEAN 깃발.svg
]]
2027
동남아시아
[[|
파일:국기.svg
]]
2028
미정
[[|
파일:국기.svg
]]
2029
미정
}}}}}}}}} ||
FST 역대 로고
파일: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 로고 퍼플.svg파일: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 로고 오렌지.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2025 2026 2027
First Stand Tournament

6. 트로피

파일:퍼스트 스탠드 트로피.jpg

7. 여담

  • 총 상금이 100만 달러로 꽤 높게 책정되어 있는데, 초대 대회인 2025 FST 개최 당시 기준으로 MSI의 4배에 달하는 금액이었다. 출전 팀 숫자가 더 적은 점을 고려하면 각 팀에게 돌아가는 실질적인 금액은 이보다도 큰 셈. 이 때문에 고액의 상금이 FST와 MSI의 위상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언급되기도 했지만, 2025년 1회 FST 이후 발표에 의해 MSI 총 상금이 200만 달러로 대폭 상향되면서 이러한 의견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6] 그래도 일주일 안에 끝나는 짧은 일정을 감안하면 참가팀 입장에선 가성비가 꽤 좋은 편이다.
  • 첫 대회 개막전에 신규 HUD가 적용되었으나 반응은 좋지 않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
  • 2025년 기준으로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적용되는 유일한 국제 대회가 될 예정이었으나, 첫 FST인 2025 FST가 마무리된 후 이어지는 스플릿과 국제 대회에 모두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적용됐다.

8. 관련 문서


[A] LCK CUP(대한민국), LPL 스플릿 1(중국), LTA 스플릿 1(아메리카), LEC 윈터(유럽·중동·아프리카), LCP 시즌 킥오프(아시아태평양)[A] [3] 이와 같은 문제가 2023년까지 MSI에도 있었다. 2024년부터는 MSI 우승팀에게 조건부로 월즈 직행 티켓을 제공해주고 있다.[4] LPL과 LTA가 해당 명칭을 사용하며, LCK의 경우 LCK 컵, LEC의 경우 윈터, LCP의 경우 시즌 킥오프. 라이엇 개편안에 표시된 명칭이니만큼 이를 반영.[5] 나머지 지역은 1시드 팀들만 브래킷 스테이지에 직행하며, 2시드 팀들은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시작한다.[6] MSI와 함께 월즈 총 상금도 기존의 2배 이상인 500만 달러로 상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