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6:05:05

파피 플레이타임/등장인물/장난감/중단된 디자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파피 플레이타임/등장인물/장난감

1. 개요2. 작품 내
2.1. 데이지 [꼭두각시 버전](Daisy [marionette])2.2. 킥미폴(Kick-me-Paul)2.3. 똥쌀롯 경(Sir poopsalot)2.4. 오븐 오웬(Owen the oven)2.5. 서프라이즈 헤어(Surprise Hare)2.6. 퍼팃 푸치(Petite Pooch)2.7. 애완 돌/펫 스톤(Pet Stone)2.8. 배럴 오 허기스(Barrel o' Huggys)2.9. 러브 버그(love bug)2.10. 도매 운송 #018345(Retail shipment #018345)2.11. 오렌지 로봇 장난감(Orange Robot Toy)
3. 작품 외
3.1. 러버덕(Rubberduck)

1. 개요

파피 플레이타임에 등장하는 판매되지 않는 장난감들을 서술한 문서이다.

2. 작품 내

2.1. 데이지 [꼭두각시 버전](Daisy [marionett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이지(파피 플레이타임) 문서
5.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킥미폴(Kick-me-Paul)

<colbgcolor=#BF7A10> 킥 미 폴
Kick-me-Paul

파일:Kick_Me_Paul.webp
정보
등장 챕터 챕터 2(완구)
장난감 창고에서 볼 수 있는 팔다리를 달아놓은 코코넛을 닮은 인형. 프로펠러 모자와 초록 스니커즈를 신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인기가 없어서 판매가 중단되었다. 거부 사유에 대놓고 '아무도 안 좋아함'이라 써진 것도 모자라 공개 프레젠테이션 당시 여기저기서 웃음이 터져 나왔다고.

하지만 이후 '폴'이라는 이름을 y과 들어가는 이름[1]으로 바꿔달라는 요청 사항과 함께 재판매 되었다고 한다.

얼핏 보면 장난감의 무늬가 농구공 무늬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신발 자국들이다. 이를 보아 차면서 가지고 노는 장난감으로 보인다. 장난감 창고에 적혀있는 하루 일과 중에 '킥 미 폴을 불태우기'도 있다.

2.3. 똥쌀롯 경(Sir poopsalot)

<colbgcolor=#664325> 똥쌀롯 경
Sir poopsalot

파일:Sir-Poopsa-Lot.webp
정보
등장 챕터 챕터 2(완구)
장난감 창고에 있는 판매가 중단된 변기에 앉아 똥을 싸고 있는 곰 모양 장난감. 이름을 직역하면 똥쌀롯 경 쯤. 퇴짜 사유를 보면 관리자들에게 압도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얻고 판매가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2]

이름을 다르게 보면 'poops a lot(똥을 많이 싸요)'도 된다. 일종의 말장난.

FNaF 시리즈의 오마주인지는 몰라도 프레디 파즈베어와 닮았다. 민트색 비디오테이프를 틀 경우 이 장난감이 화면에 나오는데, 회사에 대한 불만이 회사의 심기를 거슬러서 똥쌀롯 경이 됐고 또 이 테이프의 목소리의 주인공이 리치여서 리치가 나중에 이 장난감이 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하필 저런 장난감으로...

Gotta Go Flamingo라는 현실의 장난감에서 모티브를 딴 것으로 보인다. 무언가를 먹이면 노래를 부르다가 변기로 똥을 싸는 장난감인데, 똥쌀롯 경도 비슷한 기믹을 사용한 장난감이었을 듯. 참고로 이 아이디어를 낸 디자이너는 해고되었다...

2.4. 오븐 오웬(Owen the oven)

<colbgcolor=#AB5D29> 오븐 오웬
Owen the oven

파일:Owen_The_Oven.webp
정보
등장 챕터 챕터 2(완구)
장난감 창고에 있는 판매가 중단된 오븐 모양의 커다란 장난감. 거부 사유에 3도 화상을 입은 어린이들의 사례가 다수 발생하여 판매가 중단되었다고 하는 것을 보면 거의 진짜 오븐급 기능을 지녔던 듯. 그래서인지 2차 창작에서는 진짜 불이 나올 때가 있다[3][4]

이름은 W가 V와 비슷한 것을 이용한 말장난으로 보인다.

2.5. 서프라이즈 헤어(Surprise Hare)

<colbgcolor=#737240> 서프라이즈 헤어
Surprise Hare
파일:Suprise_Hare.webp
정보
등장 챕터 챕터 2(완구)
장난감 창고에 있는 판매가 중단된 장난감. 직역하면 깜짝 산토끼 정도. 개성이 없다는 이유로 판매가 중단되었다. 트레일러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초기에는 사람들이 해당 장난감을 번조 버니로 오해하기도 했다.

2.6. 퍼팃 푸치(Petite Pooch)

<colbgcolor=#B86FFC> 퍼팃 푸치
Petite Pooch
파일:Petite_Pooch.png
인게임 컨셉 아트
파일:Petite_pooch_bp.webp
정보
등장 챕터 챕터 2(그림)
장난감 창고에서 컨셉 아트를 통해 볼 수 있는 장난감이다.

컨셉 아트로는 원래 러브 버그와 함께 한 놀이방에서 모델링으로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폐기된 듯하다. 하지만 추후 챕터에 등장할 확률이 높다.

컨셉은 불을 사용할 수 있는 강아지로 추정된다.

모티브는 마이 리틀 포니로 보인다.[5]

2.7. 애완 돌/펫 스톤(Pet Stone)

<colbgcolor=#9F7171> 애완 돌
Pet Stone

파일:Pet_Rock.webp
정보
등장 챕터 챕터 2(완구)
장난감 창고에 있는 판매가 중단된 장난감. 눈이 달린 돌 모양을 하고 있다. 관리 팀도 이 장난감을 보고 당황했다고 한다. 누군가는 '아이디어가 고갈된 거야?'라고 적었다.차라리 눈이 없었다면 덜 기괴했을텐데.

애완돌은 현실에서도 실제로 판매하고 있는 장난감이다.

2.8. 배럴 오 허기스(Barrel o' Huggys)

<colbgcolor=#5C4E85> 배럴 오 허기스
Barrel o' Huggys

파일:Huggy_Barrels.webp
정보
등장 챕터 챕터 2(완구)
장난감 창고에 있는 판매가 중단된 장난감. 몇몇 아이들이 사탕인 줄 알고 먹어 질식 위험이 생기면서 판매가 중단되었다고 한다. 이 장난감은 실제로 존재하는 <Barrel of Monkeys>라는 장난감을 오마주 했다.

2.9. 러브 버그(love bug)

<colbgcolor=#86DD94> 러브 버그
love bug
파일:LoveBug.webp
인게임 컨셉 아트
파일:Love_bugs_bp.webp
정보
등장 챕터 챕터 2(그림)
엘리엇 루드윅의 사무실에 있는 컨셉 아트에서 등장한 장난감. 생김새는 나비같이 생겼다.

미카엘라 히습의 보고서에서 피험자가 스태츄 게임에서 먼 곳을 바라보며 집중을 못 하는 것이 이 러브 버그들이 날아다니며 빛을 내기 때문이라는 설이 존재한다. 러브 버그의 어원인 lovebug가 날벌레라는 뜻이 존재하기에 날벌레처럼 작을 가능성이 있고, 피험자는 이에 시선을 뺏겨버렸다는 의견.

컨셉 아트로는 원래 퍼팃 푸치와 함께 한 놀이방에서 모델링으로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폐기된 듯하다. 하지만 추후 챕터에 등장할 확률이 높다.

배에 무늬가 있고 작명 센스를 보아 모티브는 케어 베어로 보인다. 또한 이름은 lovebug(날벌레)에서 Love Bug로 간단하게 바꾼 말장난으로 보인다.

2.10. 도매 운송 #018345(Retail shipment #018345)

<colbgcolor=#6351A0> 도매 운송 #018345
Retail shipment #018345
파일:aeawe.png
정보
등장 챕터 챕터 2(완구)
장난감 창고에 있는 판매가 중단된 장난감으로 추정되는 장난감. Patty Hall이라는 직원 때문에 채색이 잘못돼 판매가 중단되었다고 한다. 창고 곳곳에 보면 보라색 캔디캣 같은 색이 기본 장난감들과 다른 장난감들이 있는데, 이 장난감들로 추정된다.

처음에는 퍼그 어 필러로 오해를 받았던 장난감이다.

2.11. 오렌지 로봇 장난감(Orange Robot Toy)

<colbgcolor=#FFA500> 오렌지 로봇 장난감
Orange Robot Toy
파일:OrangeRobotToyRejection.webp
정보
등장 챕터 챕터 2(언급)
장난감 창고에서 반품 사유로 언급된 장난감. 특이하게 다른 장난감들과 달리 장난감 모델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6] 마미 롱 레그와 컨셉이 겹쳐 이 장난감 대신 마미 롱 레그가 출시했다고 한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하지만 난 개인적으로 좋아해'라고 적었다. 만약 프로토타입이 이 장난감이라는 가설이 맞는다면, 회사 측에서도 대형 모델을 변이로 만들 정도로 인기가 많았지만 마미 롱 레그가 더 매력적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마미 롱 레그가 채택된 듯. 또한 주인공이 장난감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똑같이 외모 묘사가 전혀 없는 주인공의 정체가 바로 이 장난감이라는 가설이 있다.

이름을 보아 로봇 모습을 하고 있고, 마미 롱 레그와 성격이 겹친다는 것으로 보아 손과 발이 늘어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혹은 거미 컨셉이 겹쳤을 확률도 있다.

3. 작품 외

3.1. 러버덕(Rubberduck)[임시명]

<colbgcolor=#09cff9><colcolor=#fefefe> 러버덕
Rubberduck

파일:스크린샷_22-2-2024_155531_www.youtube.com.jpg
정보
등장 챕터 챕터 3(완구)
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고무 오리 장난감. 정상적인 방법으로 탈 수 없고 치트로 숨겨진 방으로 갈 수 있도록 만들고 숨겨진 방에 가보면 타볼 수 있다. 철창을 레버로 내리며 물 위를 횡단하는 기믹였던 듯 하지만 개발 막부분에 폐기된 듯 하다. 설명서에는 탈 수 있다는 내용의 설명과 하피 합스카치가 그려져 있다. 원래는 도그데이를 만나기 전에 이 구간을 거치도록 하려고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 허기워기, 마미 롱 레그, 파피, 캔디 캣, 데이지, 번조 버니 등이 이름에 y가 들어간다. 테이프에서도 이 점이 언급된다.[2] 아무리 봐도 이 장난감은 어린아이가 가지고 놀기에는 너무나도 부적절하기 때문인걸로 보인다. 어른에게도 너무나도 부적절하다.[3] 실제로 이지 베이크 오븐(Easy-Bake Oven)이라는 해즈브로 사가 만든 장난감을 모티브 한 듯 하다.[4] 사진을 보면 정말로 불이 나왔는지 이 장난감의 입 부분이 입 안까지 새카맣게 그을려져 있다.[5] 큐티 마크와 비슷하게 생긴 문양이 엉덩이에 있고 이름의 Petite은 Little의 프랑스어이다. 특히 외형은 Equestria Girls스파이크, 색감은 트와일라잇 스파클과 유사하다.[6] 챕터 1에서 모델이 나오지 않아도 아트워크라도 나온 키시 미시와 캔디 캣과 달리 이 장난감은 아트워크나 포스터에서조차 모습이 나오지 않았다.[임시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1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