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8:14:29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고대왕자 공룡킹)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실존하였던 고생물 파키케팔로사우루스에 대한 내용은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비밀 속성 공룡 등장 순서
데이노니쿠스 파키케팔로사우루스 테리지노사우루스
파키케팔로사우루스
パキケファロサウルス|Pachycephalosaurus
width=100
파일:공룡킹파키케.png
정보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와이오밍엔시스 (P. wyomingensis)
속성
파일:Secret_symbol.webp 비밀
몸길이
8m
[[포효|{{{#000 포효}}}]]
출시일
2007년 5월 30일(2007년 시리즈 3+판)
1. 개요2. 신체 특징3. 게임 별 특징
3.1. 아케이드3.2. DS
4. 미디어 믹스
4.1. 만화4.2. 애니메이션
5. 작중 행적
5.1. 만화5.2. 애니메이션
5.2.1. 1기
5.2.1.1. 최종 결전
5.2.2. 2기
5.2.2.1. 최종 결전
5.3. 기술
6. 여담7. 둘러보기8.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파키케팔로사우루스홈페이.png
홈페이지
고대왕자 공룡킹의 등장 공룡 파키케팔로사우루스. 게임 내 최초로 출시된 후두류 공룡이다.[1]

2. 신체 특징

몸길이가 8m로 실제보다 과장되어 있으며 피부 색깔은 전체적으로 연한 갈색에 가깝고 발은 흰색에 가깝다. 머리와 주위의 가시는 윗부분은 하얗고 아랫부분은 자주색에 가깝다. 입은 검은색이고 홍채는 하늘색이다.

3. 게임 별 특징

3.1. 아케이드

파일:PachycephaloJap20071st_29.webp
아케이드 카드
플레이 영상

3.2. DS

파일:Pachycephalosaurus-ds-dsi.png
인게임 모델링

4. 미디어 믹스

4.1. 만화

4.2. 애니메이션

파일:고대왕자 공룡킹 공식 로고.png 고대왕자 공룡킹 D키즈 어드벤처
등장 고생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불꽃 속성
파일:공포의 티라노맨.gif 파일:애니카르카로.gif 파일:아크로칸토 나고야tv.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사우로파가낙스공룡킹.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티라노사우루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아크로칸토사우루스 다스플레토사우루스 사우로파가낙스 마푸사우루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토르보애니.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블랙 티라노사우루스 토르보사우루스 양추아노사우루스 라자사우루스 기가스
물 속성
파일:스피노 나고야 테레비 공룡킹.gif 파일:애니살타사우루스.gif 파일:악어닮은초록공룡.gif 파일:공룡킹 가시마스터.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공룡킹애니바리오닉스.gif
스피노사우루스 살타사우루스 수코미무스 아마르가사우루스 후타바사우루스 바리오닉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암펠로사우루스 슈노사우루스 요바리아 오프탈모사우루스 티타노사우루스
콜베르티
천둥번개 속성
파일:가부아아아앙.gif 파일:공룡킹스티라코맨.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토로사우루스나고야.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트리케라톱스 스티라코사우루스 안키케라톱스 토로사우루스 펜타케라톱스 디케라톱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애니파키리노.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아켈로우사우루스 파키리노사우루스 막시무스
흙 속성
파일:나고야사이카니아.gif 파일:공룡킹애니안킬로.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공룡킹애니스테고.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사이카니아 안킬로사우루스 에우오플로케팔루스 스테고사우루스 에드몬토니아 투오지앙고사우루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렉소비사우루스 아르마투스
풀 속성
파일:파라파라애니판.gif 파일:마이아사우라애니판.gif 파일:공룡킹프테라.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공룡킹애니세이스모.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라사우롤로푸스 마이아사우라 프테라노돈 알티리누스 세이스모사우루스 수페르사우루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산퉁고사우루스공룡킹애니.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사우롤로푸스 이구아노돈 후쿠이사우루스 산퉁고사우루스 투푹수아라 란조사우루스
바람 속성
파일:에이스나고야.gif 파일:유타랍토르애니.gif 파일:공룡킹 케라토사우루스 애니 나고야.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바람돌이 소닉.gif
카르노타우루스 유타랍토르 케라토사우루스 메가랍토르 델타드로메우스 알로사우루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마준가사우루스 고지라사우루스 아프로베나토르
비밀 공룡
파일:Pachy_nagoya.webp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데이노니쿠스 공룡킹.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공룡킹애니크리올로.gif
무속성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공룡킹나고야벨로키.gif 파일:애니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gi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파사우루스 벨로키랍토르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 안항구에라 }}}}}}}}}

파일:Pachy_nagoya.webp
나고야 테레비 홈페이지
14화에 첫 등장했으며 애니메이션 기준으로 유일한 후두류 공룡이며 첫 비밀 공룡이다.[2]

5. 작중 행적

5.1. 만화

5.2. 애니메이션

5.2.1. 1기

  • 14화: 이탈리아 피사에서 비가 내리며 침식이 돼서 땅이 갈라지며 땅 속에 있던 캡슐이 드러나 밖으로 나와 굴러가다 나무에 부딪혀 캡슐이 열려 카드가 드러나고 곧이어 비가 그치고 날이 개며 햇빛이 비춰 맞은편 창문에 반사돼 카드에 닿아 소환돼 바로 앞에 있는 피사의 사탑으로 달려가 세 번 박치기로 들이받아 똑바로 일으켜 세운다.

    파일:DINO7-Pachy.webp}}}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chy_the_Pachycephalosaurus.webp}}} ||
    치비 모습 Dr. 소노이다의 실험을 통해 개조된 모습

    원래 속성은 불명이나[3] 과거 Dr. 소노이다가 알을 주워서 직접 품고 부화시킨 후 실험을 통해 다이아 크래시란 기술을 기술 카드없이 쓸 수 있게 개조하면서 머리가 항상 빛나는(…) 공룡이 되었다. 대머리를 비하하는 블랙 코미디인가 이후 로마 시내를 돌아다니며 다시 한번 머리를 반짝이고 D키즈에게 목격돼 렉스가 에이스를 소환해 에이스에게 추격당하지만 엄청난 스피드로 에이스를 압도해 파르테논 신전 비슷한 건축물에서 갑자기 사라져 에이스가 당황한 사이 뒤에서 달려와 에이스를 박치기로 들이받아 날려 쓰러뜨린 다음 기둥을 들이받아 기둥들이 도미노처럼 쓰러지게 해 에이스를 덮치게 하려고 한다.[4] 이후 다시 반짝이는 햇빛을 보고 어딘가로 가다 아쿠토단 일행 뒤에서 나타나 우사라파, 노랏티, 에도는 달아나지만 Dr. 소노이다는 두 팔 벌리고 맞는다. 그때 이들의 뒤에서 D키즈가 Dr. 소노이다에게 일갈하는 소리를 듣고 몸을 뒤로 돌리다 갑자기 몸을 또 뒤로 돌려 달려가 상점의 유리벽을 박치기로 부숴 버린다. 그때 Dr. 소노이다가 공룡 카드를 주울 때 쓰는 장비로 뒤통수의 가시를 잡아 등 위에 올라타려 하지만 마구 날뛰고 결국 Dr. 소노이다를 떨어뜨린다. 그리고 곧바로 날아가는 비행기를 보고 비행기가 가는 쪽을 향해 달려가 콜로세움 안으로 들어간다. 그때 Dr. 소노이다가 아쿠토컨트롤러를 보내 전파를 쏴서 조종하려고 하지만 역으로 아쿠토컨트롤러를 들이받아 날려 버려 뒤에 있는 벽에 부딪히게 해 박살내버린다. 결국 Dr. 소노이다와 그의 명령을 받은 우사라파가 티라노스피노를 소환해 둘과 대결을 하게 되고[5] 가부가 티라노를 상대하고 에이스가 스피노를 상대하는 틈을 타 재빨리 빠져나와 콜로세움 안의 경기장과 관중석을 구분짓는 담을 뛰어넘어 계단을 타고 뛰어 올라간다. 이후 뒤돌아서서 스피노가 자신에게 오는 것을 보고 스피노를 막기 위해 뒤따라온 에이스의 등을 밟고 뒤로 가[6] 하늘을 보고는 스피노에게 정면으로 달려들어 밑으로 파고들어가 박치기로 위로 던져서 날려버리고 박치기로 스피노사우루스의 배를 4번 들이받아 카드로 돌려놓는다. 이후 대치하고 있는 가부와 티라노 사이에 난입해 둘을 번갈아 가며 살펴보고 점프해 가부의 등에 올라타 박치기로 3번 가부의 등을 들이받고 티라노가 달려오자 등에서 내려온다.[7] 그리고는 다이아 크래시를 사용하려고 하기 시작하며 주위를 밝게 빛나게 하고 가부가 기가 라이딘으로, 티라노가 네크 크래시로 공격하려 해 우선 가부가 기가 라이딘을 날리자 고개를 숙이며 피하고 그동안 위밍업을 하며 빛을 충분히 모은 머리를 높이 들어올렸다가 내리며 빛 폭풍을 가부와 티라노에게 발사해 둘을 날려버리고 둘 중 티라노를 카드로 돌려놓아 승리한다.[8] Dr.소노이다가 과거 지극정성으로 키운 공룡이라 이 녀석이 나타나다 열심히 자신을 떠올려보라며 설득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 노력으로 파키케팔로사우루스도 Dr.소노이다를 기억해내면서 감동의 재회…
가 아니라 분노의 박치기를 때려박았다! 사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Dr. 소노이다를 몹시 싫어했던 것![9] 이후 지속된 배틀과 태양을 보며 태양권 다이아 크래시를 날리다 힘이 빠지면서 카드로 돌아가[10] D키즈가 카드를 회수했다.[11]
5.2.1.1. 최종 결전
  • 49화: 블랙 티라노에 맞서기 위해 D키즈와 아쿠토단이 모든 공룡들을 꺼내면서 이 녀석도 재등장. 당연하다는 듯이 자신에게 올라탄 Dr.소노이다를 다시 쳐날리면서[12]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톡톡히 보여준다. 렉스가 소환했으며 다이아 크래시를 사용해 다른 공룡들과 힘을 합쳐 제압한다.

5.2.2. 2기

  • 50화에서 D키즈와 일행들이 타임머신을 타고 백악기 후기로 이동하였을 때 다른 개체로 추정되는 야생의 파키케팔로사우루스가 야생의 스티라코사우루스와 듀오를 얻어 야생의 트리케라톱스들을 공격하려는 티라노스티라코사우루스와 함께 박치기로 반격한다.
5.2.2.1. 최종 결전

5.3. 기술

다이아 크래시
머리에 광선을 모아 상데에게 광선 폭풍을 날리는 기술. 애니판에서는 다이나믹 레이, 영문판에서는 레이저 레이로 나왔다.

6. 여담

  • 인게임 포효소리는 아크로칸토사우루스와 매우 비슷하게 들리나 맨 마지막 부분에 소리가 페이드 아웃하여 끝나는 아크로칸토사우루스와 달리 중간에 소리가 조금 작아지다가 마지막엔 아크로칸토사우루스처럼 끝난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 align=center><table width=330px><tablebordercolor=#FFCC21> 파일:고대왕자 공룡킹 공식 로고.png고대왕자 공룡킹
등장 고생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인편 (2006년 시리즈)
불 속성: 티라노사우루스 · 기가노토사우루스 · 타르보사우루스 · 아크로칸토사우루스 · 토르보사우루스 ·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 고르고사우루스
물 속성: 이리타토르 · 아마르가사우루스 · 카마라사우루스 · 수코미무스 · 스피노사우루스 · 살타사우루스 · 바리오닉스
천둥번개 속성: 트리케라톱스 · 카스모사우루스 · 토로사우루스 · 에이니오사우루스 · 파키리노사우루스 · 켄트로사우루스 · 에우켄트로사우루스 · 스티라코사우루스 · 미니 킹
흙 속성: 사이카니아 · 켄트로사우루스 · 사우로펠타 · 스테고사우루스 · 안킬로사우루스 · 우에로사우루스 · 에드몬토니아
풀 속성: 람베오사우루스 ·오우라노사우루스 · 친타오사우루스 · 산퉁고사우루스 · 마이아사우라 · 파라사우롤로푸스 · 후쿠이사우루스 · 이구아노돈 · 프테라노돈 · 세이스모사우루스 · 오비랍토르
바람 속성: 알로사우루스 · 케라토사우루스 · 네오베나토르 · 카르노타우루스 · 모놀로포사우루스 · 유타랍토르 · 딜로포사우루스 · 후쿠이랍토르
비밀 공룡: 데이노니쿠스
무속성: 타페야라 · 벨로키랍토르 · 크리올로포사우루스 ·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 · 파파사우루스 · 세그노사우루스
2007년 시리즈
불 속성: 알리오라무스 · 다스플레토사우루스 · 양추아노사우루스 · 알베르토사우루스 · 사우로파가낙스 · 블랙 티라노사우루스
물 속성: 파타고사우루스 · 오피스토코엘리카우디아 · 암펠로사우루스 · 디크라이오사우루스 · 슈노사우루스 · 요바리아 · 후타바사우루스
천둥번개 속성: 아르히노케라톱스 · 브라키케라톱스 · 아켈로우사우루스 · 펜타케라톱스 · 모노클로니우스 · 가부
흙 속성: 노도사우루스 · 에우오플로케팔루스 · 다켄트루루스 · 타르키아 · 탈라루루스 · 가스토니아
풀 속성: 알티리누스 ·코리토사우루스 · 사우롤로푸스 · 무타부라사우루스 · 아나토티탄 · 카로노사우루스 · 파라파라 · 수페르사우루스
바람 속성: 메가랍토르 · 에우스트렙토스폰딜루스 · 델타드로메우스 · 신랍토르 · 마준가사우루스 · 릴리엔스테르누스 · 고지라사우루스 · 에이스
비밀 공룡: 파키케팔로사우루스 · 테리지노사우루스
무속성: 라엘리나사우라 · 트로오돈 · 스테고케라스 · 케찰코아틀루스
격투! 쟌쟈크!! 시리즈
불 속성: 마푸사우루스 · 라자사우루스 · 아벨리사우루스 · 티라노 · 기가스
물 속성: 티타노사우루스 · 티타노사우루스 콜베르티 · 네메그토사우루스 · 스피노 · 브론토 · 오프탈모사우루스
천둥번개 속성: 디케라톱스 · 안키케라톱스 · 주니케라톱스 · 막시무스
흙 속성: 렉소비사우루스 · 투오지앙고사우루스 · 피나코사우루스 · 사이카 · 아르마투스
풀 속성: 캄프토사우루스 ·브라킬로포사우루스 · 프로사우롤로푸스 · 애니메이티드 친타오사우루스 · 투푹수아라
바람 속성: 아프로베나토르 · 스제추아노사우루스 · 알로사우루스 아트록스
비밀 공룡: 메갈로사우루스 · 파파사우루스 · 크리올로포사우루스 · 아파토사우루스
무속성: 안항구에라 · 투푹수아라 · 타페야라
깨어나라! 새로운 힘!! 시리즈
불 속성: 에오카르카리아 · 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
물 속성: 케티오사우루스 · 곤드와나티탄 · 아구스티니아
천둥번개 속성: 우다노케라톱스 · 알베르타케라톱스
흙 속성: 기간트스피노사우루스 · 파노플로사우루스 · 폴라칸투스
풀 속성: 람베오사우루스 마그니크리스타투스 ·란조사우루스 · 에드몬토사우루스 · 올로로티탄 · 민미 · 무라에노사우루스
바람 속성: 인도수쿠스 · 루곱스 ·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
비밀 공룡: 에오랍토르
무속성: 아르카이옵테릭스 · 갈리미무스 · 스트루티오미무스 · 드로미케이오미무스
미디어 믹스 출연 및 미등장
불 속성: 시아모티란누스
무속성: 미크로랍토르
}}}}}}}}} ||

8. 관련 문서


[1] 이후 스테고케라스가 출시되었다.[2] 원작은 데이노니쿠스이다.[3] 아마 천둥번개 속성이었을 것이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가 속한 후두류가 각룡류 공룡과 제일 가깝고 후술하지만 나중에 카드로 돌아올 때 주위의 광선이 노란빛이다.[4] 다행히 에이스는 렉스가 재빨리 카드로 되돌린다.[5] 이에 D키즈는 파키케팔로사우루스를 도와주기 위해 파트너 공룡들을 전부 소환한다.[6] 그리고 곧바로 에이스는 스피노사우루스의 티일 스매시에 의한 꼬리 공격을 4번 얼굴에 맞고 카드로 돌아가 패배한다(여담으로 유일하게 스피노가 에이스를 이긴 대결이다.).[7] 그리고 티라노는 곧바로 가부를 정면에서 들이받는다.[8] 가부는 카드로 돌아가진 않았지만 꼼짝도 못하게 됐다.[9] 과거 회상 중에 Dr.소노이다에게 안긴 치비 모드의 파키케팔로사우루스가 박치기를 먹이는 장면이 복선이었다.[10] 이때 이후의 박치기 공룡들과 달리 카드로 돌아갈 때 주위에 비치는 광선이 무지갯빛이 아니고 노란빛이다.[11] 이때 D키즈와 아쿠토단이 동시에 차지하려고 다른 방향에서 카드로 달려가는데 우사라파가 "이것들이 박사님 공룡을... 너희는 이거나 먹어!"라며 구슬을 굴려 D키즈가 밟고 미끄러져 우사라파가 먼저 카드를 주워 고다이 류타가 비열하다고 하자 그렇게 말하면 섭섭하다며 이것도 우리 아쿠토단의 실력이라며 헛소리를 지껄이는데 아까 들이받혀 날아갔던 Dr. 소노이다가 우사라파 위로 떨어지며 엎드러져 카드를 놓치고 카드가 D키즈 쪽으로 와 고다이 류타가 잡는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12] 덕분에 Dr. 소노이다가 디노 홀더를 떨궈 고다이 켄류가 사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