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각 나라 한자 표준에 맞게 글꼴을 지정한다.2. 사용법
- 틀 사용: 짧은 서술에 적용을 원할 경우
<colcolor=#fff> 목록 | |
<colbgcolor=#555> 예시 | [include(틀:zh, text=纳木维基)] |
[include(틀:zh, text=)] | |
[include(틀:zh-hant, text=)] | |
[include(틀:ja, text=)] | |
[include(틀:zh-hk, text=)] |
<br>
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wiki style 문법 사용: 여러 줄 또는 틀 문서에 적용을 원할 경우, 복붙 후 "한자 입력"에 원하는 한자를 입력하면 된다.[1]
<colcolor=#fff><colkeepall> 복붙용 | |
<colbgcolor=#555> |
|
|
|
|
|
|
|
3. 글꼴 지정이 필요한 이유
한자는 나라별 표준 자형이 다르다. 정자(한자)/각국의 표준자형 참고. 자형이 다른 한자는 보통 서로 다른 유니코드를 배정받지만, 미세한 차이일 경우 같은 유니코드를 배정받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글꼴을 지정해야 올바른 자형을 표시할 수 있다. 麻 | 麻 | 麻 | 麻 | 麻 |
한국 정자 | 중국 간체 | 대만 정체 | 홍콩 번체[a] | 일본 신자체 |
4. 일람표
<rowcolor=#fff> 문자 이름 | 문자 틀 | 사용 범위 | 글꼴 | ||||
한국 한자 | - | 기본 글꼴 | |||||
중국어 간체자 | 틀:zh | PingFang SC, Heiti SC, Noto Sans SC, Microsoft YaHei(微软雅黑), SimSun | |||||
중국어 정체자/번체자[3] | 틀:zh-hant | PingFang TC, Heiti TC, Noto Sans TC, Microsoft JhengHei, PMingLiU | |||||
일본어 신자체 | 틀:ja | Hiragino Sans, Hiragino Kaku Gothic Pro, Noto Sans JP, Yu Gothic UI, Meiryo, MS Gothic | |||||
홍콩 정자체[a] | 틀:zh-hk | PingFang HK, Noto Sans HK, Microsoft JhengHei, PMingLiU | |||||
중국어 현지화 문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정체자 (대만) | 틀:zh-tw | 틀:zh-hant와 같음 | ||||
번체자 (홍콩) | 틀:zh-hk | 틀:zh-hk와 같음 | |||||
간체자 (중국) | 틀:zh-cn | 틀:zh와 같음 | |||||
}}}}}}}}} |
윈도우 제품별 기본 폰트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번체, 중국어 간체) | ||||
윈도우 버전 | 한국어 (대한민국) | 일본어 (일본) | 중국어 번체 (대만, 홍콩) | 중국어 간체 (중국) |
Windows 95 | 돋움체 | MS Gothic (MS ゴシック) | PMingLiU(新細明體) | SimSun(宋体) |
Windows 98 | 돋움체 | MS Gothic | PMingLiU | SimSun |
Windows ME | 돋움체 | MS Gothic | PMingLiU | SimSun |
Windows 2000 | 돋움체 | MS Gothic | PMingLiU | SimSun |
Windows XP | 굴림체 | MS UI Gothic | PMingLiU | SimSun |
Windows Vista | 맑은 고딕(Malgun Gothic) | Meiryo(メイリオ) | Microsoft JhengHei(微軟正黑體) | Microsoft YaHei(微软雅黑) |
Windows 7 | 맑은 고딕 | Meiryo | Microsoft JhengHei | Microsoft YaHei |
Windows 8 | 맑은 고딕 | Meiryo UI | Microsoft JhengHei UI | Microsoft YaHei UI |
Windows 10 | 맑은 고딕 | Yu Gothic UI (游ゴシック) | Microsoft JhengHei UI | Microsoft YaHei UI |
Windows 11 | 맑은 고딕 | Yu Gothic UI | Microsoft JhengHei UI | Microsoft YaHei UI |
MacOS 버전별 언어별 기본 폰트 | |||||
MacOS 버전 | 한국어 | 일본어 | 중국어 간체 | 중국어 번체 (대만) | 중국어 번체 (홍콩) |
OS X 10.10 Yosemite 이전 | AppleGothic | Hiragino Kaku Gothic Pro | Heiti SC | Heiti TC | 해당 정보 없음 |
OS X 10.10 Yosemite 이후 | Apple SD 산돌고딕 Neo | Hiragino Sans | PingFang SC | PingFang TC | PingFang HK |
5. 언어 코드
- ko 한국어
- ja 일본어
- zh 중국어
※ 보통 zh(zh-hans)를 중국어 간체 글꼴, zh-hant를 중국어 번체 글꼴로 사용하며, zh-cn 등 지역 언어 코드는 지역 용어 처리(地區詞處理)에 사용한다.[5]
- 참고 자료: wpzh:字詞轉換處理
6. 글꼴 설명
6.1. 중국(간체자)
- PingFang SC(Simplified Chinese): Mac용 Pages에서 중국어, 일본어 또는 한국어 텍스트 포맷 지정하기를 참고했다. MACOS에서 간체자를 출력할 수 있게 해 준다.
- Noto San SC(Simplified Chinese): 구글에서 제작한 Noto 폰트이다. 대개 Noto Sans Simplified Chinese가 설치되어 있는데 PingFang SC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서 출력된다. 참고로 매우 일부이지만, 한글도 지원한다.
- Microsoft YaHei: 윈도우 11을 다운로드받으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된다. 또한 윈도우 11·10·8의 간체자 기본 폰트가 Microsoft YaHei UI[참고]이다. 상술된 두 폰트가 없을 때 출력된다. 사실상 모든 윈도우 11·10·8 컴퓨터엔 깔려 있을 확률이 높다.
Microsoft YaHei |
6.2. 대만(정체자)
- PingFang TC(Traditional Chinese): Mac용 Pages에서 중국어, 일본어 또는 한국어 텍스트 포맷 지정하기를 참고했다. MACOS에서 대만식 정체자를 출력할 수 있게 해 준다.
- Noto Sans TC(Traditional Chinese): 구글에서 제작한 Noto 폰트이다. 대개 Noto Sans Traditional Chinese가 설치되어 있는데 PingFang TC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서 출력된다. 참고로 매우 일부이지만, 한글도 지원한다. 심지어 옛한글인 옛이응도 지원된다.
- Microsoft Jhenghei: 윈도우 11을 다운로드받으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된다. 또한 윈도우 11·10·8의 기본 정체자 폰트가 Microsoft Jhenghei UI[참고]이다. 상술된 두 폰트가 없을 때 출력된다. 사실상 모든 윈도우 11·10·8 컴퓨터엔 깔려 있을 확률이 높다.
Microsoft Jhenghei |
6.3. 신자체
- Hiragino Sans, Hiragino Kaku Gothic Pro: Mac용 Pages에서 중국어, 일본어 또는 한국어 텍스트 포맷 지정하기를 참고했다. MACOS에서 신자체를 출력할 수 있게 해 준다.
- Noto Sans Japanese: 구글에서 제작한 Noto 폰트이다. 대개 Noto Sans Japanese가 설치되어 있는데 위 두 폰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서 출력된다. 참고로 매우 일부이지만, 한글도 지원한다. 심지어 옛한글도 많이 지원된다.
- Yu Gothic: 윈도우 11을 다운로드받으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된다. 또한 윈도우 11·10의 기본 신자체 폰트가 Yu Gothic UI[참고]이다. 사실상 모든 윈도우 11·10 컴퓨터엔 깔려 있을 확률이 높다. 또한 윈도우
Yu Gothic |
- Meiryo: 상술된 일본어 폰트들이 모두 없을 때 출력된다. 윈도우 8에서는 Meiryo UI가 기본 폰트이다.
Meiryo |
- MS Gothic: 상술된 일본어 폰트들이 모두 없을 때 출력된다.
MS Gothic |
6.4. 홍콩(정체자)
- PingFang HK(Hong Kong): Mac용 Pages에서 중국어, 일본어 또는 한국어 텍스트 포맷 지정하기를 참고했다. MACOS에서 홍콩식 정체자를 출력할 수 있게 해 준다.
- Noto Sans HK(Hong Kong): 구글에서 제작한 Noto 폰트이다. 대개 Noto Sans Hong Kong가 설치되어 있는데 PingFang HK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서 출력된다.
- Microsoft Jhenghei: 윈도우 11을 다운로드받으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된다. 또한 윈도우 11의 기본 정체자 폰트가 Microsoft Jhenghei UI[참고]이다. 상술된 두 폰트가 없을 때 출력된다. 사실상 모든 윈도우 11 컴퓨터엔 깔려 있을 확률이 높다. 참고로 윈도우에서는 대만식 정체와 홍콩식 정체자를 구분해 놓지 않았기 때문에, 모두 기본 폰트로는 동일한 폰트를 쓴다.
Microsoft Jhenghei |
[1] 줄바꿈 문제 발생 시엔
{{{#!html <span style="font-family: 글꼴">텍스트</span>}}}
사용.[a] 홍콩판 윈도우는 우선 글꼴로 대만 한자 기준으로 제작된 Microsoft JhengHei를 사용한다.[3] 정체자의 중국식 명칭.[a] 홍콩판 윈도우는 우선 글꼴로 대만 한자 기준으로 제작된 Microsoft JhengHei를 사용한다.[5] 지역 용어 처리 예시: zh-cn:出租车; zh-sg:德士; zh-my:德士; zh-tw:計程車; zh-hk:的士; zh-mo:的士[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출처[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출처[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출처[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