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4 14:01:17

틀:한반도의 선사 유적

파일:한반도아이콘.svg 한반도 선사 유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석기시대상원 검은모루동굴 유적, 덕천 승리산동굴 유적[1], 만달리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2], 공주 석장리 유적[3], 두루봉동굴 유적[4]
신석기시대서울 암사동 유적, 반구천의 암각화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주 천전리 암각화 ), 제주 고산리 유적[5], 양양 오산리 유적[6]
청동기시대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 고창 죽림리 지석묘군, 화순 효산리와 대신리 지석묘군, 강화 부근리 지석묘 ), 부여 송국리 유적[7], 대구 진천동 입석, 사월동지석묘군, 속초 조양동 유적
초기 철기시대광주 신창동 유적
연속적 시대 대전 둔산 선사유적지구석기~청동기, 하남 미사리 유적신석기~철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구석기~청동기[8]
기타 패총 유적 목록
※ 문서가 있는 경우만 서술. 밑줄은 세계유산.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문서에 나오듯 산 이름이 우상화 지명이라서 통일 후 개명 가능성이 높다.[2] 사적 지정, 학설을 뒤집은 유적[3] 남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유적이며 한강 이남에도 구석기 문화가 있었음을 밝혀냈다.[4] 유적지는 멸실되고 유물만 충북대학교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5] 한반도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이며 구석기에서 넘어온 과도기 모습을 가졌다.[6] 층서가 형성됐고 토기 종류가 다양해 한국 신석기 문화의 변천, 흐름을 잘 보여준다.[7] 한반도 남부 최초 발견된 초기 청동기 유적[8] 해방후 한반도 최초 발견 구석기 유적 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