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4 16:31:41

크리스 골딩

파일:1000071649.jpg
크리스 골딩
Chris Goulding
본명 크리스토퍼 제임스 골딩
Christopher James Goulding
출생 1988년 10월 24일 ([age(1988-10-24)]세)
호주 태즈메니이아 론세스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장 192cm (6' 4")
체중 92kg (203 lbs)
포지션 슈팅 가드
소속 구단 서던 디스트릭트/브리즈번 스파르탄스 (2006~2009)
브리즈번블릿츠(2006~2008)
퍼스 와일드캐츠 (2008~2009)
골드코스트블레이즈(2009~2012)
노스사이드 위저드 (2010~2012)
멜버른 타이거스 (2012~2014)
글래드스톤 포트 시티 파워 (2013)
CA사라고사 (2014~2015)
멜버른 유나이티드 (2015)
오실리움 토리노 (2016)
파리 바스켓 (2023)
칸그레헤로스 데 산투르세 (2025~)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2.2. QBL / SEABL2.3. 국가대표
3. 플레이 스타일4. 여담

1. 개요

호주 국적의 농구선수.

2. 선수 경력

2.1. 클럽

크리스 골딩은 태즈메이니아주 론세스턴에서 태어났다. 그는 West Launceston Primary School에 다녔으며, North Melbourne과 Claremont에서 프로로 활약한 아버지 스티브 덕분에 호주식 풋볼을 즐겼다. 론세스턴에 머무는 동안 취미로 농구를 시작했고, 8살 때 가족과 함께 퀸즐랜드로 이사한 후 본격적으로 농구를 경쟁적으로 시작했다. 브리즈번에서는 Gumdale State School에서 초등학교를 다녔고 이후 Brisbane State High School에서 중등교육을 받았다. 그는 2005년에 Brisbane State High를 졸업했다. 3학년 때 Southern Districts Spartans에서 뛰었다.

2006-07 NBL 시즌 동안 Brisbane Bullets에서 개발 선수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2006년 12월 23일 Townsville Crocodiles와의 경기에서 NBL 데뷔전을 치렀고, 시즌 유일한 출전에서 5분 30초 동안 어시스트 1개를 기록했다. Bullets는 2007년 3월 NBL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골딩에게 첫 타이틀을 안겨주었다. 그는 2007-08 NBL 시즌 동안 Bullets에서 15경기에 출전했으나, 클럽이 해체된 후 2008-09 NBL 시즌에는 서부로 이동해 Perth Wildcats에서 뛰었다.

2009-10 NBL 시즌을 위해 Gold Coast Blaze에서 뛰기 위해 퀸즐랜드로 돌아왔다. 그는 2011-12 시즌 이후 Blaze가 해체될 때까지 3시즌을 보냈다.

2012-13 NBL 시즌 동안 Melbourne Tigers에 합류했다. 2012년 12월 그는 24점을 기록하며 NBL 올스타전 MVP로 선정되었다.

2013년 NBA 서머리그 동안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에서 활약한 후 2013-14 NBL 시즌 동안 타이거스에서 경력을 이어갔다. 2014년 3월 9일, 그는 시드니 킹스를 상대로 92-82 승리를 거둔 경기에서 커리어 최고인 50점을 기록하고 3점슛 9개를 성공시켰다. 이는 NBL 40분제 시대 이후 최초로 개인이 50점을 기록한 경기였다. 그는 경기당 평균 23.0점을 기록하며 리그 득점왕에 올랐다.

2014 NBA 서머리그에서 댈러스 매버릭스 소속으로 뛰는 동안 활약한 후 2014-15 시즌 스페인으로 이적해 CAI 사라고사에서 뛰었다. 그는 Liga ACB 33경기에서 평균 8.6점, EuroCup 16경기에서 평균 11.5점을 기록했다.

2015-16 시즌을 위해 호주로 돌아와 Melbourne United로 알려진 멜버른 프랜차이즈에 다시 합류했다. 그는 팀이 18승 10패로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하고 마이너 프리미어십을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준결승에서 뉴질랜드 브레이커스에게 패했다. NBL 시즌 후 골딩은 이탈리아로 건너가 Auxilium 토리노에서 시즌을 마쳤으며, 10경기에서 평균 4.2점을 기록했다.

2016-17 NBL 시즌을 위해 멜버른 유나이티드로 복귀했지만, 왼쪽 발목 염좌로 인해 28경기 중 22경기만 출전했다. 유나이티드는 13승 15패로 6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고, 시즌 종료 후 골딩은 왼쪽 발목 수술을 받으며 8~10주간 결장했다.

2017-18 NBL 시즌에서 유나이티드를 20승 8패로 이끌며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했다. 유나이티드는 NBL 그랜드 파이널 시리즈에서 애들레이드 36ers를 상대로 3-2로 승리했고, 골딩은 그랜드 파이널 MVP를 수상하며 두 번째 NBL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2018-19 시즌에도 유나이티드로 복귀해 팀을 다시 그랜드 파이널 시리즈로 이끌었지만 퍼스 와일드캣츠에게 1-3으로 패했다.

2019년 12월 NBL 통산 300경기 출전을 달성했다.

2020년 7월 17일, 그는 멜버른 유나이티드와 3년 재계약을 체결했다. 2021년 2월에는 종아리 염좌로 대부분의 경기에 결장했지만, 같은 해 6월 NBL 통산 350경기를 달성했다.

2022년 1월 NBL 통산 5000점을 달성해 Adelaide 36ers의 대니얼 존슨에 이어 이 기록을 세운 두 번째 현역 선수가 되었다.

2022년 8월 25일, 그는 멜버른 유나이티드와 2년 연장 계약을 맺었다. 2022-23 시즌에는 통산 3점슛 1000개와 NBL 통산 400경기 출전을 달성했으며, NBL 시즌 종료 후 프랑스 LNB Pro A의 파리 농구에 합류했다.

2023-24 NBL 시즌에서 2년 연속으로 멜버른 유나이티드 클럽 MVP로 선정되었다. 그는 40분제 시대 이후 최다이자 리그 역사상 4번째로 많은 140개의 3점슛을 기록했다. 또한 All-NBL 퍼스트 팀에 선정되었다. 멜버른 유나이티드는 마이너 프리미어를 차지하고 NBL 그랜드 파이널 시리즈에 진출했지만, 태즈매니아 잭점퍼스에게 3-2로 패했다.

2024년 4월 10일, 멜버른 유나이티드와 2026-27 시즌 종료까지 계약을 연장했다. 2024년 10월, 그는 NBL 통산 450경기를 달성하며 NBL 역사상 단 30명의 선수만이 기록한 이정표를 세웠다. 2024년 11월 9일, 그는 퍼스 와일드캣츠를 상대로 106-97 승리를 거둔 경기에서 46점을 기록하고 3점슛 9개를 성공시켰으며, 이 중 25점을 3쿼터에서 넣었다. 12월 3일, 그는 종아리 부상으로 2주간 결장하게 되었고 4경기를 놓치면서 유나이티드는 3연패를 당했다. 2025년 1월 13일, 그는 뉴질랜드 브레이커스를 상대로 91-89 승리를 거둔 경기에서 42점을 기록하고 3점슛 10개를 성공시켰으며, 경기의 결승 슛도 넣었다. 유나이티드의 준결승 시리즈 1차전에서 그는 퍼스 와일드캣츠를 상대로 105-93 승리를 거두며 41점과 3점슛 10개를 기록해 브라이스 코튼과 존 릴리에 이어 NBL 결승전에서 3점슛 10개를 성공시킨 세 번째 선수가 되었다. 그는 3차전에서도 30점과 3점슛 9개를 기록하며 113-112 승리를 이끌어 유나이티드가 그랜드 파이널 시리즈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유나이티드는 5차전에서 114-104로 패하며 일라와라 호크스에게 시리즈 전적 3-2로 패했고, 팀 최다인 21점을 득점했다.

2025년 4월, 푸에르토리코 Baloncesto Superior Nacional의 칸그레헤로스 데 산투르세에 합류했다.

2.2. QBL / SEABL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골딩은 QBL(2006)과 SEABL(2007~09)에서 서던 디스트릭츠 스파르탄스 소속으로 뛰었다. 2006년 그는 스파르탄스의 챔피언십 우승 멤버였다. SEABL에서 3시즌 동안 그는 2008년과 2009년 2년 연속 East Youth Player of the Year를 수상했고, 마지막 해에는 올스타 파이브에도 선정되었다. 2008년에는 경기당 평균 24.5점을 기록해 리그 2위를 차지했으며 시즌 최고 득점은 43점이었다. 2009년에는 평균 20.8점을 기록해 5위를 차지했고 자유투 성공률(83%) 2위, 3점슛 성공률(39%) 9위, 경기당 어시스트 3개로 7위를 기록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그는 QBL의 노스사이드 위저즈에서 3시즌 동안 뛰었고, 2010년에는 올리그 팀에 선정되었다. 2013년에는 QBL의 글래드스톤 포트 시티 파워에서 3경기에 출전했다.

2.3. 국가대표

청소년 시절, 18세 이하, 19세 이하, 20세 이하 대표팀에서 호주를 대표했으며 2007년 세르비아에서 열린 FIBA 19세 이하 세계 선수권 대회에도 출전했다. 2014년에는 스페인에서 열린 FIBA 월드컵에서 호주 국가대표로 뛰었다.

그는 2015년 FIBA 오세아니아 선수권 대회와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 활약했다. 2018년에는 코먼웰스 게임에서 호주 국가대표 소속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9년에는 중국에서 열린 FIBA 월드컵에 출전했다.

2021년 2월, 부머스 올림픽 대표팀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호주가 동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2024년 11월, 2025년 FIBA 아시아컵 예선에 참가했다.

3. 플레이 스타일


안드레아스 옵스트와 함께 유로 리그에서 알아주는 최상급 슈터 중 한명이다.
2024년 한국과의 경기에서 25분 15초 동안 무려 10개의 3점슛을 폭발시키면서 31점을 넣었다

시그니처 무브는 돌파 후 미드레인지 플레이로 흔들리지 않는 슛 밸런스로 유로 리그에 정평이 나있는 선수다.

4. 여담

  • 아버지는 노스 론세스턴 풋볼 클럽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했으며 2008년 AFL 태즈메이니아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 아버지가 영국인이었기 때문에 영국 국적을 소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