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3 22:19:47

크루켄베르그 수술

1. 개요2. 상세3. 사례

1. 개요

Krukenberg procedure

독일 의사 헤르만 크루켄베르그 (Hermann Krukenberg, 1863~1935)가 1917년에 고안한 팔꿈치 아래의 절단 수술 방법이다. [1]

2. 상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8px-Krukenburg.svg.png

팔꿈치 아래를 절단한 후 남은 척골과 요골을 분리하여, 절단 후 남은 팔 부위를 일종의 펜치처럼 만드는 수술이다.

이 수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절단 부위가 팔꿈치머리에서 10cm이상 남아있어야 하고, 팔꿈치가 수축된 채 고정된 상태가 아니어야 하며 환자 본인의 심리적인 준비 등도 필요하다.

여타 다른 절단/봉합 수술들이 남은 신체 조직을 최대한 살려서 어떻게든 대용품(?)을 제공하거나[2], 아니면 깔끔하게 상해를 입은 부위를 포기해버리는 반면, 이 수술의 경우에는 아예 집게팔로 바꿔버리니 거의 인체 개조급이다. 그냥 깔끔하게 절단 후 봉합하는 것보다 매우 보기 좋지 않고 아예 신체 기관의 기능 자체를 집게로 바꿔버리는 마개조다 보니, 이 수술을 거부하는 의사들이 많다고 한다.

이게 처음 개발되었을 때에는 거의 혁명과도 같았을 것이다. 현대의 그럴싸한 의수 따윈 존재하지 않던 시절이라서, 어떻게든 물건을 집을 수 있게 한다는 것 만으로도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되는 것.

의수가 꽤나 발달한 현대에는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값비싼 의수를 착용할 비용이 없는 이들에게 시행되지만, 선진국에서도 남은 팔 부위의 촉각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점을 활용, 양 팔을 절단한 시각 장애인 환자에게 시행되기도 한다.[3] 또한 이 수술을 시행한 부위의 자기수용 능력과 입치인지 능력이 보존되므로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실제로 양팔을 절단한 후 기계 의수를 착용하다가, 남은 팔 부위를 사용하는 게 더 마음에 들어서 오른쪽 팔에 이 수술을 받아 크게 만족했으며 나중에는 왼쪽 팔에도 같은 수술을 해달라고 요청한 네덜란드 여성의 사례가 2002년도에 보고된 바가 있다.

단, 이 수술을 시행한 후에는 그 부위에 의수를 착용할 수 없다.[4]

3. 사례

생애의 대다수를 통일장 이론을 연구하는 데 보낸 독일의 이론 물리학자 부르크하르트 헤임 (Burkhard Heim ,1925~2001)은 19세 때 실험 사고로 인해 두 팔을 절단하고 시력과 청력을 거의 상실하여 이 수술을 받았었다.

[1] 참고로 그의 동생은 그의 이름을 따서 크루켄베르그 종양이라 이름 붙여진 난소암의 일종을 연구했다.[2] 구글에 절단 수술 사진들을 찾아보면 진짜 답이 안나온다 싶은 상해를 어떻게든 봉합해서 일종의 의수처럼 쓸 수 있게 만든 대단한 수술들이 많이 올라와있다. 굉장히 잔인하므로 이런걸 꺼리낌없이 볼 자신이 없다면 검색하지 않는 것이 좋다... 지뢰 등의 폭발물로 완전히 박살 난 신체에 어떻게든 안 박살난 뼈와 거기에 붙은 살을 수습해서 이리저리 봉합해놓은 것들인데, 집도한 의사들의 집념이 대단하다. 굉장히 보기에 끔찍한 결과물이 나오지만, 어쩌면 현재의 공학/의학 기술로 만드는 의수를 다는 것 보다야 편리 할 수도 있다. 어쨌든 뇌가 직접 통제하는 자신의 신체부위이기 때문에 의수보다야 훨씬 다루기가 쉽다. 이런 장점은 크루켄베르그 수술이 만들어진 이유이기도 하며, 아직도 이 수술이 선진국에서도 간간히 행해지는 이유기도 하다.[3] 의수로는 촉각을 느낄 수가 없다. 그리고 시각 장애인은 촉각에 의존해야하는데 촉각을 포기한다는 것은...[4] 매우 치명적인 단점이며, 이 수술을 하는 것을 매우 부담스럽게 여기는 이유이기도 하다. 의수를 쓰는 것보다 오히려 간편하다곤 하나, 장애를 얻기 이전의 신체를 흉내내는 것이 절대로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은 정말 중대한 문제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