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5 15:46:10

이집트-쿠웨이트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다자관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이집트·수단 공화국·에티오피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리비아·수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유럽·아메리카·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이집트 쿠웨이트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2.2.1. 2000년대2.2.2. 2010년대2.2.3. 2020년대
3. 문화 교류4. 교통 교류5. 대사관6. 관련 문서

1. 개요

이집트쿠웨이트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

걸프 전쟁 때 이집트는 쿠웨이트를 도와주었다.

2.1. 20세기

1992년 5월 4일, 이집트는 쿠웨이트군 재건협력에 합의했다. #

1992년 8월 21일, 미국의 이라크 제재 속에도 이집트로 피신한 쿠웨이트인들이 많았다. #

2.2. 21세기

2.2.1. 2000년대

2003년 3월 21일, 이라크 전쟁이 발발한 후 쿠웨이트에서도 미사일이 날아오자 쿠웨이트에 있던 수백명의 이집트인들이 쿠웨이트 시내 이집트 항공사에 모여 고국으로 가려고 했다. 또한 3월 25일에는 이라크와 쿠웨이트를 탈출한 피란민들 5천여명이 홍해 일대로 도착했다. #, #

2.2.2. 2010년대

2010년 4월 11일, 쿠웨이트는 이집트 대선 후보 중 하나였던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전 사무총장 지지자들을 체포하여 이집트로 추방했다. #

2011년 9월 2일, 쿠웨이트 변호사 10명이 호스니 무바라크 전 이집트 대통령의 변호인단에 합류했다. #

2012년 7월 23일, 쿠웨이트는 이집트에 6천만달러의 차관 제공을 제안했다. #

2013년 7월 3일, 2013년 이집트 쿠데타의 영향으로 쿠웨이트는 이집트에 있는 자국민들에게 가능한 한 빨리 떠나라고 촉구했다. #

2013년 7월 10일, 쿠웨이트는 이집트에 40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7월 14일, 약 2억 달러의 원유와 디젤유를 실은 유조선 2척을 보냈다. #, #

2013년 8월 19일, 쿠웨이트는 무함마드 무르시 전 대통령을 지지했던 이집트인 9명들을 추방하기로 했다. #

2015년 1월 7일, 쿠웨이트 전 야당 의원이 이집트 군부정권을 비난하는 sns글을 올리다 쿠웨이트 당국에 체포되었다. #

2.2.3. 2020년대

2023년 11월, 쿠웨이트는 이집트 중앙은행에 40억 달러 규모의 예금을 갱신했다. #

2023년 12월 18일, 나와프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쿠웨이트 전 국왕이 사망하자, 엘 시시 이집트 대통령도 조문을 위해 쿠웨이트를 방문했다. #

3. 문화 교류

2005년 5월, 쿠웨이트와 이집트 사이에서 축구 경기가 있었다. #

4. 교통 교류

쿠웨이트 항공카이로 국제공항, 샤름 엘 셰이크 국제공항, 보그 엘 아랍 국제공항이 연결되어 있다.

5. 대사관

쿠웨이트 시티에 이집트 대사관이, 카이로에 쿠웨이트 대사관이 세워져 있다.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