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6 20:28:43

케이콘텐츠팩토리

'''
#!if (토론사유 != null)
에 대한
#!if (토론사유 == null)
이 문서에서
#!if (의견수렴 != null)
의견 수렴용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if (의견수렴 == null)
토론 중인 내용을 일방적으로 편집할 경우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관련 규정]]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의견수렴 != null)
[[의견 수렴용 토론]]에 관한 내용은 이하 규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1
 * 의견 수렴용 토론에서는 합의안을 도출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이의 제기 기간의 진행도 불가능합니다.
 * 의견 수렴용 토론에서는 서술 시점의 고정을 하지 않습니다.
}}}}}}}}}}}}


<colbgcolor=#000><colcolor=#fff> 케이콘텐츠팩토리
Kcontentfactory
<nopad> 파일:KakaoTalk_Photo_12025-10-14-16-02-10 012.png
설립일 2025년
법인명 케이콘텐츠팩토리
대표자 케콘바라
업종 크리에이티브 집단, AI 기반 콘텐츠 스튜디오
직원 수 3명
소재지 서울특별시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네이밍의 유래3. 역사 및 특징4. 주요 활동5. 마스코트6. 제작 작품
6.1. 여담
7. 각주

1. 개요

케이콘텐츠팩토리(영어: Kcontentfactory)는 대한민국의 AI 기반 영상·콘텐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티브 집단이자, 스튜디오이다.

멀티버스 저널, 아카이브 보관소, 핵실험용 대피 벙커, 토킹헤즈, 노아의 방주(디지털 ver.), 7천만 서울시민을 위한 발, 혹성탈출을 위한 매개체, 코리안 톰 소여, K-콘텐츠 공장이다.

2. 네이밍의 유래

케이콘텐츠팩토리라는 네이밍의 출발점은 20세기 말 뉴욕 아트 신(Scene)에 대한 관심이었다. 키스 해링을 따라가다 보니 자연스레 앤디 워홀이 1964년 뉴욕 맨하튼 이스트 47번가에 세운 창고형 작업실, ‘팩토리(Factory)’라는 개념에 닿았고, 워홀이 작업실을 스튜디오가 아닌 공장이라 부르며 창작을 연속 생산의 체계로 운영했던 방식이 강한 인상을 남겼다.

케콘팩 팀은 “작업실(스튜디오)”보다 "공장(팩토리)"이 주는 연속성·반복성·확장성의 이미지가 브랜드 지향점(꾸준히 아이디어를 생산·가공)과 부합하다고 생각, 그래서 네이밍의 핵심단어로 ‘팩토리’를 반드시 살리기로 했다.

명칭 조합은 단순하지만 의도가 분명하다. 한국을 기반으로 활동한다는 K(케이), 케콘팩이 다루는 CONTENT(콘텐츠), 그리고 생산 시스템을 상징하는 FACTORY(팩토리)를 결합해 Kcontentfactory, 즉 케이콘텐츠팩토리라는 네이밍을 짓게 되었다.

3. 역사 및 특징

2025년, 서울 종로구 자하문구의 별미곱창에서 설립된 케이콘텐츠팩토리는 AI를 단순히 눈길을 끄는 비주얼이나 오락성을 위한 도구로 쓰지 않고,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풀어내기 위한 창작 도구로 삼는 것을 강조한다.

쟐그린, 망상병 환자, 김군으로 구성된 팀이 생성형 인공지능과 전통적인 후반 작업을 결합해 영화, 애니메이션, 숏폼 영상 등 다양한 이야기를 제작한다.

스튜디오는 자신들을 "멀티버스 저널", "아카이브 보관소", "핵실험용 대피 벙커", "토킹 헤즈" 등으로 소개하며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선보이고 있다.

한 매체는 케이콘텐츠팩토리가 "단순한 비주얼이나 오락성에 머물지 않고,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풀어내기 위해 AI를 도구로 삼는다"고 소개했다

팬 커뮤니티가 제작한 팬아트에서 영감을 받아 패러디 영상을 제작하는 등 팬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강조한다.

4. 주요 활동

<주간 케콘팩>: 매주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를 통해 공개되는 숏폼 콘텐츠. AI로 생성한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뉴스 패러디, 미니 드라마 등을 선보인다.

<도라코프> 시리즈: 일본 애니메이션 <도라에몽>을 성인풍 청춘 드라마로 재구성한 숏폼 시리즈로, 노진구는 취업 준비생, 도라에몽은 대기업 CEO라는 설정이다. 1화는 2025년 7월 공개 후 큰 주목을 받았다.

<트레버>: 스톱모션 클레이 코미디 병맛 메타풍 숏폼 시리즈로 재구성한 작품으로, 주인공 트레버는 늘 가만히 서 있는 21세 청년, 주변 인물들은 그에게만 보이는 히스테릭한 상상 친구들로 설정된다. 1화 〈Field Trip〉은 2025년 공개와 함께 고정 카메라·로파이 질감, ‘툭’으로 끝나는 엔딩과 스튜디오가 드러나는 메타 반전으로 시리즈의 톤을 확립했다.

5. 마스코트

케콘바라는 케이콘텐츠팩토리의 마스코트이자 전설적인 멀티버스 방송인이다. 제52우주 카피바라 고원 출신으로,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최초의 설치류라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187차원 동시 방영 토크쇼 “KBARA SHOW” 호스트.

《트루먼쇼》의 스핀오프 《리얼바라쇼》의 주인공으로 캐스팅되어 카메라를 찾아 탈출한 에피소드가 있다.

2025년 지구 진출작으로 케콘바라가 MC를 맡은 《주간 케콘팩》을 통해 지구 팬들과 만나고 있다.

케콘바라는 케이콘텐츠팩토리의 세계관을 안내하는 안내자 역할을 하며, 굿즈와 브랜딩 요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6. 제작 작품

주간 케콘팩 (2025~)
도라코프 시리즈 (2025~)
스트리트 파이터 III: 침착한 전사들 (2025)

6.1. 여담

팬들은 케이콘텐츠팩토리를 줄여 "케콘팩"이라는 애칭으로 부르곤 한다.

7.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