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03:18:55

케이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radius:8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8524F 15%,#36302D 50%, #58524F 8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파일:케이대 로고.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f; min-width: 33.33%"
{{{#!folding [ 이사장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 파일:파트너BJ 메달.png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케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f; min-width: 33.33%"
{{{#!folding [ 총장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 파일:파트너BJ 메달.png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김학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f; min-width: 33.33%"
{{{#!folding [ 부총장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 파일:테란아이콘.png 정영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f; min-width: 33.33%"
{{{#!folding [ 교수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 파일:테란아이콘.png 정민기 파일:파트너BJ 메달.png파일:저그아이콘.png 이제동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장윤철
파일:저그아이콘.png 깨모다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홍덕
파일:저그아이콘.png 고석현
}}}}}}
[ 코치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width=10000px>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유민 ||<width=50%> 플레잉 코치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보혜 ||
[ 학생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width=10000px> 파일:테란아이콘.png 모꿀몬 ||<width=33%> 파일:저그아이콘.png 늑대채린 ||<width=33%> 오락부장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슬돌이 ||
파일:테란아이콘.png 규리야 파일:저그아이콘.png 찌킹 학생회장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김뽀뇨
파일:테란아이콘.png 내가먼지 파일:저그아이콘.png 구루미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팥순
파일:저그아이콘.png 밍도릿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양유정
파일:저그아이콘.png 또해영
[ 유스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width=10000px> 공석 ||
}}}}}} ||

1. 개요

에서 활동중인 스타크래프트 크루. 이사장은 케이이며, 최초의 투트랙[1] 스타대학교이다.

2. 역사

2023년 9월 5일, 케이가 거성대(묵섭대)를 인수하여 해체 후 재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원래는 부천에서 보라 컨텐츠를 진행하던 거루가 2023년 6월 17일에 '거성대'라는 명칭으로 설립한 대학이었지만 2023년 9월 초, 과거 본인의 유죄로 확정났던 송병구 -지유 부부와의 어떤 사건을 스스로 재점화시키면서 모든 민심을 잃고 사실상 스타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으면서, 거루는 졸지에 쫓겨나듯이 스타판을 떠나게 되었다. [2]

하루 아침에 주인이 날아간 거성대는 일단 임진묵과 섭이를 중심으로 가칭 '묵섭대'라는 과도기 성격의 임시 비상대책위 체제로 이어졌고, 구 거성대 인원들을 잔류시키는 동시에 대학을 운영해줄 새로운 이사장을 물색했는데, 여러 BJ들을 컨택하던 와중 마침 과거 파이스트에서 활동했었으며 여전히 스타판에 관심이 있었던[142] 2023년 9월 5일, 케이가 이사장 직위를 수락하면서 거성대를 완전히 해체하고 케이대로 새롭게 재창단하게 되었다. 창단식은 2023년 9월 10일에 열렸다. 개편되는 과정에서 구 거성대 시절의 인원들을 대부분 숙청하고 케크루 멤버들 중 일부를 데려오는 등, 케이 특유의 강남 럭셔리 색채를 새롭게 주입해 나갔다. 23년 9월 이후 대학/동아리판에 불었던 유스 영입 바람을 주도하기도 했는데, 상기한 케크루 출신 멤버들 유입도 여기에 해당하며 이 유스들이 성장해 이후 새로운 8티어 집단을 형성하며 정말 오랜만의 대학/동아리판 뉴티어 여캠 유입이 나름 성공적인 결과로 안착되게 되었다. 이때 선발된 케이대 유스 1기로 나는푸르, 소주양, 길영, 센또, 안부, 백갑숙이 있다.

처음에는 거성대 시절부터 총장이었던 전 프로게이머 임진묵이 총장직을 유임했으나 아프리카 대학대회 8강 탈락 이후 자퇴했으며, 이후 오랫동안 총장 정영재, 부총장 민찬기 체제가 이어졌다. 이후 송병구가 총장으로 영입되면서 정영재는 부총장으로 내려갔고, 송병구가 개인사로 대학을 자퇴하고 장기 휴방을 하면서 김학수가 총장으로 영입되었다.

아프리카 메이저 BJ 중 한 명인 케이가 이사장으로 들어오면서 이전까지 마이너 부천 대학이었던 거성대는 나름 메이저 느낌의 스타대학교로 거듭나게 되었으며[3] 그 덕분인지 박준오, 민찬기 등의 전 프로게이머와 여러 스타 유스들을 신규 영입할 수 있었다. 파이스트 때의 기억 때문에 테란 구성원에 대한 갈증이 많았는지, 테란 코치진들이 나름 화려하고 키우기 정말 힘들다는 저티어 테란들도 있다.

하지만 엑셀부가 크게 성공하면서 케이의 관심은 점점 케이대에서 멀어져만 갔는데, 정영재-민찬기 등에게 사실상 모든 것을 맡기고 소위 '자동사냥'에 들어간 케이는, 자신의 개인 방송에서마저 케이대를 점점 언급하지 않게 되었다. 이 무관심의 부정적 결과는 결국 2024년 상반기에 열린 큐센배 JPL 과정에서 터져 나오고 말았는데, 대학대전 준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멤버들의 이름에 걸맞지 않는 무기력한 졸전이 이어졌으며 결국 24년 3월 14일의 YB전에서 대패(1:4)[144]하며 전체순위 하위권 탈출에 실패한 케이대는 급격하게 흔들렸고, 구심점이 날아간 각자도생의 비관적 분위기가 팀 전체를 지배하게 되었는데, 그 와중에 전신인 거성대 시절부터 활동한 프발이 자퇴를 선언했다가 번복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이를 지켜보는 여론은 주로 케이의 무신경한 모습에 비판적인 상황이었으며, 케이대가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을지 회의론이 있었다.

팀 충성도가 높은 김뽀뇨, 프발을 중심으로 케이대 살리기 프로젝트가 시도되었으나 세부 사항들에 회의적이었던 민찬기에게 컷당하면서 갈등이 일어나고 있다. 결국 케이가 기뉴다를 구원투수로 낙점하고 직접 영입제안을 넣었지만 영입에 실패하고 말았다.

이후 JPL에서 엑셀계 라이벌 철구씨나인, 그리고 디펜딩 챔피언 JSA를 연파하며 전체순위 중위권으로 도약, 가라앉았던 팀 분위기를 수습하며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어 4월 19일의 NASA전에서도 4:3으로 진땀승하며 3연승에 성공하며 전체순위 4위로 상승했는데, 상대가 꼴찌급 팀이라 압도적으로 이길 줄 알았지만 정작 찌킹의 역대급 본헤드 엘리미네이션 패배가 나오는 등, 하마터면 자신들이 'NASA 유치원'이라고 얕잡아보던 팀에게 패할 뻔했다. 99:1 상황에서 어처구니없이 뒤집히며 성토의 대상이 된 찌킹은 그나마 에결에서 설욕하며 셀프 세탁에 성공했다.

한편 한때 케이의 방치로 시들해졌던 팀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기 위해 24년 4월 7명의 새로운 유스들을 영입했다. 오디션으로 진행되었으며 안화, 리하, 구승이, 솔티, 유복이, 도예, 새차미가 선발되었다. 하지만 23년 9월의 유스 1기와는 달리, 유스 2기는 조기 자퇴가 이어졌고, 실력/방송적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유스도 딱히 없었으며, 일부는 케이대 주력 여자 멤버들과 마찰을 빚기도 하는 등, 흉작 그 자체였다. 결국 대부분의 유스 2기 멤버는 케이대는 커녕 스타판 정착에도 실패하여 거의 모두가 스접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다만, 유스 2기 초기 선발된 7명 이후 나중에 추가로 영입된 내가먼지와 양유정이 수확으로 남았다.

이후 거성대 시절 멤버였지만 팀플 대회서 논란을 일으켜 방출되었다가 NASA를 거쳐 돌아온 코치 정민기, 늪지대 출신 테란 규리야를 영입하며 JPL 이후를 준비했다.

24년 5월 16일, 흑카데미를 4:3으로 꺾고 흑카데미에게 플옵 탈락을 선사했다. 연다람지김뽀뇨가 심각한 모습으로 패하는 문제를 드러냈고 승리한 묘아와 안부의 경기력도 문제가 많았는데, 마침 이날 일일 대학 수장 컨텐츠로 케이대와 함께 하게 된 김봉준은 연다람지, 김뽀뇨를 혹평하며 데일리 워스트로 꼽았으며, 경기를 지켜 보던 YB의 염보성은 예전 염석대 시절의 강력했던 모습이 사라진 연다람지의 부진에 큰 실망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연다람지는 JPL 1승 4패로 개인 순위 최하위권으로 추락했다. 반면 길영은 1:3 위기서 나무랄 데 없는 실력으로 5, 6경기에서 연속 승리하며 팀을 구해냈고 김봉준의 감탄사를 이끌어냈다. 덕분에 담당이었던 액션구드론까지 천의 얼굴이라며 눈도장 찍은 건 덤.

24년 5월 31일, 정중만의 갖은 기행과 실책으로 다 무너져가던 보신대를 4:1로 완파하며 JPL 정규시즌 일정을 끝마쳤으나 자력 플옵 진출은 불가능한 상황. JPL 정규시즌 최종전인 늪지대 vs 묵섭대 전의 결과에 따라 플옵 진출 여부가 결정나게 되었다. 이 경기가 에결까지 성사된다면 그 자체로 케이대의 탈락은 확정. 이후 6월 3일의 늪지대 vs 묵섭대 전에서 케이대 멤버들은 한마음으로 늪지대를 응원했는데, 3:1로 앞서던 늪지대가 3:2로 추격당하며 에결 성사 직전까지 가자,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김뽀뇨 등 케이대 멤버들의 표정은 급속히 어두워졌다. 하지만 결국 늪지대가 4:2로 승리하며 3위를 확정지었고 케이대는 구사일생으로 묵섭대를 밀어내고 5위를 확정지으며 플옵 진출에 성공했다. 하필 묵섭대는 수장부터가 케이와 갈등관계인데다 케이대 출신들이 여럿 포진해있는 '안티 케이' 이미지의 팀이고 지난 JPL 대결에서도 묵섭대에게 패했었기에 케이로서는 속시원한 설욕을 한 셈.

24년 6월 6일, 4위 할없녀와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2:5로 완패하며 JPL의 모든 일정을 끝마쳤다.

이후 해체된 할없녀의 주력 교수진이었던 송병구와 홍덕을 모두 영입해 팀을 송병구 총장-정영재 부총장 체제로 재편했다. 이를 전후해 일부 주력 멤버와 유스간의 갈등 및 일부 교수 학생간의 갈등이 일어나며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6월 21일에는 과거 바스포드 해체 이후 대학판과 거리를 두었던 거물 이제동을 영입하며 쭉뱅동재라는 4갓티어 호화 교수진을 완성하는 데 성공했다. 7월로 예상되는 철구 대회 우승을 향한 케이의 야욕이 잘 드러나는 부분.

24년 7월 1일, 민찬기의 주도로 전 늪지대 멤버 양유정을 유스로 영입했다. 과거 염보성과의 키갈로 스타판에는 강렬한 인상을, 염보성에게는 짜릿한 기억과 쓰라린 아픔을 동시에 남긴 채 홀연히 사라졌던 양유정의 재출현에 케이대 팀원들은 어딘가 아리송한 반응을 보였다.

24년 7월 7일, JSA와의 대학대전에서 5:3으로 승리했다. JPL 종료 후의 리빌딩 실패로 저티어 라인이 망가져버린 JSA를 상대했음에도 속시원한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는데, 찌킹과 안부가 보여준 최악의 경기력은 팀원과 팬들 모두에게 극심한 감정소모를 유발하고 말았고, 역시나 호화로운 건 교수진 뿐이라는 실태를 증명하고 말았다. 안부는 패배시 퇴학이 예정되어 있던 JSA 선정은과 두 경기 연속으로 대결하며 완전히 끝장을 낼 수도 있었지만, 지켜보던 팀원들이 폭발할 정도의 최악의 경기력으로 겨우 1승 1패를 기록, 선정은을 퇴학시키는 데 실패하며 되려 자신이 퇴학고사 대상이 되었다. 찌킹도 연이은 심각한 실수들로 인해 연수에게 질 뻔했기에 다음 번에도 같은 실수 시 퇴학이라는 경고를 받게 되었다.

씨나인배에서는 대회 직전 무소속인 늑대채린, 8강 직전 슬돌이를 영입하며 로스터를 더 보강했다. 투표 4위로 유일하게 3대학조인 D조에 배정되었고, 히든룰로 지목한 섭이대가 데려온 우끼끼즈를 늪지대와 바꿔버려 2승으로 깔끔하게 1위로 8강에 갔지만, 8강서 중만대한테 1:5로 무너지며 허무하게 대회를 마쳤다.

이후 점호서 우마루대장, 묘아, 안부와 이별하고, 갓지니를 영입했다.

24년 마지막 대회인 라네트배에서는 조별 예선서 B조에 배정되어 간신히 2위로 8강에 진출, 8강서 씨나인을 상대로 0:3을 5:4로 뒤집고 4강에 진출했지만, 예선 당시 1:4로 졌던 츠캄몬스타즈에 2:5로 무너지며 케이의 9/5 잔혹사만 끊은걸로 만족해야 했다.

라네트배 이후 송병구와 김병수, 액션구드론이 떠나고, 저그 교수로 김경모고석현, 연도기 역할로 유민, 새 총장은 더케이 루키를 책임지던 김학수를 합류시키며 재정비를 했다. 그러면서도 팥순, 이아깽도 주워오며 학생진도 보강했다.

25년 3월부터 시작된 JPL 시즌 2에서는 안정적인 교수진과 슬돌이(3티어), 규리야(4티어), 내가먼지(7티어) 등 각 티어 에이스들의 활약으로 좋은 출발을 보이고 있다.

3. 특징

수장 케이의 강력한 자금력으로 복지가 상당히 좋은 편이며, 특히 회식 등 먹는 것에 대한 지원이 아낌없기로 유명하다. 멤버 영입을 활발하게 하는 크루로, 괜찮은 매물이 나오면 적극적으로 영입 경쟁에 나서며, 그만큼 인원도 많고 멤버 변동도 큰 편이다. 이제동 등 네임드 게이머와 견실한 코치진을 영입하고, 스타판에서 이름값이 있는 중견 여캠들을 데려오고 좋은 유스들을 키워내며 균형잡힌 로스터를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 현재 멤버

전신인 거성대 시절부터 계속 활동 중인 원년 멤버는 김뽀뇨와 찌킹이 있다.

4.1. 교수 및 코치

4.2. 학생

5. 전 멤버

5.1. 교수 및 코치

임진묵, 구성훈, 섭이, 한울보리, 원선재, 서문지훈, 배호연, 유성민, 김병수, 김범수, 토스봇, 프발

5.2. 학생

재연, 연둥바둥, 김하율, 연다람지, 방실이, 이루리, 미니언, 별비, 나는푸르, 루루, 연애인, 센또, 안부, 백갑숙, 길영, 조이, 유채아, 헤니, 꽃첨지, 리하, 안화, 유복이, 구숭이, 솔티, 도예, 새차미, 이아깽
[1] 수장이 엑셀 방송스타대학교를 동시에 운영하는 크루. 2024년 이후로는 대부분의 스타 크루가 이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2] 거루는 2025년 다시 스타판으로 돌아와 거성대를 재창단한다.[3] 단, 엑셀부와의 병행이라서 관심도가 분산되어 대학대전 펀딩 등에서 저조한 결과를 보이는 경우들이 생겼다. 하지만 2023 스타크래프트 멸망전 대학대전 사전 투표 때는 막강한 자본력과 화려한 인맥을 동원해서 메이저 철기대를 누르고 투표 1위를 달성하는 등, 케이의 명성에 걸맞은 모습을 보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