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1 19:47:49

칼라트라바 기사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0%, #ffffff 20%, #ffffff 80%, #ECECE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제기사단
파일:Cross_of_the_Knights_Hospitaller.svg 파일:Croix_de_l_Ordre_du_Saint-Sepulcre.svg 파일:Knights_Templar_Cross.svg 파일:Lazarus_cross.svg 파일:튜튼 기사단 문장.svg
몰타 기사단 성묘 기사단 성전 기사단 성 라자로 기사단 튜튼 기사단
[[예루살렘 왕국|
파일:예루살렘 왕국 국기.svg
]] 예루살렘 왕국
1099년
[[예루살렘 왕국|
파일:예루살렘 왕국 국기.svg
]] 예루살렘 왕국
1099년
[[예루살렘 왕국|
파일:예루살렘 왕국 국기.svg
]] 예루살렘 왕국
1118년
[[예루살렘 왕국|
파일:예루살렘 왕국 국기.svg
]] 예루살렘 왕국
1118년
[[예루살렘 왕국|
파일:예루살렘 왕국 국기.svg
]] 예루살렘 왕국
1192년
국내기사단
파일:Cross_of_the_Order_of_Saint_James_of_Altopascio.png 파일:Cross_monreal.svg 파일:Ordem_Avis.svg 파일:Cross_wing_saint_michael.png 파일:Cross_Calatrava.svg
알토파시오의
성 야고보 기사단
몬레알 기사단 아비스 기사단 성 미겔 날개 기사단 칼라트라바 기사단
[[토스카나 변경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토스카나 변경주
1075년
[[예루살렘 왕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 아라곤 왕국
1124년
[[포르투갈 왕국|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포르투갈 왕국
1176년
[[포르투갈 왕국|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포르투갈 왕국
1147년
[[카스티야 왕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 카스티야 왕국
1158년
파일:Croix_de_l'Ordre_Hospitalier_du_Saint-Esprit.svg 파일:Aubrac_sceau.jpg 파일:Cross_Santiago.svg 파일:Badge_of_the_Order_of_Alcantara.svg 파일:Cross_of_order_of_mountjoy.svg
성령 기사단 오브락 기사단 산티아고 기사단 알칸타라 기사단 마운트조이 기사단
[[프랑스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왕국
1161년
[[프랑스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왕국
1162년
[[카스티야 왕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 카스티야 왕국
1170년
[[카스티야 왕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 카스티야 왕국
1177년
[[십자군|
파일:라틴 십자가.svg
]] 십자군
1180년
파일:Order_of_St_Thomas_of_Acre_cross.svg 파일:Cross_of_order_of_mountjoy.svg 파일:Croix_Gueules.png 파일: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 문장.svg
트루히요 기사단 성 토마스 기사단 몬프라게 기사단 성 조지 기사단 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
[[카스티야 왕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 카스티야 왕국
1188년
[[잉글랜드 왕국|
파일:영국 국기.svg
]] 잉글랜드 왕국
1191년
[[카스티야 왕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 카스티야 왕국
1196년
[[아라곤 왕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 아라곤 왕국
1201년
[[십자군|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 리보니아 주교령
1202년
파일:Dobrzynski_braty.svg.png 파일:Cross_of_MJC.svg 파일:Order_of_the_Faith_and_Peace.jpg 파일:Cross_with_red_star.svg 파일:Militia_of_Jesus_Christ.jpg
도브진 기사단 예수 그리스도 믿음 기사단 믿음과 평화 기사단 붉은별과 십자가 기사단 예수 그리스도의 군대
[[폴란드 왕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 폴란드 왕국
1216년
[[프랑스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왕국
1221년
[[프랑스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왕국
1231년
[[보헤미아 왕국|
파일:체코 국기.svg
]] 보헤미아 왕국
1233년
[[이탈리아 왕국(신성 로마 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이탈리아 왕국
1233년
파일:Cross_frati_gaudenti.png 파일:Emblema_OrdendSantaMariadEspaña.svg.png 파일:Cross_montessa.svg 파일:Cross_of_the_Military_Order_of_Christ.svg 파일:Insignia_Hungary_Order_Ordo_Draconum_History.svg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사단 스페인의 성모 마리아 기사단 몬테사 기사단 그리스도 기사단 드래곤 기사단
[[이탈리아 왕국(신성 로마 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이탈리아 왕국
1261년
[[카스티야 연합왕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 카스티야 연합왕국
1701년
[[아라곤 왕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 아라곤 왕국
1317년
[[포르투갈 왕국|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포르투갈 왕국
1317년
[[헝가리 왕국|
파일:헝가리 국기.svg
]] 헝가리 왕국
1408년
파일:Cross_of_saint_Maurice.svg 파일:Ordem_Militar_da_Torre_e_Espada.svg 파일:Order_of_Our_Lady_of_Bethlehem.jpg 파일:311St.Georgs_Ritterorden_Einsetzung_durch_Papst_Paul_II.jpg 파일:Croix_constantinien.svg
성 모리스 기사단 탑과 칼 기사단 베들레햄의 성모 기사단 성 게오르크 기사단 성 조르조 콘스탄티노
신성 기사단
[[사보이아 백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사보이아 백국
1434년
[[포르투갈 왕국|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포르투갈 왕국
1459년
[[오스만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오스만 제국
1459년
[[오스트리아 대공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대공국
1469년
[[베네치아 공화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베네치아 공화국
1545년
파일:Cross_of_saint_stephen.svg
성 스테파노 교황
순교자 기사단
[[토스카나 대공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토스카나 대공국
1561년
실제로 군사 목적으로 활동한 기사단만을 기재 }}}}}}}}}}}}}}}
스페인 왕실 인정 4대 기사단
갈리시아 카스티야 아라곤 포르투갈
산티아고
기사단
칼라트라바
기사단
몬테사
기사단
알칸타라
기사단
파일:Badge_of_the_Order_of_Calatrava.png
에스파냐어 Orden de Calatrava
포르투갈어 Ordem de Calatrava
영어 Order of Calatrava
파일:external/1.bp.blogspot.com/escanear0636.jpg
왼쪽의 말을 타고 깃발을 든 인물이 칼라트라바 기사단원이다. 우측의 방패를 든 기사는 같은 스페인의 기사단인 산티아고 기사단원.
1. 개요2. 서브컬처

1. 개요

12세기카스티야알폰소 7세가 무슬림으로부터 수복한 칼라트라바[1]의 이름을 따서 만든 기사단. 1147년 막 수복하여 당시 카스티야 왕국의 최남단 국경에 위치했던 칼라트라바 일대를 방어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무슬림 세력을 몰아내는 레콩키스타가 주된 목적이었다. 수도사인 디에고 벨라스케스 신부가 제안한 것으로 1157년 창설되어 1164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의 승인을 받았다. 같은 카스티야, 갈리시아 기반인 산티아고 기사단, 아라곤 왕국 기반인 몬테사 기사단, 포르투갈 국경지대 중심의 알칸타라 기사단과 함께 현대까지도 스페인 왕실이 부여하는 명예 기사 작위 단체로 존속하고 있는 4개 기사단 중 하나이다.

2. 서브컬처

  • 크루세이더 킹즈 2: 아브라함의 자식들 DLC에서 기독교 강화 목적을 위해 산티아고 기사단과 함께 추가되었다. 나중에 추가된 만큼 숫자나 질은 3대 기사단에 비해서는 떨어지는 편이지만, 안 그래도 다른 종교는 1개씩밖에 못 가진 기사단을 가톨릭만 3개 가져서 OP라는 소리가 나오던 와중에 누가 밸런스 기대하고 크킹 하냐는 듯 가톨릭 기사단 2개가 또 추가된 것이니 불평하면 가뻔뻔이다.
  • 헬싱: 제9차 공중기동 십자군의 구성원으로 등장한다. 정확히는 칼라트라바 라 누에바 기사단으로 참전. 십자군 전체 3172명 중 가장 소수인 118명이 해당 기사단 소속이다. 이후 다른 기사단처럼 최후의 대대와 교전하다가, 난입한 아카드에게 전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1] 칼라트라바라는 이름은 8세기에 이 지역을 지배하던 무어인 귀족의 이름에서 파생되었다고 한다. 그의 이름은 라바흐(Rabah)였는데 그가 지배하던 이 곳은 톨레도코르도바 사이의 길목에 있는 요충지였기에 '라바흐의 요새'라고 불렸다. 이를 아랍어로 하면 قلعة رباح 이고 로마자로 표기하면 Qalʿat Rabāḥ(콸랏트 라바흐) 인데, 여기서 칼라트라바라는 명칭이 파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