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2:16

치하/실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치하
九七式中戦車 "チハ"
파생형 실전 운용국 미디어 모형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운용국 문서 내 대한민국 문단은 완전히 삭제한다.}}}}}}}}}
1. 개요2. 대전기
2.1. 중일전쟁
2.1.1. 대륙타통작전
2.2. 소련-일본 국경분쟁
2.2.1. 할힌골 전투
2.3. 제2차 세계 대전
2.3.1. 태평양 전쟁
2.3.1.1. 남방작전
2.3.1.1.1. 코레히도르 전투
2.3.1.2. 과달카날 전역2.3.1.3. 임팔 전투2.3.1.4. 필리핀 탈환전2.3.1.5. 사이판 전투2.3.1.6. 이오지마 전투
2.3.2. 소련-일본 전쟁
2.3.2.1. 만주 전략 공세 작전2.3.2.2. 슘슈 섬 전투
3. 냉전
3.1. 국공내전
3.1.1. 요심 전역3.1.2. 진저우 공방전3.1.3. 화이하이 전역
3.2. 도호쟁의3.3. 6.25 전쟁
3.3.1. 중공군 1차 공세

1. 개요

치하 전차는 1937년, 중일전쟁 당시 실전을 치렀으며, 이후 2차 대전이 발발하고 유럽 전선 및 북아프리카 전역을 제외한 일본 제국이 참전한 전선에서 끊임없이 등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쟁에 동원된 것은 6.25 전쟁으로, 이후에는 예비 장비 및 치장 물자로 운용되었다가 퇴역하였다.

2. 대전기

2.1. 중일전쟁

파일:Japanese_mechanized_forces_marching_towards_Lo-yang.jpg
중일전쟁 당시 뤄양 시로 진격 중인 일본 제국 육군 산하 기계화부대 소속 치하 개량형[1]
치하는 중일전쟁 당시 최초의 실전을 치렀으며, 당시 선채용된 하고와 함께 편제되어 대전차전은 하고에게 맡기고 치하는 벙커나 가옥, 대전차방호물 등을 격파하는 보병전차의 역할을 맡았다.

특히 치하는 대전차화기가 부족한 국민당군을 상대로 큰 효과를 보았는데, 이 때문에 고관통 전차포의 개발성을 느끼지 못한 일본군은 이를 1942년경까지 계속 사용하게 되어, 후일 일어난 할힌골 전투와, 태평양 전쟁 시기 M3 스튜어트와의 전차전에서 큰 피해를 입게 된 원인이 되었다.

물론 중화민국 국민정부 측에서도 빅커스 Mk. ET-26RT 같은 명품 고성능 전차들을 투입하여 어느 정도의 대등함을 보였지만 1942년 이후, 새롭게 무장을 교체한 치하 개량형의 등장으로 중국 각지에 있던 치하들도 개량화를 진행하였으며, 이 치하 개량형들은 중화민국 국민정부 소속의 기갑차량들에게 큰 출혈을 강요하였다.

2.1.1. 대륙타통작전

파일:IJA_3rd_tank_division,_Shin-Hoto_tank,_Ichi-go.jpg
대륙타통작전 당시의 일본 제국 육군 산하 제3전차사단 소속 치하 개량형
1944년 중일전쟁이 막바지로 치닫고, 전황이 불리해진 일본군이 최후의 공세를 진행한 대륙타통작전 당시 다수의 치하, 치하 개량형이 투입되어 사용되었으나, 결국 이는 지구 반대편 나치 독일의 아르덴 대공세와 다를 게 거의 없는 결과를 낳았다.

2.2. 소련-일본 국경분쟁

2.2.1. 할힌골 전투

파일:800px-Battle_of_Khalkhin_Gol-Japanese_Type_89_Chi-Ro_midium_tank.jpg
할힌골 전투 당시의 일본 제국 육군 소속 치로와 치하
치하는 할힌골 전투 당시 일본군 역사상 최초의 전차전을 치렀다. 그러나 이런 거창한 부제와 다르게, 치하의 97식 57mm 전차포는 소련군의 BA-6나 BA-10M과 같은 장갑차는 쉽게 격파하였지만 BT-5T-26을 격파하지 못하여 역으로 격파되기도 하였으며, 심지어 몇몇 차량은 노획되기도 하였다.

2.3. 제2차 세계 대전

2.3.1. 태평양 전쟁

파일:external/i60.tinypic.com/6glim9.jpg
미군 제716전차대대 소속 M4A2 셔먼과 일본 제국 육군 소속 제7전차연대 소속 치하 개량형 "1502번차" 간의 전투를 묘사한 일러스트[2]
태평양 전쟁 중 벌어졌던 동남아시아 전역 당시 일본 제국 육군과 일본 제국 해군 육전대의 주력 기갑차량으로 운용되었으며, 전쟁 초반부까지만 하더라도 미군 및 영연방군과 대등한 전과를 이뤄냈지만 이렇게 고배를 마신 미군은 전쟁 중반부가 되면서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았고, 기존의 빈약하던 스튜어트 전차를 대체하고 M3 리M4A2 셔먼을 전장에 출격시키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는데, 이는 일본군에게 좋은 소식이 절대로 아니었다.

우선적으로 그나마 M3 리는 전면에서 47mm 포로 격파가 가능하였지만, M4A2 셔먼은 초근접이 아닌 이상 정면에서 날아오는 포탄을 모조리 도탄내며 포 구경이 거의 2배 차이나는 75mm 포로 치하들을 때려잡고 다니게 되며 치하의 좋은 시절은 끝나게 된다.

게다가 보병들에게도 본격적으로 M1 바주카 대전차로켓이 지급되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게 되었고, 일부 차량들은 정글 속에 가까이 숨어있다가 지근거리 기습으로 셔먼을 격파했었지만, 그 직후에는 역습을 받아서 괴멸당하는 일이 잦았다.
2.3.1.1. 남방작전
파일:1942_Chi-ha_batan.jpg
남방작전 당시 루손 섬에 진입 중인 일본 제국 육군 소속 치하
동남아시아 전역의 신호탄이었던 남방작전 당시 다수의 개체가 필리핀을 포함한 말레이 도서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물자와 장비가 부족한 연합군을 엄청나게 압박하였으며, 남방작전이 성공하게 되었다.

추가로, 이 시기 노획한 M3 스튜어트와의 전훈을 바탕으로 기병전차와 보병전차 교리가 구식화되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 일본군 측에서는 1식 기동 47mm 속사포로 무장을 교체한 치하 개량형을 개발하게 되었다.
2.3.1.1.1. 코레히도르 전투
파일:Type 97 Chi-Ha KAI on the island of Corregidor.jpg
코레히도르 전투 당시 미군의 요새를 침공 중인 일본 제국 육군 산하 제7전차연대 소속 치하 개량형
1942년 5월에 개발이 완료된 치하 개량형은 코레히도르 전투 시기 최초의 전투를 치렀으며, 미군의 M3 스튜어트를 상대로 대등하게 맞서 싸웠다.

이에 미군은 사태가 심각하다고 판단하여 M3 리 전차를 실전 투입하게 되었다.
2.3.1.2. 과달카날 전역
파일:과달카날_치하.jpg
과달카날 전역 당시 솔로몬 섬 마타니카우 강 하구에서 격파된 일본 제국 육군 산하 제1전차독립중대 소속 치하[3]
과달카날 전역 당시 다수의 차량이 일본군 소속으로 투입되었지만 미 해병대에 의해 다수가 격파되고, 결국 과달카날 전역에서 연합군이 승리하며 일본군은 과달카날 도서 지역을 상실하고,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연합군에게 승기가 기울게 되었다.
2.3.1.3. 임팔 전투
파일:imphal_CHi-HA.jpg
임팔 전투 당시 유기된 일본 제국 육군 산하 제14전차연대 소속 치하 개량형
임팔 작전 당시 제14전차연대 소속으로 다수의 치하가 투입되었으나, 작전 자체에 큰 문제가 있던데다가 보급도 원활하지 않아 전량 격파 혹은 영연방군에 의해 노획되었다.
2.3.1.4. 필리핀 탈환전
파일:Ruzon_island_Chi_ha.jpg
루손 섬 전투 중 격파당한 일본 제국 해군 육전대 소속 치하 개량형
필리핀 탈환전 당시 루손 섬에서 일본군이 주력 전차로 사용했으나, 치하 개량형을 경계하여 미군 측에서는 M4A1, M4 컴포지트 헐, M4A2 등의 강력한 중장갑 전차들을 내세우며 셔먼 등장 이전까지와 달리 치하 및 치하 개량형은 전투에서 매우 고전하였으며, 결국 필리핀 도서 전역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3.1.5. 사이판 전투
파일:bPIX2tt.jpg
사이판 전투 당시의 미 해병대 제2기갑사단 노획 일본 제국 육군 제26전차연대 소속 치하 개량형[4]
사이판 전투 당시 일본 육군 제26전차연대 소속으로 다수가 투입되었으며, 이 중 한량이 미 해병대 제2기갑사단에게 노획되어 미 해병대 식별 마크를 부착하고 종전시기까지 사용되었다고 한다.
2.3.1.6. 이오지마 전투
파일:Type_97_Shinhoto_Chi_Ha_at_Hill_382_Iwo_Jima_Japanese_26th_Tank_Regiment-1_.jpg
이오지마 전투 직후 제382고지의 일본 제국 육군 산하 제26전차연대 소속 치하 개량형[5]
점차 전황이 불리해지면서 일본군은 치하의 부족한 스펙을 최대한 야습과 기습을 통해 그나마 해결하고자 했으며, 이는 어느 정도 괜찮은 성과를 거둬, 1945년 이오지마 전투 당시에 큰 효과를 보게 된다.

지휘관이었던 쿠리바야시 타다미치 중장의 "옥쇄는 금지한다. 그리고 어차피 우리는 이 전쟁에서 이길 수 없다. 그러니 미군이 본토로 가지 못하게 최대한 발을 묶어라!"라는 명령으로 일본군은 독기가 바짝 올라서 최대한 미군에게 큰 피해를 주기 위해 제382고지에 전차호를 마구잡이로 파고, 여기에 치하들과 곡사포를 위치시켜 미군에게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결국 전량이 격파당하며 제382고지는 함락당하고, 이오지마 전투는 미군의 승리로 끝을 냈다.

미군의 승리로 이오지마에서의 격전은 끝이 났지만, 이오지마의 일본군은 어차피 이길 수 없다라고 단념한 상태였으며, 그나마 미군이 본토에 상륙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목표였으므로 일본군의 계획은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오지마에서의 전훈과, 이후 이어질 본토 상륙의 피해를 계산한 미군은 리틀 보이팻 맨을 일본 본토에 투하하여 전쟁을 끝내게 되었다.

2.3.2. 소련-일본 전쟁

2.3.2.1. 만주 전략 공세 작전
파일:Chi-Ha's+captured+by+Soviet's.jpg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당시의 소련 극동군 노획 일본 제국 육군 소속 치하 지휘차형
1945년 8월, 일본 제국의 패망 직전 소련은 이 때 만주를 침략하는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을 단행했으며, 당시 소련군은 T-34-85를 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관동군 소속의 치하는 전과가 거의 없었다.

도합 총 389량의 치하가 만주 작전 당시 소련군에 노획되었으며 노획된 차량 중 대다수가 중국 공산당에 지원되었다.
2.3.2.2. 슘슈 섬 전투
파일:shumshu_island_Shin-ho-to_Chi_ha.jpg
슘슈 섬 전투 당시의 일본 제국 육군 산하 제11전차연대 소속 치하 개량형
제2차 세계 대전, 마지막으로 치하가 사용되었던 곳은 바로 슘슈 섬이었으며, 당시 이곳에 주둔 중이었던 일본군 제11전차연대 산하 도합 19량의 신포탑 치하와 20량의 치하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양측의 엄청난 희생 끝에, 슘슈 섬은 결국 소련이 점령하게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당시 격파된 치하들의 잔해를 이곳에서 볼 수 있다.

전투가 끝난 후, 소련 측에서는 몇몇 치하를 노획하여 복원 작업을 거친 뒤, 냉전 초기 극동군에 편제하여 사용했다가 현재는 의장용으로 운용하거나 혹은 러시아 각지의 박물관들에 전시하고 있다.

3. 냉전

3.1. 국공내전

중일전쟁 직후 다수의 치하 및 치하 개량형이 중국 내륙에 유기되어 이를 노획한 중화민국 국민정부와 중국공농홍군 소속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공농홍군 소속의 치하들이 국공내전 시기 대활약하였다.

3.1.1. 요심 전역

파일:The_Fall_of_Shenyang.jpg
요심 전역 직후 심양 시에 진입하는 중국공농홍군 소속 치하 개량형
요심 전역 당시 다수의 신포탑 치하와 치하가 중국공농홍군 소속으로 사용되어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활약을 하였다.

3.1.2. 진저우 공방전

파일:jinzouchiha.jpg
진저우 공방전 당시의 중국공농홍군 소속 치하 개량형
1948년 9월, 전차연대는 요심(遼沈) 전투에 참전했는데, 가오커가 심양에서 가져왔던 "102호차" 신포탑 치하는 전장이 매우 길고 잔고장이 잦아서 병사들로부터 "영감전차"라며 놀림을 받았다.

이때, 조종수 둥라이푸, 포수 리췬, 무전수 우파이롱으로 구성된 전차병들은 102호차를 타고 참전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지휘관은 허락하였으나, 일주일 내에 정비를 완벽하게 끝내야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그리고 마침내 일주일 뒤 수리에 성공하는데, 이는 조종수였던 둥라이푸 덕분이었다.

그는 일본강재주식회사에서 노동자로 일했던 경력이 있어, 평소 일본인 기술자들에게 많은 것을 배웠고, 그 덕에 기차가 탱크를 운반하는 도중 수리를 지속하여, 마침내 창무에 이르기 전에 102호차를 움직이게 했다.

창무에서 하차한 전차연대는 다시 100km를 전진해 진저우 공방전에 참전했다.

진저우 공방전이 시작되고, 102호차가 포함된 전차연대 소속의 탱크 4대가 마름모꼴로 진을 치고 돌격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치하 한대가 앞서있었고, 94식 경장갑차 2대가 양 옆에 자리를 잡고 있었으며, "102호차"는 지휘관이 갑자기 고장이 날 것을 우려하여 진의 맨 뒤에 자리를 잡고 있었다.

공산군의 예상과 달리 진저우역은 이미 성채화가 완료되어 있는 상태였으며, 국민당군에 의하여 벽이 쌓여져 있는 상태였다.

선두의 치하는 벽을 파괴하려다 오히려 포격에 맞아 파괴되어 버리고, 결국 "102호차"가 선두에 서게 된다. 결국 성벽이 파괴되고 전차들은 진입하게 되었다.

이 때, 102호차는 평소와 다르게 아무런 고장 없이 94식 경장갑차 한대와 함께 협공으로 진저우역과 구시가지를 모두 점령하는데에 성공했다.

이후 진저우 구시가지를 점령하며, 전차연대가 탱크 3대를 증파하면서 "102호차"는 지휘 전차가 됐다.

그러나 국민당군의 기습으로 102호차가 속해있던 전차 소대는 큰 타격을 입었는데, 이 중 전차 한대가 탄약 유폭으로 폭발하여 두 대가 잔해에 끼어 움직일 수 없게 되었고, 102호차도 이 충격으로 도랑에 추락하는 바람에 차체 하부가 장애물에 걸려, 움직일 수 없는 절체절명의 상황에 빠지게 되었다.

아군 전차는 도움을 줄 수 없는 상황이고, 옆에 있던 보병들은 기관총에 당해 사상자가 속출하는 이 때, 조종수 동라이푸는 전차 밖으로 나와서, 전차 하부로 기어들어가서 장애물을 제거한 후, 다시 한번 탈출을 시도했다.

그 순간, 노력에 응하기라도 하듯, 102호차는 갑자기 도랑에서 솟구쳐 올라서는 국민당군을 밀어버리고 적진 한가운데로 진입하는데에 성공했다.

102호차는 수많은 총탄과 몇 발의 포탄을 맞았으며, 이 때문에 장갑이 갈라지고, 엔진의 냉각핀이[6] 파손되었으며, 연료탱크에 구멍이 생겼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102호차는 이 모든 공격을 버텨내면서 진격했다.

102호차는 진저우의 구시가지를 열심히 돌아다니면서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침착하게 사격하여 수많은 기관총 진지를 부수고, 최종적으로 국민당군의 사령관까지 처치하는데 성공하며 잔존 국민당군이 백기를 들게 만들었다.

이 때 공산군은 엄청난 활약을 보여준 "영감 전차" 102호차에 "공신호"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이후 중국에서 개량된 치하들에게도 이 명칭을 붙여주게 되었다.

3.1.3. 화이하이 전역

파일:e014a6d420c44387bed43e77c140bfaa.jpg
화이하이 전역 직후 중국공농홍군이 노획한 국민혁명군 소속 치하 개량형
국공내전의 실질적인 마지막 전투인 화이하이 전역 당시, 불리해지는 전황을 타파하기 위해 국민혁명군 측과 상하이를 타진하려는 중국공농홍군 양 측 모두 주력 차량으로 투입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국민혁명군이 여기서 패하여 상하이를 떠나 국부천대를 하며 잔존한 치하들 모두 중국공농홍군 소속으로 편제되었다.

3.2. 도호쟁의

파일:Toho_Movie_Studio_Strike_Chi-Ha.webp
도호쟁의 당시의 진압 중인 일본 경찰 소속 치하 갱정전차
1946년부터 1948년간 벌어졌던 도호에서의 파업인 "도호쟁의" 중에 일본 경찰 소속 치하 갱정전차가 투입되었다.

3.3. 6.25 전쟁

파일:Korean_war_chi_ha_kai.jpg
6.25 전쟁 당시 격파된 국적 불명의 치하 개량형[7]
중공군 63군 사령관인 푸총비가 저술한 서적을 근거로 한국전쟁에서 국군이 치하를 운용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를 신뢰하기 어렵다.

먼저 위 사진의 출처는 중국의 인터넷 신문에 게재된 칼럼(#)에서 해당 서적을 인용한 것인데, 칼럼은 취재를 통해 객관적인 사실을 보도하는 기사와는 달리 기고자 개인의 주장을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고, 종종 사실과는 거리가 먼 내용이 사실인 양 전파되기도 한다.[8] 그리고 이 칼럼에서 게재한 사진이 정말로 이 서적에서 발췌한 것인지, 이 서적에 정말로 이러한 내용이 적혀 있는지는 확인된 바 없다. 학술문헌에서 재인용이 권장되지 않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또한 해당 서적에 정말로 그러한 내용과 사진이 있다 할지라도, 해당 사진이 정말로 한국전쟁 도중 찍힌 사진인지, 그리고 해당 사진의 치하가 국군이 운용하던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푸총비 개인의 주장에 불과하고, 교차검증을 할 수 있는 다른 출처가 없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2차대전 종전 후 한반도에 남아 있던 치하는 모두 미군정의 관리감독하에 스크랩 처분되었다는 사실과 충돌한다.

다만 이와 별개로, 중공군의 치하 개량형인 "공신호"의 경우, 중공군 1차 공세 시기 부족한 T-34-85 대신 투입되었다가 다시 본국으로 송환된 것이 확인되었다.

3.3.1. 중공군 1차 공세

파일:Chinese_force_with_Type_97_Chi-Ha_1951.jpg
중공군 1차 공세 당시의 중국 인민지원군 육군 소속 "공신호" 경전차
중공군의 "공신호" 전차들도 중공군 참전 시기에 부족한 T-34-85의 물량을 매꾸기 위하여 동원되었으나 얼마 안가 소련이 추가로 T-34를 공여하면서 전량 송환을 명령, 본국으로 귀환하여 훈련용 전차로 사용되었다.


[1] 1944년 대륙타통작전의 일부인 평한작전 중에 촬영된 사진이다.[2] 오스프리 Duel 43권 M4 Sherman vs Type 97 Chi-Ha THE PACIFIC 1945에 나온 일러스트로 1945년 1월에 벌어진 루손 섬 산 마누엘 전투를 묘사하였다.[3] 1942년 10월 24일 촬영된 사진이다.[4] 1944년 6월 16일에 촬영된 사진으로, 1944년 6월 15일 사이판 전투 시작 당일 미 해병대에게 노획되었다.[5] 전투 후 미군이 촬영한 사진이다. 후술하겠지만 이 고지전에서 미군도 엄청난 피해를 감수해가나면서 제26전차연대와 맞서 싸웠다.[6] 치하는 공랭식 엔진이라 라디에이터가 없는 대신 냉각핀이 장착되어 있었다.[7] 출처에서는 해당 차량이 대한민국 국군 소속으로서, 1952년에 격파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8] K9 자주포를 노르웨이에 수출하면서 노르웨이의 고등어와 물물교환했다고 주장하는 사설로 인하여 한동안 이러한 주장이 사실인 양 알려지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