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6 02:06:54

최후라면 함께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MultipleDestruction-JP-Manga-DM.png
한글판 명칭 함께 죽다 (원작)
최후라면 함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일어판 명칭 [ruby(死, ruby=し)]なばもろとも
영어판 명칭 Multiple Destruction
일반 함정
서로의 패가 3장 이상일 때 발동할 수 있다. 양쪽 플레이어는 모든 패를 버리고, 카드 5장을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은 자신이 버린 카드 1장당 100의 데미지를 받는다.

원작 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 어둠의 바쿠라어둠의 마리크와의 듀얼 중 사용. 어둠의 지명자라의 익신룡을 강제로 패에 넣게 한 다음, 이 카드를 발동하여 어둠의 마리크의 패의 라의 익신룡을 묘지로 보내버렸다. 이후 자신은 악령을 조종하는 퍼핏마스터의 효과로 몬스터를 전개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원작의 어둠의 지명자를 쓰기 전에 하늘의 선물 이후에 발동했다. 즉 마리크는 패가 6장이 될 때까지 드로우하고, 거기에 추가로 5장을 드로우했는데도 라의 익신룡을 못 뽑은 셈. 다만 하늘의 선물 발동 시 패가 3-4장은 넉넉히 돼서, 사실상 욕망의 항아리를 쓴 거나 다름없었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死なばもろとも【ウ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최후라면 함께,
일어판 명칭=<ruby>死<rp>(</rp><rt>し</rt><rp>)</rp></ruby>なばもろとも,
영어판 명칭=Multiple Destruc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서로의 패가 각각 3장 이상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서로는 각각 패를 전부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아래로 되돌리고\, 자신은 이 효과로 서로가 덱으로 되돌린 카드의 수 × 300 LP를 상실한다. 그 후\, 서로는 각각 5장 드로우한다.)]

듀얼리스트 팩 - 배틀 시티 편에서 OCG화되었다. 국내 OCG 정발 명칭은 애니메이션 번역명인 '최후라면 함께'로 번역됐다.

원작 효과와 비슷하지만 상실하는 LP가 100에서 300으로, 자신이 버린 카드에서 양쪽이 버린 카드로, 데미지가 아닌 상실로, 버리는 것이 아닌 덱 밑으로 되돌리기로 대폭으로 하향되었다.

일단 서로 5장 드로우라는 효과 자체는 우수하기에 LP 손실은 어느 정도 감안할 수 있는 편. 선공에 잡혔을 때 자신의 패를 3장까지 줄이고 상대의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면 2700 LP를 상실하고 실질 어드밴티지+3의 이득을 노릴 수 있다.

그 외에 카드 발동 뒤에 덱이 셔플되든 말든 이 효과로 덱으로 되돌아간 카드는 일단 덱 아래에 위치하므로, 카드 발동 직후엔 자신이 기존에 들고 있던 카드를 다시 뽑을 일은 없으므로 이 쪽으로 소소하게 우수하다는 점이 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어둠의 바크라의 전용 대사로 등록돼있는데, 실물 카드의 명칭이 아닌 DB에서의 '죽는다면 다 같이'로 번역되었고, 더빙 대사 또한 해당 명칭으로 더빙되었다. OCG명을 보통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서는 오역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도 공식 DB에서처럼 최후라면 함께가 아닌 '죽는다면 다 같이'로 등록되어있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5-06-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16-JP005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決闘都市編 -
2020-12-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GB1-JP050 | PRISMATIC GOD BOX SPECIAL PACK
2015-06-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BC-EN005 | DUELIST PACK - BATTLE CITY -
2016-06-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16-KR005 | 듀얼리스트 팩 - 배틀 시티 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