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9-27 18:52:54

창진방촬요

1. 개요2. 내용3. 구성4. 외부 링크

1. 개요

瘡疹方撮要. 조선 중종시기의 문인인 김안국(金安國, 1478~1543)이 1517년(중종 12년)에 편찬한 두창 전문 의학서. 목판본 1권 1책이며, 현재 성환갑(成煥甲)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

2. 내용

연산군~중종 대의 문신이었던 김안국이 1517년에 기존에 전해지던 의서인 창진집을 한글로 언해하는 과정에서 함께 편찬한 의학서이다. 발진성 전염병인 두창에 관한 전문 의학서이며, 창진집을 번역한 창진방언해(瘡疹方諺解)와 벽온방언해(辟瘟方諺解)를 간행하기 딱 1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다.

권두에는 세재정덕정축맹동부윤운운(歲在正德丁丑孟冬府尹云云)이라는 발기문이 있어, 정덕정축인 1517년에 만들어진 책임을 확인할 수 있다. 고전 의학적 내용 뿐만 아니라 한글로 만들어진 언해의학서로 1500년대 초 우리나라의 한글에 대해서도 연구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1981년에 처음 책이 공개되었으며, 2005년 국어사연구 제5호에 내용 전체가 영인되면서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3. 구성

출처 : 다빈치 지식백과 : 창진방촬요 원문/전문
  • 창진방촬요목록(瘡疹方撮要目錄)
  • 창진방촬요론(瘡疹方撮要論)
  • 창진방촬요(瘡疹方撮要)
    • 예방(預防)
      • 자초음자(紫草飮子)
      • 삼두음(三豆飮)
    • 발출(發出)
      • 호유주(胡荽酒)
      • 자초목향탕(紫草木香湯)
      •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
      • 쾌반산(快癍散)
      • 무가산(無價散)
    • 화해(和解)
      • 삼소음(參蘇飮)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
      •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 구함(救陷)
      • 용뇌고(龍腦膏)
      • 유분탁리산(乳粉托裏散)
      • 가미선풍산(加味宣風散)
      • 소아반진흑함방(小兒癍疹黑陷方)
      • 독성산(獨聖散)
    • 소독(消毒)
      • 화독탕(化毒湯)
      •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 서점자탕(鼠粘子湯)
      • 소독서각음(消毒犀角飮)
    • 호안(護眼)
      • 황백고(黃栢膏)
      • 두피음(豆皮飮)
      • 곡정초산(穀精草散)
      • 선국산(蟬菊散)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 창진호안법(瘡疹護眼法)
      • 점명고(點明膏)
      • 치두진입안방(治痘疹入眼方)
      • 치두진생재안내방(治痘疹生在眼內方)
    • 최건(催乾)
      • 창편구중방(瘡遍口中方)
      • 범창욕성가방(凡瘡欲成痂方)
      • 패초산(敗草散)
      • 면견산(緜繭散)
    • 멸반(滅瘢)
      • 치창반방(治瘡瘢方)
      • 우방오(又方五)
    • 통치(通治)
      • 길경탕(桔梗湯)
      • 치법삼(治法三)
      • 사순청량음자(四順淸涼飮子)
      • 치법일(治法一)
      • 십일미목향산(十一味木香散)
      • 십이미이공산(十二味異功散)
      • 백출산(白朮散)
      • 기각길경탕(枳殼桔梗湯)
      •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
      • 이공산(異功散)
      • 조변백상환(棗變百祥丸)
      • 소아진후구설창방(小兒疹後口舌瘡方)
      • 칠미육두구원(七味肉豆蔲圓)
      •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 도적산(導赤散)
      • 백호탕(白虎湯)
      • 해두창법(解痘瘡法)
    • 가식(可食)
    • 금기(禁忌)
    • 본조경험방십일(本朝經驗方十一)

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