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10:04:35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30번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
1. 개요2. 30번 (해운중학교-성주동)3. 31번 (마산역-선두)4. 31번 (경남대학교-가음정동) (폐선)5. 32번 (월영아파트-가음정종합상가(순환))6. 33번 (호계-인의동)7. 35번 (인의동-소답동(순환)) - 진해여객, 마창8개사8. 36번 (경남대학교-인의동) - 진해여객, 마창8개사 9. 37번 (경남대학교-장천동) - 진해여객, 마창8개사 10. 38번 (장천동-소답동(순환)) - 진해여객, 마창8개사 11. 39번 (마산대학-석교)12. 39-1번 (죽암-석교) (폐선)

1. 개요

30번대 노선은 봉암교 경유 또는 진해 방면 노선에 부여되던 번호대였다.

2. 30번 (해운중학교-성주동)

해운중학교 - 경남대학교 - 대동씨코아 - 돝섬터미널 - 해안도로 - 대우백화점 - 신해안도로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세원중기 - 충혼탑 - 대원동 - 농협한마음공판장 - 지귀상가 - 대동그린코아 - 사격장입구 - 경남도청 - 검찰청 - 법원 - 사파동주민센터(성주동 방면)/대방덕산아파트(경남대학교 방면) - 대방동 - 성주사역 - 성주동

첫차는 해운중 5시, 성주동 5시 20분
막차는 해운중 23시, 성주동 22시 58분
5대가 35분 간격으로 하루 29회 운행하였다.

과거 경남대학교-창원대학교로 운행하던 노선으로, 원래 마산시청 및 어시장 경유, 남창원역 및 창원병원 경유, 대원동 미경유, 신촌동 미경유, 창원대학교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1] 이후 창원대학교 미경유 및 사파정동 연장, 대원동 경유 및 대방동 연장, 남창원역 및 창원병원 미경유(삼동로 직통), 해안도로 경유, 해운중학교 및 성주동 연장, 신촌동 경유 등의 조정을 통해 위 노선의 모양이 갖추어 졌다.

같이 해안도로를 운행하는 22번과 마찬가지로 수요가 적은 곳 위주거나 수요가 많은 곳을 묘하게 피하는 탓에 22번과 더불어 파행운행이 잦던 노선이다. 덕분에 해안도로변은 버스 이용이 정말 어려웠다...

개편 때 창원 구간만 남아 창원터미널, 봉곡동, 창원대 경유 불모산동행으로 바뀌어 창원 버스 214로 남게 되었다.

3. 31번 (마산역-선두)

마산역 - 정우맨션 - 수출후문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태봉 - 진동 - 고현 - 선두

첫차는 마산역 8시 30분, 선두 6시 45분
막차는 마산역 22시 05분, 선두 22시 50분
1대가 150분 간격으로 하루 6.5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고현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번호는 불명. 아래에 서술된 31번과는 다른 노선이다. 2001년 통합노선 단축 이전까지는 수출후문 - 봉암교 - 세원중기 - 충혼탑 - 창원문성대학교(당시, 창원전문대학) - 창원운동장 - 창원시청(정우상가) - 창원중부경찰서 - 병무청 - 검찰청 - 법원 - 사파동성아파트 - 개나리아파트 - 남산동 루트로 대방동까지 운행하였다.

개편 때 86번과 통합되어 74번이 되어서 진동으로 단축되었다가 78번이 신설되어 이 노선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2]

4. 31번 (경남대학교-가음정동) (폐선)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성안백화점[3] - 수출후문 - 봉암교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기계연구원 - 창원남고 - 경창상가 - 삼일상가 - 성산아트홀 - 경남도청 - 대동상가 - 삼익아파트 - 가음정동

1992년경 18-1번 노선 신설 때 32번과 통폐합되었다.

5. 32번 (월영아파트-가음정종합상가(순환))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기계연구원 - 경창상가 - 삼일상가 - 성산아트홀 - 경남도청 - 법원.검찰청 → 사파동성아파트 → 개나리아파트 → 가음정종합상가 → LG사원아파트 → 대동백화점 → 사파대동아파트 → 법원.검찰청(이후 역순)

첫차는 월영A 5시 30분, 가음정종합상가 5시 30분
막차는 월영A 23시, 가음정종합상가 22시 50분
8대가 23분 간격으로 하루 48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경남대학교에서 불모산동까지 가던 노선[4]이었으나 1992년경 18-1번 노선 신설 때 31번 노선(경남대학교-가음정동)과 통폐합되면서 가음정종합상가로 종점이 변경되고 그 뒤 신촌동 경유로 또다시 변경되어 현재의 노선 형태가 되었다. 통폐합으로 인하여 정동로 및 야촌교는 시내버스가 전혀 다니지 않는 길이 되었다.

17번과 더불어서 독점구간이 많았던 노선으로 기계연구원 뒷길[5], 가음정동 구간, 대동백화점 - 법원 구간을 유일하게 운행하던 노선이다. 신마산쪽에서 창원 공단쪽이나 신촌동에서 대방동 쪽으로 제대로 운행하던 유일한 노선이라 어느정도 고정 수요는 있던 노선이다.

개편 때 창원운동장 경유, 가음정동 구간이 단순화되어 창원 버스 107이 되었다. 개편 이후 이 노선의 독점구간이었던 기계연구소 뒷길, 가음정종합상가 구간, 동산로 및 사파민원센터 구간은 대체노선 없이 전혀 버스가 다니지 않는 길이 되었다.[6]

6. 33번 (호계-인의동)

호계 - 국제아파트 - 동서병원 - 서광맨션 - 삼계 - 공단로 - 중리삼거리 - 회성동 - 북성초등학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구암동 - 삼성병원(인의동방향)/도원예식장(호계방향) - 양덕1동 - 마산고속터미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진해고등학교 - 진해역 - 인의동

첫차는 호계 5시 30분, 인의동 5시 30분
막차는 호계 22시 30분, 인의동 23시 02분
4대가 50분 간격으로 하루 23.5회 운행하였다.

원래 회성동에서 출발하여 시외터미널을 경유하고 인의동까지 운행하는, 당시 302번 좌석버스의 단축형 일반버스 노선이었으나, 회성동 종점 폐쇄로 인해 호계로 연장되고, 인의동 방향 한정 삼성병원으로 연장운행, 삼계지구 개발에 따른 삼계 연장으로 조정 되면서 위와 같은 노선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여담으로 호계방향 노선중 유일하게 코오롱아파트를 경유하지 않았던 노선이다. 또, 마산-진해방향 노선중 유일하게 진해여객이 운행하지 않았던 노선이기도 하다.

개편 때 폐선되었으나, 창원 버스 761, 창원 버스 763, 창원 버스 162가 구간별로 대체하였다가 761번과 763번은 폐선되고 162번만 살아남았다.

7. 35번 (인의동-소답동(순환)) - 진해여객, 마창8개사

인의동 - 진해역 - 진해고등학교 - 신촌동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대림자동차 - 성주사역 - 남산터미널 - 창원남고 - 상남시장 - 경창상가[7] - 수협도지회 - 경남도청 - 창원대학교 - 교통문화연수원 - 반지동 - 지귀상가 - 농협한마음공판장 → 창원공고 → 창원터미널 → 창원대로 → 극동아파트 → 창원여중 → 북동공설시장 → 소답동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농협한마음공판장 (이후 역순)

첫차는 인의동 5시 50분, 소답동 5시 20분
막차는 인의동 22시 45분, 소답동 22시 15분
5대가 40분 간격으로 하루 28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창원터미널을 경유하여 창원대로 및 창원역을 거쳐 소답동에서 단순히 회차하였으나[8], 90년대 중반에 38번과 함께 순환하는 노선[9]으로 변경되고 또한 창원터미널 대신 농산물시장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그 후, 극동아파트 경유 및 창원역 미경유로 변경되었고, 1999년경 38번, 316번, 317번 등이 안민터널 경유 및 신촌동 미경유 노선으로 변경될 때, 신촌동 경유는 유지하면서 창원대학교 양방향 운행 및 다시 창원터미널을 경유[10]하는 것으로 변경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창원-진해를 오가던 몇 안되는 노선 중 하나로 성주사역까지 경유하는 엄청난 굴곡 및 주요 수요지를 빗겨서 운행하여서 주로 진해-창원 직통 수요 보다는 진해-공단로, 창원 시내구간 수요로 나뉘던 편이었다. 1994년에는 한때 성산패총 경유 및 성주사역 미경유로 변경되면서 남창원역 - 창원남고 구간이 대폭 짧아지기도 하였으나 오히려 그로 인해 민원이 빗발치는 바람에 얼마 못가 원래대로 환원되었다.

개편 때 창원종합터미널로 단축되어 창원 버스 150이 되었고, 그 후 2009년경에 창원대학교까지로 또다시 단축되었다. 심지어 2023년 6월 10일에는 남창원역 - 남고삼거리 구간까지 단축되었다가 동년 8월 26일부터 그 단축되었던 구간이 원상복구되기도 했으며, 그 과정에서 종점이 창원중앙역으로 연장되었다. 또, 이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노선인 창원 버스 152가 신설되기도 했다.

8. 36번 (경남대학교-인의동) - 진해여객, 마창8개사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진해고등학교 - 진해역 - 인의동

첫차는 경남대 5시 15분, 인의동 5시 20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인의동 22시 55분
12대가 10분 간격으로 하루 90회 운행하였다.

마산과 진해 구 시가지를 잇는 대표적인 노선으로 80년대에는 5~10분 배차로 다닐 만큼 엄청나게 자주 다녔으며, 개편 직전에도 37번과 더불어 노선 변동 없이 마산-진해 주간선으로서 활약한 노선이다.

여담으로 진해여객 파업 당시에 시민회관까지만 운행하던 적이 있다. 마창8개사 파업 당시에는 진해여객차가 증차되어 다녔는데ㅜㅜ

개편 때 월영아파트로 연장되어 창원 버스 160이 되었고, 2012년 3월 9일부터는 구 62번 출신인 161번과 통폐합되어 신세계백화점 대신 육호광장 및 마산운동장을 경유하게 되었다.

9. 37번 (경남대학교-장천동) - 진해여객, 마창8개사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진해고등학교 - 중앙시장 - 경화시장 - 풍호동 - 장천동

첫차는 경남대 5시 27분, 장천동 5시 16분
막차는 경남대 22시 55분, 장천동 22시 56분
11대가 15분 간격으로 하루 71회 운행하였다.

마산과 진해 구 시가지를 잇는 대표적인 노선으로 36번의 장천동 버전 노선이다. 80년대에는 36번과 교대로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던 적도 있으며, 개편 직전에도 36번과 더불어 노선 변동 없이 마산-진해 주간선으로서 활약한 노선이다.

여담으로 진해여객 파업 당시에 시민회관까지만 운행하던 적이 있다. 마창8개사 파업 당시에는 진해여객차가 증차되어 다녔는데ㅜㅜ

개편 때 월영아파트로 연장되어 창원 버스 163이 되었다.

10. 38번 (장천동-소답동(순환)) - 진해여객, 마창8개사

장천동 - 풍호동 - 경화동 - 태백동 - 경화역 - 상공회의소 - 성주사역 - 남산터미널 - 대동백화점 - 창원시청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까치아파트 - 지귀상가 → 상북초등학교 → 명지여고 → 도계주유소 → 소답동 → 북동공설시장 → 창원역 → 창원대로 → 창원터미널 → 창원공고 → 농협한마음공판장 → 지귀상가 (이후 역순)

첫차는 장천동 6시, 소답동 5시 30분
막차는 장천동 23시, 소답동 22시 38분
5대가 32분 간격으로 하루 33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35번과 마찬가지로 창원터미널을 경유하여 창원대로 및 창원역을 거쳐 소답동에서 단순히 회차하였으나[11], 90년대 중반에 35번과 함께 순환하는 노선[12]으로 변경되고, 1999년경에 안민터널 개통으로 인하여 신촌동 대신 안민터널, 태백동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35번과는 다르게 중심지를 많이 경유하고 창원역 경유도 여전한 노선이라, 진해-창원간 수요는 물론 창원 시내 이동 수요도 어느정도 있던 노선이었다. 다만 35번과 38번이 서로 역방향으로 순환하면서 경유지가 약간 다르다 보니[13] 명지여고 이후 구간은 조금 시원치 않은 편이었다.

개편 때 창원터미널로 변경/단축되어 창원 버스 151이 되었다. 이후 지귀상가부터 소답동까지의 구간은 창원 버스 155가 신설되어 대체하게 되지만, 2009년 3월부터는 지귀상가 대신 시티7을 경유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2023년 8월 26일부터는 151번이 창원운동장을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변경되었고, 동년 11월 11일부터는 151번과 155번이 장천동에서 행암동으로 종점이 연장되었다.[14]

11. 39번 (마산대학-석교)

마산대학 - 죽암 - 중리역 - 중리삼거리 - 회성동 - 북성초등학교 - 석전사거리 - 회산교 - 부림시장 - 어시장 - 수출정문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적현 - 제5부두 - 두산중공업 - 용호 - 삼귀동 - 석교

첫차는 마산대학 5시 25분, 석교 6시 25분
막차는 마산대학 22시 05분, 석교 23시 05분
4대가 40분 간격으로 하루 26회 운행하였다.

삼귀동 지역과 마산을 오가던 노선으로, 중리역부터 봉암교까지는 18번과 동일한 형태로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죽암에서 두산중공업(현, 두산에너빌리티)까지만 오가던 노선이었으나, 용호마을로 연장된 후 두산중공업 내부 도로 경유에 대한 문제로 인해 용호마을에서 삼귀동으로 이어주는 도로가 신설된 이후부터 39-1번과 통폐합하여 석교마을까지 연장되고 이후 죽암 종점이 폐쇄되면서 마산대학으로 연장되었다.

56번 시리즈와 더불어 삼귀동 주민을 위한 노선이다 보니, 운행은 정상적으로 되었으나, 수요가 적은 편이라, 통합노선처럼 상대적으로 구형차량이 자주 투입되던 노선이었다.

개편 때 어시장행으로 변경되어 창원 버스 257이 되었다가, 다시 월영아파트로 연장되어 2014년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후 덕동공영차고지로 연장 및 가포지구 경유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2. 39-1번 (죽암-석교) (폐선)

죽암 - 중리역 - 중리삼거리 - 회성동 - 북성초등학교 - 석전사거리 - 회산교 - 부림시장 - 어시장 - 수출정문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적현 - 제5부두 - 두산중공업 - 삼귀동 - 석교

두산중공업(구, 한국중공업)까지만 운행하던 39번과는 달리 원래부터 삼귀동 지역과 마산을 오가던 노선으로 중리역부터 봉암교까지는 18번과 동일한 형태로 운행하였다. 용호마을 이후로는 지금과는 다르게 길이 없었기 때문에 당시 두산중공업(현, 두산에너빌리티) 공장 내부 도로를 경유[15]하여 삼귀동까지 운행하다가 석교마을로 연장되어 통폐합 직전까지 운행하였다.

두산중공업 내부 도로 경유 문제 및 용호마을 - 삼귀동 구간 도로 신설로 인해 39번과 통폐합되어 39번이 용호마을에서 석교마을로 연장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당시 30번 노선은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당시, 성안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창원병원 - 올림픽공원 - 충혼탑 - 창원문성대학교(당시, 창원전문대학) - 문성고등학교 - 명곡로타리 - 지귀상가 - 대동그린코아 - 사격장입구 - 창원대학교로 운행하였다.[2] 차이점이라면 수출후문(31번)/마산고속버스터미널(78번) 경유 차이 밖에 없다.[3] 현재의 신세계백화점 마산점.[4] 당시 32번 노선은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성안백화점(현,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봉암교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대림자동차 - 야촌교 - 가음정사거리 - 남산아파트 - 삼정자동 - 한국전기연구원 - 불모산동으로 운행하였다.[5] 31번과 통합된 후의 초기에는 기계연구원 뒷길이 아닌 창원남고와 상남대우아파트를 경유하였었다.[6] 동산로 대동백화점-사파성당 구간의 경우 2023년 개편으로 창원 버스 215가 신설되면서 다시 버스가 다니게 되었지만, 32번이 무궁화상가 앞에 정차했었던 것과 달리 215번은 이 구간에 정차하는 정류장이 없다.[7] 상남재래시장이 존재할 당시에는 소답동 방향만 경창상가를 경유하였으나, 상남재래시장 폐쇄 및 철거 이후에는 경창상가 양방향 경유로 변경되었다.[8] 당시 35번 노선은 인의동 - 진해역 - 진해고등학교 - 신촌동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대림자동차 - 성주사역 - 남산터미널 - 창원남고 - 상남시장 - 경창상가(소답동 방향 한정) - 수협도지회 - 경남도청 - 교통문화연수원 - 반지동 - 지귀상가 - 농협한마음공판장 - 창원공고 - 창원터미널 - 창원대로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 - 소답동으로 운행하였다.[9] 소답동→인의동 방향은 창원대로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도계동, 명서동 구간을 경유한다.[10] 인의동→소답동 방향에만 해당된다.[11] 당시 38번 노선은 장천동 - 풍호동 - 경화동 - 중앙시장 - 진해고등학교 - 신촌동 - 세원중기 - 남창원역 - 대림자동차 - 성주사역 - 남산터미널 - 대동백화점 - 창원시청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까치아파트 - 지귀상가 - 농협한마음공판장 - 창원공고 - 창원터미널 - 창원대로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 - 소답동으로 운행하였다.[12] 장천동→소답동 방향은 창원대로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명지여고, 도계동 구간을 경유한다.[13] 자세히 설명하자면, 38번이 명서동으로 운행 시 명지여고에 가는 데 비해 35번은 명서동으로 운행 시 명지여고로 가지 않고 명곡광장으로 가며, 35번이 창원대로로 운행 시 팔용동사무소 및 창원여중으로 가는데 비해 38번은 창원대로로 운행 시 팔용동사무소 및 창원여중으로 가지 않고 창원역으로 간다는 것이다.[14] 단, 행암입구 인근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행암차고지에서 종착하기에 302번이 종착하는 행암동종점에는 가지 않는다.[15] 현재의 귀산로가 과거 39-1/56-1번이 운행하던 도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