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즈 비욘드 카드팩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본 카드 | ||||||||
| | 파일:재앙의 계승자 로고.png | |||||||
[[전설의 개막| 제1탄 전설의 개막 2025.06]] | [[진화하는 무한| 제2탄 진화하는 무한 2025.07]] | [[재앙의 계승자| 제3탄 재앙의 계승자 2025.08]] | }}}}}}}}} | [[창공의 육룡| 제4탄 창공의 육룡 2025.10]] |
진화하는 무한 카드 일람 | |||||||||
| | | | | | |
1. 추종자
1.1. 2코스트
1.1.1. 총을 든 메이드 세리에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0b94ef8f65a240ac8a25178dac41190c.png,
카드명=총을 든 메이드 세리에,
일어명=トリガーメイド・セリエ,
레어도=브론즈,
타입=-,
클래스=로얄,
CV=유우키 아오이,
일러스트레이터=Chiaki Negishi)]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상대방 전장의 추종자 중 무작위로 2장에게 1 피해. | }}} |
<colcolor=#555,#bbb>
|
출격: 어디 계시나요, 공주님~!(どこですか、姫様ー!)
공격: 다칠 걸요!(ケガしますよ!)
진화: 메이드도 싸울 수 있어요!(メイドだって戦えます!)
초진화: 공주님을 찾아낼 때까진!(姫様を見つけるまでは!)
파괴: 놓쳐버리고 말았어...(見失っちゃったぁ…)
'소드 프린세스 로제' 조우:공주님! 드디어 찾았다고요~!(姫様!やっと見つけましたぁー!)
공격: 다칠 걸요!(ケガしますよ!)
진화: 메이드도 싸울 수 있어요!(メイドだって戦えます!)
초진화: 공주님을 찾아낼 때까진!(姫様を見つけるまでは!)
파괴: 놓쳐버리고 말았어...(見失っちゃったぁ…)
'소드 프린세스 로제' 조우:공주님! 드디어 찾았다고요~!(姫様!やっと見つけましたぁー!)
미니 아폴론 격의 효과를 지닌 추종자. "무작위 2장"에게 1뎀이라, 당연히 잠복 같은 효과도 무시한다. 아폴론과 마찬가지로 체력 1인 추종자를 많이 까는 덱들, 특히 어그로 계열 덱들에게 특효약인 카드로, 광역뎀까진 아니지만 아폴론보다 1코 싼 2코라는 게 큰 이점이다. 굳이 어그로 덱이 아니더라도, 1체력이 남아 잡아야 하긴 하는데, 정작 아군 추종자를 박아 교환하기 아까운 추종자들을 잡아야 할때도 도움이 되는 효과다. 본체도 공격적인 2/1 스탯이라 1/1들에게 잡히긴 하지만 반대로 2/2들과도, 그리고 출격을 포함하면 2/3 내지는 3/3 추종자들과도 교환이 되는 건 덤.
팩 출시 직후에는 딱히 부각되지 않았지만, 덱 연구 후 대 어그로 용도로 꽤나 유용하며 후술할 로제와의 증강 5 연계가 매우 강력해 미드레인지 로얄에서 선택적으로 두세 장 정도 투입되고 있다.
1.1.2. 휴일의 왕녀 프림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902142970f9d470eb65b6afe80e36840.png,
카드명=휴일의 왕녀 프림,
일어명=休日の王女・プリム,
레어도=골드,
타입=-,
클래스=로얄,
CV=히다카 리나,
일러스트레이터=Enarain)]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정숙한 메이드 노냐" 1장을 내 패에 넣는다. [잠복] [초진화시] 내 전장의 다른 추종자 모두는 +1/+1 | }}} |
<colcolor=#555,#bbb>
|
출격: 나들이 가기 좋은 날이네요!(ピクニック日和ですね!)
공격: 랄랄라~...♪(らんららーん…♪)
진화: 차랑 과자도 있는데요?(お茶菓子もありますよ?)
초진화: 노냐의 특제 도시락이랍니다?(ノーニャ特製弁当ですよ?)
파괴: 돌아가죠...(帰りましょう…)
전작에서 순수한 공주 프림으로 등장했던 프림의 비욘드판. 잠복과 노냐를 토큰으로 얻는 효과가 그대로 넘어왔다. 후공 기준 1턴 프림 2턴 노냐 플레이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후공 로얄의 2234 플레이를 더 빛내주는 추종자가 추가되었다. 잠복이기에 그냥 묻혀놨다가 스타티움 버프를 안정적으로 바르는 것도 장점. 다만 로제의 증강5 시너지가 전혀 없어 낭패를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림을 안쓰는 덱들도 종종 보이는 편.공격: 랄랄라~...♪(らんららーん…♪)
진화: 차랑 과자도 있는데요?(お茶菓子もありますよ?)
초진화: 노냐의 특제 도시락이랍니다?(ノーニャ特製弁当ですよ?)
파괴: 돌아가죠...(帰りましょう…)
1.1.2.1. 정숙한 메이드 노냐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21e8b2e91344488daf7ff31e681eb7d7.png,
카드명=정숙한 메이드 노냐,
일어명=静かなるメイド・ノーニャ,
레어도=골드,
타입=병사,
클래스=로얄,
CV=미나미 오미,
일러스트레이터=WEI@W)]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내 전장에 "휴일의 왕녀 프림"이 있다면, 이 추종자는 +1/+1 및 [필살]을 갖는다. [수호] | }}} |
<colcolor=#555,#bbb>
|
출격: 도움이 되어드리겠습니다.(お役に立ってみせます。)
공격: 외람되지만.(僭越ながら。)
진화: 조금이라도 그 곁에.(少しでもお傍に。)
초진화: 맡겨만 주십시오!(おまかせください!)
파괴: 만족입니다...(満足です…)
'휴일의 왕녀 프림' 조우: 고귀하신 프림 님...(美麗なるプリム様…)
전작에서 프림과 같은 팩에서 정숙한 메이드 노냐로 등장했던 노냐의 비욘드판. 수호와 특정 조건시 필살 부여 효과가 그대로 넘어왔다. 그런데 어째 프림과 달리 이쪽은 카드명이고 일러스트고 죄다 재탕이다...공격: 외람되지만.(僭越ながら。)
진화: 조금이라도 그 곁에.(少しでもお傍に。)
초진화: 맡겨만 주십시오!(おまかせください!)
파괴: 만족입니다...(満足です…)
'휴일의 왕녀 프림' 조우: 고귀하신 프림 님...(美麗なるプリム様…)
현재 토큰으로 소환되는 기사와 철갑 기사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병사 타입을 달고 있다.
1.2. 3코스트
1.2.1. 대담한 부단장 게르트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80d3539ddb064ce881d359af2ccf074f.png,
카드명=대담한 부단장 게르트,
일어명=豪胆なる副団長・ゲルト,
타입= -,
레어도= 실버,
클래스= 로얄,
CV= 에바라 마사시,
일러스트레이터= Saika)]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수호] 내 턴 종료시 내 전장에 초진화후인 추종자가 있다면, 내 전장의 추종자 모두는 +1/+1. | }}} |
<colcolor=#555,#bbb>
|
출격: 우리는 흔들리지 않는다!(俺達は揺らがねぇ!)
공격: 그 정도냐!(そんなもんか!)
진화: 우리는 이 정도로 끝이 아니다!(俺達は、こんなもんじゃねぇ!)
초진화: 죽을 수 없다! 절대로!(死なねえさぁ! 絶対にぃ!!)
파괴: 이런 일도 있는 거지!(こんなもんでさぁ!)
효과: 겁먹지 마라!(怯むなよ!)
'백은의 기사단장 에밀리아' 조우: 아가씨, 저만 믿어주십쇼!(お嬢サン、頼ってくだせぇ!)
공격: 그 정도냐!(そんなもんか!)
진화: 우리는 이 정도로 끝이 아니다!(俺達は、こんなもんじゃねぇ!)
초진화: 죽을 수 없다! 절대로!(死なねえさぁ! 絶対にぃ!!)
파괴: 이런 일도 있는 거지!(こんなもんでさぁ!)
효과: 겁먹지 마라!(怯むなよ!)
'백은의 기사단장 에밀리아' 조우: 아가씨, 저만 믿어주십쇼!(お嬢サン、頼ってくだせぇ!)
전작의 ROB/WUP팩에서 두 번 등장한 에밀리아의 비서이자 종자인 기사단장 게르트를 계승한 추종자. 그 중에도 ROB의 부단장 게르트와 비슷한 효과로 출시 되었다.
3코스트는 에밀리아가 돌려주는 3코스트와 정확하게 일치하고, 그 에밀리아에 초진화를 써서 배리어를 부여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대놓고 같이 사용하라고 나왔다.
하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은데, 6-7코스트 타이밍에 로얄이 필드를 남기기가 거의 불가능 하다는 점과 함께 로얄 3코진이 매우 빵빵해서 들어갈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왈츠 군견 로제와 자리경합을 해야 하는데 에밀리아와 같이 사용하지 않으면 3코스트 수호33 바닐라를 쓰기에는.....
1.2.2. 소드 프린세스 로제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1000060834.png,
카드명=소드 프린세스 로제,
일어명=ソードプリンセス・ロゼ,
레어도=골드,
타입=-,
클래스=로얄,
CV=요네자와 마도카,
일러스트레이터=Rwael)]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증강 5] 내 덱에서 비용이 2 이하인 로얄 추종자 1장을 뽑는다. 그 카드의 비용을 0으로 만든다. [돌진] [공격시] 피해를 받은 상태인 추종자를 공격한다면, 교전 상대를 파괴. | }}} |
<colcolor=#555,#bbb>
|
출격: 왕도보다도 기사도!(王道よりも騎士道!)
증강: 저를 따라 오세요!(わたくしについてきなさい!)
공격: 갑니다!(いきますわよ!)
진화: 이야기 속의 기사처럼!(物語の騎士の様に!)
초진화: 왕좌따위 얼마든지 내어드리죠!(玉座などくれてやりますわ!)
파괴: 퇴각이에요~!(撤退ですわー!)
'총을 든 메이드 세리에' 조우: 세리에! 당신도 따라오세요!(セリエ!貴女も来なさい!)
증강: 저를 따라 오세요!(わたくしについてきなさい!)
공격: 갑니다!(いきますわよ!)
진화: 이야기 속의 기사처럼!(物語の騎士の様に!)
초진화: 왕좌따위 얼마든지 내어드리죠!(玉座などくれてやりますわ!)
파괴: 퇴각이에요~!(撤退ですわー!)
'총을 든 메이드 세리에' 조우: 세리에! 당신도 따라오세요!(セリエ!貴女も来なさい!)
로얄의 초반과 중반을 책임지는 카드. 그냥 3코스트로 던져도 상대 필드에 즉각적으로 개입이 가능하고, 상대 추종자의 체력이 줄어있다면 자신이 피해 없이 남기 때문에 상대 입장에선 매우 까다로운 추종자. 로얄은 쌍검사, 랜서 등 공격력 1 하수인들로 초반을 전개 하기 때문에 상대에게 정리를 강요하고 이득을 보기 쉽다. 특히 진포를 다 소모한 후반 싸움에 3코스트 하나를 툭 던져서 상대의 강력한 추종자를 피해 없이 잘라내는 상황도 매우 자주 나온다. 거기에 증강 5 효과로는 덱 압축과 더불어 자신의 효과를 발동 시킬 수 있는 추종자들[1]과 연계를 내 상대 추종자 하나를 쉽게 정리한다.
1.3. 4코스트
1.3.1. 평범한 기사 라킬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e7d590378bea4fb58853c4392ebfdf45.png,
카드명=평범한 기사 라킬,
일어명=オーディナリーナイト・ラキル,
타입= -,
레어도= 실버,
클래스= 로얄,
CV= 에구치 타쿠야,
일러스트레이터= ezusuke)]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내 덱에서 주문 1장을 뽑는다. [진화시] 내 PP를 2 회복. | }}} |
<colcolor=#555,#bbb>
|
출격: 할 수 있는 일을 할 뿐이다.(やれることを、やるだけだ。)
공격: 이건 어떠냐!(こいつでどうだ!)
진화: 영웅을 고독하게 두지는 않겠어!(英雄を孤独にはさせない!)
초진화: 범부 나름대로 발버둥쳐 보실까!(凡庸なりに足掻いてみるか!)
파괴: 실수했군...(しくじったなー…)
공격: 이건 어떠냐!(こいつでどうだ!)
진화: 영웅을 고독하게 두지는 않겠어!(英雄を孤独にはさせない!)
초진화: 범부 나름대로 발버둥쳐 보실까!(凡庸なりに足掻いてみるか!)
파괴: 실수했군...(しくじったなー…)
대사와 이름처럼 정말 평범하기 짝이 없는 카드. 로얄은 진화하는 무한 시점엔 아예 주문이 안 들어가는 덱리도 많을 정도로 클래스들 중에서도 주문 의존도가 매우 낮은 직업인데, 그런 상황에서 4코와 스탯 패널티까지 봐가며 주문을 뽑을 필요는 당연히 없다. 진화 효과나 플레이버 텍스트를 감안하면 6턴에 진화 포인트를 같이 사용해 아래 삼장희의 일격 증강 4를 발동시키면서 5/5 돌진으로 추가 돌진뎀까지 넣는 콤보를 상정하고 만들어진 카드로 보이는데, 로얄은 이미 아래 기르다리아로 6턴에 비슷한 플레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이런 콤보까지 상정해 덱 공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
이렇다 보니 삼장희의 일격은 쓰는 경우가 아예 없진 않은 반면, 연계를 감안해 설계된 듯한 라킬은 말 그대로 쓰는 덱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앞으로 로얄이 게임을 뒤엎는 수준으로 강력한 주문이라도 받지 않는 한, 쓸 일은 없을 가능성이 높은 추종자.
1.4. 5코스트
1.4.1. 암투의 닌자 마스터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c42e18237dc545e0a1398630c5b9905a.png,
카드명=암투의 닌자 마스터,
일어명=暗闘のニンジャマスター,
타입= -,
레어도= 브론즈,
클래스= 로얄,
CV= 카시이 쇼토,
일러스트레이터=-)]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잠복] | }}} |
<colcolor=#555,#bbb>
|
출격: 닌자의 기술은 한 순간!(忍の業は一瞬!)
공격: 끝이다!(終わりだ!)
진화: 나의 기술을 저세상에서 전해라.(我が業をあの世で語れ。)
초진화: 인술의 심오함을 알아라.(忍術の深奥を知れ。)
파괴: 불찰이군...(不覚…)
공격: 끝이다!(終わりだ!)
진화: 나의 기술을 저세상에서 전해라.(我が業をあの世で語れ。)
초진화: 인술의 심오함을 알아라.(忍術の深奥を知れ。)
파괴: 불찰이군...(不覚…)
전작의 로얄 기본 브론즈 카드인 상급 닌자의 비욘드판. 비욘드의 번역 방침이 가타가나로 적힌 영단어 부분을 그대로 표기하는 것이라 그런지, 이쪽도 원어명을 직역한 닌자 마스터로 개명당했다(...)
원본 대비, 체력이 딱 1 오르고, 그 외엔 아무런 차이가 없다. 비욘드가 잠복 추종자들이 원체 드문 만큼, 진화하는 무한 시점에선 스탯이 가장 높은 잠복 추종자인데, 굳이 장점을 찾자면 체력이 5로 낮진 않아 어지간히 강력한 광역기나 랜덤 피해/제거기가 아니면 쉽게 잡히진 않는다.
그러나 장점은 그게 끝. 말 그대로 잠복 외의 그 어떤 키워드도 없고, 당연히 공격하면 잠복이 풀리니 정리용으로 쓸 수도 없다. 또한 전작과 달리 로얄은 진화하는 무한 시점엔 한 추종자를 대폭 강화시키는 단일 버프기가 없어, 전작의 잠복 로얄 덱 같은 식으로 활용하지도 못한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그냥 덱 공간 자체가 없다는 것(...) 이 카드를 넣을 공간이 남아도는 로얄 덱 아키타입은 아예 없고, 딱 1코만 더 쓰면 체력이 2 낮은 대신 출격 5뎀을 추가로 넣는 왈츠 6코 증강도 있는 마당에, 닌자 마스터를 굳이 쓸 이유는 없다.
1.5. 6코스트
1.5.1. 정적의 아나테마 기르다리아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1000060808.png,
카드명=정적의 아나테마 기르다리아,
일어명=静寂のアナテマ・ギルダリア,
레어도=레전드,
타입=아나테마,
클래스=로얄,
CV=시라이시 료코,
일러스트레이터=Ponzu)]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연계] 20 이 추종자는 초진화한다. 내 다른 추종자가 소환되었을 때, 상대방 전장의 추종자 모두에게 1 피해. 이 추종자가 진화했을 때, "철갑 기사" 2장을 내 전장에 소환. 그 추종자는 [돌진]을 갖는다. | }}} |
<colcolor=#555,#bbb>
|
출격: 격멸과 파멸을 노래해라.(撃滅と壊滅を唱和せよ。)
공격: 메아리쳐라.(響け。)
진화: 울려라.(鳴れ。)
초진화: 상승.(相乗。)
파괴: 균등해졌다.(均された。)
효과: 상황개시.(状況開始。)
공격: 메아리쳐라.(響け。)
진화: 울려라.(鳴れ。)
초진화: 상승.(相乗。)
파괴: 균등해졌다.(均された。)
효과: 상황개시.(状況開始。)
월즈 비욘드의 오리지널 캐릭터로, 전팩 번드나이트/로데오를 시작으로 이번 팩에서도 출시된 "아나테마"의 일원. 선공개 시점에는 연계20을 언제 쌓느냐, 진화효과도 좀 애매한 것 같다 등등 여러가지 설왕설래가 있었으나....
정작 출시되고 나니 진화하는 무한 환경의 미드로얄을 1티어로 올려버린 1등 공신이자 미드 로얄의 새로운 희망.
우선 기본 효과만 봐도 6코스트 타이밍에 나와서 진포를 줘도 상대 필드에 1피해를 2번 주고 연계도 3 쌓아주고 2/2 토큰을 2개, 그것도 돌진이 달려있어 현 섀도우버스 환경의 모든 6코스트 플레이를 제압하는 능력을 가졌다. 조건 안 맞추고 진포만 써도 군견과 마찬가지로 전팩에 그렇게나 악명높았던 오르키스 초진화와 동귀어진이 가능하고, 6턴에 나올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필드 스윙 카드 중 하나인 노만 상대로도 군견과 달리 동비용 교환이 가능하다. 연계 20을 안 채우더라도 이미 약함과는 거리가 먼 카드. 기존 로얄의 5~6턴에 상대의 횡전개를 제압하기 힘들다는 약점을 완벽하게 틀어막았다.
여기에 더해 쌓기가 힘들어서 9턴 이후의 후반에나 발동되는 연계 20의 자동 초진화 는 조건을 충족하고 나오기만 해도 바로 상대의 추종자 하나를 명치 1딜과 함께 손해 없이 정리 가능하고, 초진화한 것이므로 "진화했을 때" 효과도 당연히 발동하는 데다가, 코스트가 적절하게 낮은 6코스트인 덕분에 나머지 코스트로 추종자를 더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광역딜이 추가된다. 여기에 전에 폭풍의 천업 그림니르를 깔아 놨다면 턴 종료시 또 광역 2뎀을 발동시켜 필드를 완전히 뒤집는 것도 가능하다. 이 모든 걸 단 6코에 시전하기 때문에, 서로 진포가 다 빠졌을 즈음인 후반부로 가면 극단적으로 강력해지는 추종자다.
안그래도 전설의 개막에서도 진흙탕 싸움에는 최강자라 불리던 로얄이였는데 기르다리아로 인해 더욱 강해졌다. 그 단단한 수호 비숍의 아이테르 전개 필드도 연계 20 효과로 슥삭 밀어버리고 아군 필드는 온존시키는 것도 가능할 정도이니 말 다 했다. 그렇게 되면 상대는 어쩔 수 없이 진화든 초진화든 빼야 하는데 또 다시 기르다리아가 나온다면....진포가 없는 상황이면 그 시점에서 이미 게임 끝이나 마찬가지다.
결론적으로 6코스트 템포 플레이로 진화를 사용해도 매우 강력하고 연계 20을 맞추는 후반 싸움에선 로얄의 뒷심을 책임지는 최중요 추종자다.
여담으로 로얄이 극후반전에서 상당수의 덱 상대로 불균등할 정도의 어드밴티지를 가지게 해주는 추종자이나, 정작 플레이버 텍스트와 대사를 보면 균형, 균등을 중시하는 캐릭터다. 별칭인 "칼마토"도 음악 용어로 "조용하게", "잔잔하게"라는 뜻인데, 카드의 효과는 필드에서 깽판을 치는 데 특화되어 있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참고로 '백호' 수인이지만 유저들 사이에선 그냥 고양이로 취급받는 중. 아니면 아예 수인인 것도 몰랐거나.
1.5.1.1. 어나더 일러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1000063106.png,
카드명=정적의 아나테마 기르다리아,
일어명=静寂のアナテマ・ギルダリア,
레어도=레전드,
타입=아나테마,
클래스=로얄,
CV=시라이시 료코,
일러스트레이터=Ponzu)]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연계] 20 이 추종자는 초진화한다. 내 다른 추종자가 소환되었을 때, 상대방 전장의 추종자 모두에게 1 피해. 이 추종자가 진화했을 때, "철갑 기사" 2장을 내 전장에 소환. 그 추종자는 [돌진]을 갖는다. | }}} |
<colcolor=#555,#bbb>
|
1.6. 8코스트
1.6.1. 레비온의 초월자 율리우스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1000060809.png,
카드명=레비온의 초월자 율리우스,
일어명=レヴィオンの超越者・ユリウス,
타입=레비온,
레어도=레전드,
클래스=로얄,
CV=키우치 히데노부,
일러스트레이터=Usugumo Nezu)]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기사 2장을 상대방 전장에 소환. 상대방 추종자가 전장에 소환되었을 때, 상대방 턴 종료까지 그 추종자는 「추종자나 상대 리더 공격불가」를 갖는다. 상대방 리더에게 1 피해, 내 리더를 1 회복. | }}} |
<colcolor=#555>
|
출격: 아득히 높은 경지에 이르겠다.(遥か高き境地へ至ろう。)
공격: 먹어치워라!(喰らい尽くせ!)
진화: 이 힘... 제어해내고 말겠다!(この力… 制御して見せる!)
초진화: 한층 더 높은 힘을 이 손에!(更なる力をこの手に!)
파괴: 좋은 데이터를 얻었군...(良いデータが取れた…)
효과: 억눌러주마!(押さえきる!)
'레비온의 뇌격 알베르' 조우: 단순한 변덕이라고, 단장님.(ただの気紛れだよ、団長殿。)
전작에서 레비온 공작 율리우스와 극악무도한 공작 율리우스로 등장했던 알베르의 숙적이자 라이벌인 율리우스의 비욘드판. 그 중에서도 후자의 요소가 많이 반영되어 있다. 나이트메어의 전신인 뱀파이어 클래스로 등장했던 전작과 달리 본작에선 레비온 타입을 달고 온 것 답게 로얄 클래스로 복귀했다.[2]공격: 먹어치워라!(喰らい尽くせ!)
진화: 이 힘... 제어해내고 말겠다!(この力… 制御して見せる!)
초진화: 한층 더 높은 힘을 이 손에!(更なる力をこの手に!)
파괴: 좋은 데이터를 얻었군...(良いデータが取れた…)
효과: 억눌러주마!(押さえきる!)
'레비온의 뇌격 알베르' 조우: 단순한 변덕이라고, 단장님.(ただの気紛れだよ、団長殿。)
진화하는 무한 환경에선 생각 이상으로 많은 덱의 제거 수단이 자체 능력이나 진화, 초진화로 부여되는 돌진에 의존하기 때문에 제대로 통하면 제거하기 상당히 까다로운 추종자이다. 멀리 볼것도 없이 율리우스가 속한 로얄이 이런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자체 테마 내에서 초진화까지 한 율리우스를 제거할 수단은 왈츠 두방을 꽂아 넣거나, 거의 채용되지 않는 4코 주문 제거기 밖에 없다. 다른 덱에선 인형 네메 역시 실비아 진화로 인한 제거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인형을 통한 제거이며, 엘프 역시 티타니아의 변이가 빠졌다면 억지로 카드를 내며 리리나 베일을 사용 할 수 밖에 없다. 나이트메어는 사신의 일격이 대부분에 덱에서 빠졌기 때문에 오딘이 없다면 긴세츠와 유즈키 정도로만 정리 할 수 있다. 가장 제압기가 풍부한 위치를 상대로도 칸을 틀어막아 쿠온을 견제 할 수 있다.
진화하는 무한 환경에서는 1장, 많으면 2장 정도의 조커 카드로 사용되는 추세. 제압기가 부실한 상대에게는 게임을 끝내버릴 정도의 포텐셜을 가지면서 다음 턴 필드 개입에 제한을 준다는 장점은 있지만 이미 나와있는 필드 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며(특히 필드가 많이 남아있을 미드로얄, 수호비숍 등.), 같은 팩의 운명의 황혼 오딘에 너무나도 쉽게 카운터를 맞기 때문. 그래도 마땅한 제압기가 없는 상황이나 킬각을 노리는 상대에게 역킬각을 만드는 역할 등[3] 타이밍만 맞으면 게임을 터트릴 수 있는 수준의 초 고밸류 카드라 메타용 카드로써의 입지는 확실하다.
2. 주문
2.1. 2코스트
2.1.1. 거래 성립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b66055d28022456f844d068685224b74.png,
카드명=거래 성립,
일어명=商談成立,
타입= -,
레어도= 브론즈,
클래스= 로얄,
CV= -,
일러스트레이터=-)]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내 덱에서 2장을 뽑는다. 상대방은 자신의 덱에서 1장을 뽑는다. | }}} |
<colcolor=#555,#bbb>
|
2코 2드로우라고 해도 필드 전개에 집중하는 로얄 특성상 드로우 주문 자체를 꺼리며 교환비 + 상대에게 변수 창출 기회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쓰이지 않는다.
2.1.2. 삼장희의 난격
[include(틀:섀버wb/카드,파일=614e6201a4924d11af0a29de6bd63a77.png,
카드명=삼장희의 난격,
일어명=三将姫の乱撃,
타입= -,
레어도= 실버,
클래스= 로얄,
CV= ,
일러스트레이터= Chiaki Negishi)]
{{{#!wiki style="margin: 1rem 0"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상대방 전장의 추종자 중 무작위로 1장에게 4 피해. [증강 4] 1장 대신 3장. | }}} |
<colcolor=#555,#bbb>
|
사용: 「내가!」 [ruby(「아뇨\, 제가!」, ruby=마리사)] [ruby(「미레이가 할래~!」, ruby=미레이)](「私が!」 「いやワタクシが!」 「ミレイがやるー!」)
증강:내가 간다! ・[ruby(제가 끝내겠어요!, ruby=마리사)]・[ruby(미레이가 할게!, ruby=미레이)](私がやる!・ワタクシが決めます!・ミレイがやるよ!)[4]
CV는 야마오카 유리(엘리오) / 아이사카 유카(마리사) / 오자와 아리(미레이).증강:
제압기가 부실했던 로얄에게 새로 주어진 스펠. 특히 미러전에서 왈츠 잠복을 잡을 방법이 전무했으나 상대가 왈츠를 진화하지 않았다면 이걸로 제압할 수 있다. 증강4 효과는 심플하게 군견의 증강 6 효과를 4코 스펠로 땡겨온다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군견과 자리를 공유하는 편.
또한 삼장희는 원래 신격의 바하무트의 등장인물들로서, 레이지아라는 나라를 다스리는 세 명의 공주다. 성우도 신격의 바하무트 때와 동일하다.
[1] 무사, 랜서, 세리에[2] 사실 전작에서 레비온의 정의를 통해서 로얄도 레비온 공작 율리우스를 사용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레비온 공작 율리우스에게도 레비온 타입이 추가되기는 했었다. 이미 전설의 개막 팩에서 율리우스가 나오는 카드가 나이트메어 대신 로얄에 출시된 시점부터, 나이트메어 대신 로얄에 출시될 것은 이미 암시된 부분이기도 했다.[3] 워낙 성능이 뛰어나서 역으로 상대에게 제압기를 강제 할 수 있고, 제압기에 pp를 소모하면 그만큼 피니셔의 화력이 떨어져서 킬각이 안 나오게 된다. 특히 출격으로 제거를 하는 오딘은 이 카드 하나만 보면 가장 강력한 카운터지만, 이렇게 제거를 하면 후속으로 나오는 알베르의 12딜을 제대로 방어 하기 힘들기 때문에 율리우스는 제압되도 게임은 그대로 터지는 상황도 종종 볼 수 있다. 출격 2힐로 오딘 킬각을 회피 할 가능성이 높아지는건 덤.[4] 셋이 동시에 외친다 정신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