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1:13:07

지당자연사박물관

파일:external/www.jidang.co.kr/logo.jpg

1. 개요2. 정체불명의 표본
2.1. 정체?

1. 개요

공식사이트

충청남도 공주시 KTX 공주역 근처에 있는 사설 자연사박물관이다. 2003년 문을 열었다.운영자가 수집한 어류, 조류, 동물과 나비. 곤충 표본, 광물 화석, 보석 등 25만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암모나이트 화석, 벵골호랑이 표본, 35캐럿 루비 등 세계적으로 희귀한 소장품들도 있다. 나비 표본은 2만 8000여 점에 이르며, 거의 모든 나비 표본을 포괄하고 있다. 전시시설은 본관 1관에 해양 생물 표본관, 육상 포유류 표본관, 조류 표본관이 있고, 2층에는 세계의 나비, 곤충 표본관이 있다. 별관에는 수석 전시관, 공예 전시관이 있다.

해양생물로는 고래상어, 1.5미터의 대왕껍데기, 등 어류, 갑각류, 패류 등이 100여 종 전시되어 있다. 곤충 표본관에는 뱀눈사마귀, 나뭇잎벌레, 코카서스장수풍뎅이 등 국내외 곤충 표본이 있다. 포유류는 벵골호랑이를 비롯해 다람쥐, 사자, 아시아흑곰 등의 박제를 볼 수 있다. 별관에는 루비, 도자기, 중국 토종석, 지름 50㎝의 해바라기 화석[1], 이크티오사우루스 화석[2], 버마의 루비 원석, 캄보디아의 황수정, 중국의 앵무조개 화석, 태국의 코브라 화석이라 소개된[3] 전시물 등이 있다. 참고로 수석 전시관의 한 진열장에는 커튼이 쳐져 있는데 해당 진열장에는 다소 검열삭제스러운 조각품 같은게 전시되어 있다(...).

야외에는 공룡 전시관을 비롯해 연산홍 꽃 정원, 1만 5000㎡ 넓이에 약 700종의 연꽃이 있는 연꽃 정원이 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문을 연다.

가족들과 산책하며 나들이하기에 더없이 좋은 공간이다.

2. 정체불명의 표본

이 박물관이 전문성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증거이다. 해당 박제품의 사진을 볼 수 있는 링크. 중간에 타이라신이라는 동물의 표본이 문제의 표본이다.

박물관은 저 표본이 멸종한 주머니늑대(Thylacine)[4]의 표본이라고 주장하는데, 실제 주머니늑대와는 외형부터가 전혀 다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hylacinus.jpg
실제 주머니늑대는 이렇게 생겼다.

지당 박물관에서 전시 중인 표본은 털이 다소 길고 거칠며 전신에 화려한(?) 무늬가 있고 꼬리가 짧고 성인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체구가 매우 큰 반면 실제 주머니늑대는 보이는 바와 같이 털이 짧고 하반신에만 줄무늬가 있으며 꼬리도 길고 최대 무게가 30kg을 넘지 못하는 중형 유대류였다.

이 가이드에 의하면 이 박물관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주머니늑대의 박제를 소장하고 있다고 하는데, 멸종된 주머니늑대의 박제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면서도 관내 팸플릿이나 광고에도 이런 내용은 전혀 없다. 심지어 가이드마저 타이라신을 개과로 알고 있었지만, 2005년경에 관람객에게 지적당한 이후로는 유대류로 정정하여 표기했다.

현존하는 주머니늑대 박제를 보기 힘든 이유는 이미 1936년에 멸종된 동물인 데다가[5] 멸종된 이유 중 하나가 가죽을 얻기 위해 남획되었기 때문이다. 그런 탓에 자연히 박제를 만들 가죽이 모자라서 남아있는 표본이 많지 않다.

만약 저것이 실제 주머니늑대라도 그런 진귀한 표본이 한국의 개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는 것도 석연치 않다. 소장된 표본이 25만 여 점이나 되는데 그 중에 하나가 주머니늑대일 가능성을 아주 배제할 수는 없겠으나 다른 나라도 대학교 박물관이나 국립박물관에 극소수 있을 뿐인데[6], 그런 것이 사설 박물관에, 그것도 두 마리나 있다는 것은 분명 어색하다.

2.1. 정체?

동물의 정체(?)에 대한 박물관의 답변에 따르면 이 표본은 호주에서 들여온 것이며 관장이 주머니늑대라고 전해 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차후 공사를 할 때 동물학자들에게 물어보겠다고….

사실 류육현 관장은 이런 쪽으로 지식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 원래 풍수를 보는 사람이다. 동물에 대하여 잘 모르는 게 당연한 셈.

결국 궁금함에 참다 못한 이가 정체를 알기 위해 직접 동물학자에게 물어봤는데도 모른다고 한다(…).(삭제됨) 본문에 나온 동물학자는 영국의 고생물학자이자 동물학 관련 메이저 블로거 대런 내이쉬(Darren Naish).[7] 그의 말에 따르면 처음에는 미숙하게 박제한 줄무늬하이에나거나 그냥 그럴듯하게 생긴 줄무늬 개[8]의 박제로 생각했지만 모르겠단다. 한가지 확실한 건 절대로 주머니늑대는 아니라는 것. 실은 제보당의 괴수라 카더라(...)

따라서 저 표본은 늑대나 하이에나의 표본을 마개조한 것을 주머니늑대인 줄 알고 입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화석은 아니고 화석(花石)이다.[2] 말은 이렇지만 어룡 화석이 아니다. 귀주룡이라고도 불리는 수장룡 케이초우사우루스(Keichousaurus)와 파충류와 양서류의 과도기 쯤으로 여겨지는 세이모우리아(Seymouria)의 화석을 본뜬 모조품이다.[3] 실제 화석으로 보기 어렵다는 평이 대부분이다.[4] 해당 박물관에서는 영어 일반명 그대로 '타이라신'이라고 써놨다.[5] 그 뒤 10년간 생존한 개체가 돌아다녔을 가능성이 제기됐으며, 1998년에도 목격담이 나왔다. 다만 증거가 부족해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6] 현재 23개국 115개의 박물관에 약 764점이 있다고 한다.[7] All Yesterdays의 공통저자기도 하다.[8] 이 쪽은 조금 가능성이 있다. 진돗개 품종 중 칡개의 무늬가 매우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