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업 공구
jig기계가공 시 가공위치 보정을 해주는 보조용 기구. 때로는 그냥 보조용 기구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범용성이 낮은 가공기구의 범용성을 늘리는 역할이나 반대로 범용성이 높은 기구의 보정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1]
일정 치수를 가공하는 경우 이 지그를 이용해서 가공시간을 단축시키기도 한다. 보통 작업할 때 달인이라고 불리는 사람은 이러한 지그를 개인적으로 만들었거나 또는 잘다루는 경우이다.어느 정도 이 지그에 익숙해지면 숙련이 돼서 지그를 사용하지 않아도 일정한 가공을 빠르게 하기도 한다.
기계가공 쪽에서는 수치제어가 도입된 후로 사용되지 않을 것 같지만, 5축가공이 도입 전까지 꾸준히 사용되고 있는 물건이기도 하다. 하지만 5축가공이 아직 정확성에 대해 검증이 덜 된 것과 더럽게 비싸다는 점 때문에 아직도 사용된다.
심히 공돌이스러운 물건이기 때문에 매체에서 공과에 관련돼있는 인물의 이름으로 쓰이기도 한다.
2. 클래식 음악의 하나
gigue클래식 음악의 하나로, 17~18세기의 빠른 춤곡을 말한다. 3/8 박자나 그 변형인 6/8박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모음곡이나 파르티타에서 거의 항상 마지막으로 6/8 혹은 12/8의 겹박자로 작곡되었고,[2] 그 영향으로 지그풍 음악을 작곡할 때 짝수 박자 계열 겹박자로 작곡하는 경향이 생겨났다.[3]
3. Zig
3.1. 프로그래밍 언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Zig#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Zig#|]][[Zig#|]]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Poppy의 음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Zig(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Zig(음반)#|]][[Zig(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지그
4.1. 이름
4.2. 스위스의 총기회사
스위스 공업 주식회사정식 명칭은 에스이게 자우어지만 흔히 지크 자우어로 불린다.
사실 지그라고 하지만, 독일어니 어말 g는 k로 읽는게 옳다.
[1] 주로 밀링, 선반[2] 다만 BWV 1004는 샤콘느의 길이가 15분 내외로 너무 길어서 지그가 아닌 샤콘느가 마지막 악장으로 등장한다.[3] 마르크앙드레 아믈랭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중 제14변주는 지그 풍으로 연주하라 지시되어 있으며(Alla giga, 점4분음표=138), "고전풍의 모음곡"에서는 점4분음표=120으로 연주하라고 지시되어 있고, 위에 제시된 아믈랭의 곡들 모두 두 박자 겹박자인 6/8박자를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