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8:09:12

종자기능사



{{{+2 {{{#FFFFFF 농업 분야 자격증}}}}}}
- - - 농화학기술사
- - 시설원예기사 시설원예기술사
원예기능사 - - -
유기농업기능사 유기농업산업기사 유기농업기사 -
종자기능사 종자산업기사 종자기사 종자기술사
화훼장식기능사 화훼장식산업기사 화훼장식기사 -

종자기능사
種子技能士
Craftsman Seeds
관련부처 농촌진흥청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2. 응시자 수3. 시험
3.1. 필기3.2. 실기
4. 진로5. 기타

1.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농업분야 기술자격증이다. 관련부처는 농촌진흥청이다.

농업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한 정책적 배려에서 작물재배가 크게 장려되어 우수한 작물품종의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되었고 이에 전문적인 지식과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로 하여금 작물종자의 채종과 생산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고 큐넷에서 소개하고 있다.

2025년 기준 1, 2, 3회차와 의무검정이 실시된다.

2. 응시자 수

필기
연도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23 2819 1593 56.5%
2022 2363 1397 59.1%
2021 2459 1466 59.6%
2020 1879 1128 60%
2019 2220 1289 58.1%
실기
연도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23 1823 1326 72.7%
2022 1940 1239 63.9%
2021 2409 773 32.1%
2020 1786 1573 88.1%
2019 2018 1732 85.8%

과거에 비해선 응시자 수, 합격자 수가 증가하였다.

3. 시험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뉘어지며,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실기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3.1. 필기

필기시험은 여느 기능사 시험과 같이 CBT 4자선다형으로 시행된다. 과락 없이 60문제 중 36문제 이상 맞아야 합격이다.

2025년 필기 과목이 개정되었다.
  1. 종자생산
  2. 재배
  3. 육종

필기시험은 문제은행 방식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기출과 비슷한 문제 또는 똑같은 문제가 자주 출제되는 편이다.
따라서 근 3~5개년의 기출문제를 풀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3.2. 실기

2021년부터 2시간 가량의 필답형 시험으로 번경되었다.
필답형이라 공개문제가 없다.
종자기능사 출제기준 본문 참고
===# 실기(개정 전) #===
2021년부터 2시간 가량의 필답형 시험으로 변경된다.
아래 내용과 문단은 개정 이전의 작업형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2020년 까지 실기시험은 작업형으로 이루어졌다.

실기시험은 감별 및 종자생산작업(50점)+종자실무작업(50점)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필기시험과 마찬가지로 총 100점 중 60점 이상 득점하면 합격이고, 시험 시간은 총 2시간 정도 주어진다.

준비물은 수험표와 신분증, 흑색 볼펜, 계산기(사무용), 돋보기, 전정가위, 연필칼, 핀셋, 면장갑, 접칼, 30cm 자, 그림붓이다.


====# 감별 및 종자생산작업 #====
  • 화서 구분 (10점)
단정화서, 단집산화서, 복집산화서, 전갈고리형 화서, 집단화서, 총상화서, 원추화서, 유이화서, 수상화서, 산방화서, 단순산형화서, 복합산형화서, 두상화서, 육수화서 중 한가지 그림을 보여주면 그에 맞는 이름을 쓰면 된다.
  • 종자 구조 (10점)
옥수수, 아스파라거스, 양파, 토마토, 당근, 셀러리, 비트, 고추, 강낭콩, 양배추, 상추, 호박 중 하나의 종자 구조 그림을 보여주면 그 안에 배유, 자엽, 유근 등 종자 구조의 이름을 적으면 된다.
  • 종자 감별 (20점)
실물 종자를 보여주면 그 종자의 이름을 쓰면 된다. 총 20개를 보여주며 각 1점. 20개를 돌아가면서 본다. 돋보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 병충해 감별 (10점)
빔 프로젝터로 병충해의 사진을 보여주면 그 병충해의 이름과 방제법을 쓰면 된다. 방제법의 가짓수는 감독위원에 따라 때마다 다르나 1~2가지 정도 요구한다고 한다. 총 10가지를 보여주며 각 1점.

====# 종자실무작업 #====
아래 중 몇 가지를 골라서 시행한다.
  • 발아율 계산
단위에 주의할 것. 단위(%)를 적지 않으면 오답으로 처리될 수 있다.
  • 맞접 실시
작업하다가 줄기가 끊어져도 재료는 다시 지급되지 않으니 주의.
  • 깍기접
  • 녹지접
  • 안장접
  • 눈접
  • 미세종자 파종
간혹 신문지를 덮는 이유, 저면관수가 어떤 것인지, 저면관수를 하는 이유가 뭔지 물어보기도 한다.

실기 시험 중에 장갑을 벗거나 다치면 감점 등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1]

4. 진로

  • 작물시험장, 원예시험장, 종자생산업체, 국립종자원, 원예재배농장, 자영농, 종묘상, 농촌진흥청 등의 관련 분야 공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종자산업법」에 따라 종자기능사 + 실무경력 3년이 충족되면 종자관리사로 등록할 수 있다.
  •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종자기능사 취득과 도시농업육성법 제11조의2제2항에 따른 전문인력 양성기관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도시농업 전문과정[2]”을 이수하면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는 주말농장, 도시농업공원 등의 유지 관리 인력, 유소년 또는 청소년 대상 학교텃밭 강사, 사회복지시설 등의 복지텃밭 관리 및 교육 인력, 전국 농업기술센터의 사업운영 인력, 전문교육기관 교수요원 등에 진출할 수 있다.[3]

5. 기타

개그우먼 오나미가 이 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접목시 칼을 쓰므로 자세와 방법을 확실히 익혀야된다.[2] 「도시농업육성법」제11조에 따라 지정된 전문인력 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도시농업 전문가 양성과정"(총80시간/ 이론 40, 실습 40시간)[3] 참고로 국가, 지자체가 실시하는 도시농업 교육과정 수강생 40명당 1명이상 도시농업관리사를 의무 배치해야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