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농업 분야 자격증}}}}}} | ||||||||
- | → | - | → | - | → | 농화학기술사 | ||
- | - | 시설원예기사 | 시설원예기술사 | |||||
원예기능사 | - | - | - | |||||
유기농업기능사 | 유기농업산업기사 | 유기농업기사 | - | |||||
종자기능사 | 종자산업기사 | 종자기사 | 종자기술사 | |||||
화훼장식기능사 | 화훼장식산업기사 | 화훼장식기사 | - |
종자기능사 種子技能士 Craftsman Seeds | |
관련부처 | 농촌진흥청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1.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농업분야 기술자격증이다. 관련부처는 농촌진흥청이다.농업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한 정책적 배려에서 작물재배가 크게 장려되어 우수한 작물품종의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되었고 이에 전문적인 지식과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로 하여금 작물종자의 채종과 생산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고 큐넷에서 소개하고 있다.
2025년 기준 1, 2, 3회차와 의무검정이 실시된다.
2. 응시자 수
필기 | |||
연도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2023 | 2819 | 1593 | 56.5% |
2022 | 2363 | 1397 | 59.1% |
2021 | 2459 | 1466 | 59.6% |
2020 | 1879 | 1128 | 60% |
2019 | 2220 | 1289 | 58.1% |
실기 | |||
연도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2023 | 1823 | 1326 | 72.7% |
2022 | 1940 | 1239 | 63.9% |
2021 | 2409 | 773 | 32.1% |
2020 | 1786 | 1573 | 88.1% |
2019 | 2018 | 1732 | 85.8% |
과거에 비해선 응시자 수, 합격자 수가 증가하였다.
3. 시험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뉘어지며,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실기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3.1. 필기
필기시험은 여느 기능사 시험과 같이 CBT 4자선다형으로 시행된다. 과락 없이 60문제 중 36문제 이상 맞아야 합격이다.2025년 필기 과목이 개정되었다.
- 종자생산
- 재배
- 육종
필기시험은 문제은행 방식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기출과 비슷한 문제 또는 똑같은 문제가 자주 출제되는 편이다.
따라서 근 3~5개년의 기출문제를 풀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3.2. 실기
2021년부터 2시간 가량의 필답형 시험으로 번경되었다.필답형이라 공개문제가 없다.
종자기능사 출제기준 본문 참고
===# 실기(개정 전) #===
2021년부터 2시간 가량의 필답형 시험으로 변경된다.
아래 내용과 문단은 개정 이전의 작업형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2020년 까지 실기시험은 작업형으로 이루어졌다.
실기시험은 감별 및 종자생산작업(50점)+종자실무작업(50점)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필기시험과 마찬가지로 총 100점 중 60점 이상 득점하면 합격이고, 시험 시간은 총 2시간 정도 주어진다.
준비물은 수험표와 신분증, 흑색 볼펜, 계산기(사무용), 돋보기, 전정가위, 연필칼, 핀셋, 면장갑, 접칼, 30cm 자, 그림붓이다.
====# 감별 및 종자생산작업 #====
- 화서 구분 (10점)
- 종자 구조 (10점)
- 종자 감별 (20점)
- 병충해 감별 (10점)
====# 종자실무작업 #====
아래 중 몇 가지를 골라서 시행한다.
- 발아율 계산
- 맞접 실시
- 깍기접
- 녹지접
- 안장접
- 눈접
- 미세종자 파종
실기 시험 중에 장갑을 벗거나 다치면 감점 등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1]
4. 진로
- 작물시험장, 원예시험장, 종자생산업체, 국립종자원, 원예재배농장, 자영농, 종묘상, 농촌진흥청 등의 관련 분야 공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종자산업법」에 따라 종자기능사 + 실무경력 3년이 충족되면 종자관리사로 등록할 수 있다.
-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종자기능사 취득과 도시농업육성법 제11조의2제2항에 따른 전문인력 양성기관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도시농업 전문과정[2]”을 이수하면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는 주말농장, 도시농업공원 등의 유지 관리 인력, 유소년 또는 청소년 대상 학교텃밭 강사, 사회복지시설 등의 복지텃밭 관리 및 교육 인력, 전국 농업기술센터의 사업운영 인력, 전문교육기관 교수요원 등에 진출할 수 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