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13:27:58

제3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농심백산수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대회의 1차전과 2차전 일정과 맞춰 진행되는 대회}}}에 대한 내용은 [[제27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제27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제27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대회의 1차전과 2차전 일정과 맞춰 진행되는 대회: }}}[[제27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제27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제27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역대 농심백산수배 일람
제2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제3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제4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우승
중국 미정

1. 개요2. 출전 선수3. 본선
3.1. 1차전
3.1.1. 1국: 파일:중국 국기.svg 차오다위안 vs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노 히로나리3.1.2. 2국: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노 히로나리(1승) v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환3.1.3. 3국: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노 히로나리(2승) vs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3.1.4. 4국: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1승) v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종수3.1.5. 5국: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2승) vs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시로 히로시3.1.6. 6국: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3승) v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훈현
3.2. 2차전
3.2.1. 7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훈현(1승) vs 파일:일본 국기.svg 요다 노리모토3.2.2. 8국: 파일:국기.svg 미정 vs 파일:중국 국기.svg 미정3.2.3. 9국: 파일:국기.svg 미정 vs 파일:국기.svg 미정3.2.4. 10국: 파일:국기.svg 미정 vs 파일:국기.svg 미정3.2.5. 11국: 파일:국기.svg 미정 vs 파일:국기.svg 미정

1. 개요

2025년 개최되는 농심백산수배의 3회 대회. 이번 대회는 1971년 이전 출생의 한중일 3국의 프로기사들이 츨전했다.

2. 출전 선수

제3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출전 선수
한국 기원 중국 기원 일본 기원
이름 국적 이름 국적 이름 국적
유창혁 한국 류샤오광 중국 고바야시 고이치 일본
조훈현 한국 -차오다위안- 중국 요다 노리모토 일본
-김영환- 한국 -루이나이웨이- 중국 -야마시로 히로시- 일본
-김종수- 한국 위빈 중국 -나카노 히로나리- 일본
  • 대한민국은 지난 대회에 이어 유창혁이 랭킹시드, 조훈현이 와일드카드로 자동 선발됐고, 나머지 두 자리를 놓고 선발전을 진행해 대표를 선발한다. 그 결과 김영환과 김종수가 선발전을 통과해 대표팀에 합류했다. 김종수는 전기 대회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한국 대표로 출전하며, 김영환은 이번 대회가 농심백산수배 첫 대표 선발이다.선발전 대진표
  • 중국은 지난 시즌 5연승의 대활약을 펼친 루이나이웨이와 중국의 우승을 결정지은 차오다위안, 지난 시즌 미출전한 위빈이 지난 대회에 이어 연속으로 대표로 나오며 1회 대회 대표로 나온 바 있는 류샤오광이 2년 만에 농심백산수배 대표로 복귀하게 됐다.
  • 일본은 지난 대회에 이어 요다 노리모토와 고바야시 고이치가 연속으로 출전하고 1회 대회 대표로 출전한 야마시로 히로시가 대표팀에 복귀했으며, 나카노 히로나리가 농심백산수배에 데뷔하게 됐다.

3. 본선

제3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colbgcolor=#dcdcdc,#1f20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1승 2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3승 2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승 2패)
선봉 김영환
(2국 패)
차오다위안
(1국 패)
나카노 히로나리
(2승, 3국 패)
차봉 김종수
(4국 패)
루이나이웨이
(3승, 6국 패)
야마시로 히로시
(5국 패)
중견 조훈현
(1승)
-
(-)
요다 노리모토
(-)
대장 유창혁
(-)
-
(-)
고바야시 고이치
(-)
  • 현재 연승자(모든 대국 종료 시 최종국 승자)
  • 승리 기록 후 탈락자
  • 무승 탈락자

  • 본선은 2차전으로 나눠 제27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의 1차전과 3차전 일정과 병행으로 진행하며 1차전은 9월 3일부터 중국 칭다오에서, 2차전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다. 모든 경기는 오전 10시(CST)(오전 11시(KST))에 시작한다.

3.1. 1차전

  • 1차전은 제27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1라운드와 같은 장소인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 농심 공장에서 열린다. 농심신라면배와 함께 9월 2일에 개막식을 가지고 3일부터 일정에 돌입한다. 1차전은 지난 2회 대회와 동일하게 6판의 대국이 진행된다.
  • 개막식에서 대진 추첨 결과 대한민국이 휴번이 되어 백산수배는 중일전으로 개막전을 열게 됐다. 세 국가의 선봉으로 대한민국은 이번 백산수배에 첫 출전하는 '영환도사' 김영환, 중국은 지난 대회 마무리 우승을 결정지은 차오다위안, 일본은 이번 대회 첫 출전하는 나카노 히로나리가 선봉으로 나서게 되었다.

3.1.1. 1국: 파일:중국 국기.svg 차오다위안 vs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노 히로나리

본선 1국
(2025년 9월 3일)
⚫️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노 히로나리 159수 흑 불계승
나카노 히로나리 1승
⚪️ 파일:중국 국기.svg 차오다위안
중계[1] 바둑TV - 최유진, 최명훈

지난 대회 마무리 승리로 중국의 우승을 결정지었던 차오다위안과 백산수배 데뷔 신고식을 치른 일본의 나카노 히로나리의 개막전 대결은 나카노 히로나리의 역전승으로 끝이 났다. 1국은 두 선수들이 실수를 주고 받았는데 나카노가 좌중앙 공격에서 재미를 보았으나 우상귀~우변에서 집을 넓히려다가 오히려 차오다위안에게 반격의 여지를 주었고, 우변 흑을 잡는데 성공하며 바둑은 차오다위안의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었다. 그러나 차오다위안이 140수째 실수가 등장한 이후 엎치락뒤치락하는 바둑이 펼쳐지다가 차오다위안이 중앙에서 결정적인 실수가 등장하면서 결국 나카노 히로나리의 승리로 끝이 나게 됐다. 나카노는 백산수배 데뷔전에서 승리하며 일본에게 이번 대회 첫 승을 안겨주었고, 대한민국의 선봉 김영환의 상대가 되었다.

3.1.2. 2국: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노 히로나리(1승) v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환

본선 2국
(2025년 9월 4일)
⚫️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노 히로나리 153수 흑 불계승
나카노 히로나리 2연승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환
중계 바둑TV - 문도원, 최명훈

일본의 나카노 히로나리가 차오다위안과 엎치락뒤치락하는 승부 끝에 승리를 거둔 가운데 대한민국의 선봉으로 '영환도사' 김영환이 나섰다. 김영환은 이 대국이 역시 농심백산수배 데뷔전이다. 과연 나카노 히로나리가 연승에 성공할지? 아니면 김영환이 나카노의 연승을 저지하고 한국팀의 첫 승을 안겨줄 지 주목되는 본선 2국이다.

한국의 선봉 김영환이 아쉽게 패하고 말았다. 초반 나카노 히로나리가 실리를 차지했으나 두터움으로 초반 우세를 잡던 김영환이었다. 그러나 상변과 중앙에서 나카노 히로나리가 득점을 올렸고, 바둑은 중앙 사활 승부로 접어들었다. 그 상황에서 시간에 쫓긴 김영환의 실착이 등장하고 결국 나카노의 흑돌들이 타개에 성공하게 되면서 바둑은 완전히 나카노 히로나리의 분위기로 넘어갔다. 결국 김영환은 돌을 거둘 수 밖에 없었고, 일본의 선봉 나카노 히로나리는 2연승에 성공했다.

3.1.3. 3국: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노 히로나리(2승) vs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

본선 3국
(2025년 9월 5일)
⚫️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 301수 흑 3집반승
루이나이웨이 1승
⚪️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노 히로나리
중계 바둑TV - 최유진, 목진석

일본의 나카노 히로나리가 2연승으로 연승 기세를 탄 가운데 중국의 두 번째 주자로 지난 대회의 주인공으로 5연승으로 대활약하여 중국팀 우승을 이끈 주역인 루이나이웨이가 등판했다. 과연 나카노 히로나리가 3연승을 거두며 승승장구를 이어갈지, 아니면 루이나이웨이가 중국의 이번 대회 첫 승과 함께 지난 대회 연승을 재현하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딛을지 주목되는 본선 3국이다.

3국은 루이나이웨이의 사실상 완승이었다. 초반부터 우세를 잡고 바둑을 풀어나간 루이나이웨이는 점점 차이를 벌려가고 좌상귀 부터 중앙, 우변까지 이어진 전투를 잘 풀어나가면소 우세한 흐름을 계속 잡아나갔다. 그러나 루이나이웨이가 우상귀에서 판단착오가 나오며 나카노 히로나리가 기회를 잡는 듯 했으나 실착이 등장하며 다시 바둑은 루이나이웨이에게 기울어졌다. 결국 대국 시작 3시간 19분 만에 계가까지 간 끝에 3집반을 남기며 루이나이웨이가 나카노 히로나리의 연승을 저지하고 중국의 이번 대회 첫 승을 안겨주었다.

3.1.4. 4국: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1승) v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종수

본선 4국
(2025년 9월 6일)
⚫️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 268수 흑 8집반승
루이나이웨이 2연승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종수
중계 바둑TV - 문도원, 최명훈

대한민국의 두 번째 주자로 김종수가 나섰다. 지난 대회에 이어 다시 한번 루이나이웨이와 맞대결을 펼치게 되었는데 과연 지난 대회 패배를 설욕하고 한국의 이번 대회 첫 승을 안겨줄지, 아니면 루이나이웨이가 연승을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되는 4국이다.

김종수의 승부수가 빛이 바랜 본선 4국이었다. 바둑은 루이나이웨이의 전투가 빛이 나면거 우세한 형세를 잡아갔다. 그러자 비세를 의식한 김종수가 중앙에서 승부수를 걸었는데 그 승부수가 통하면서 형세를 맞춰내는데 성공해 대등한 형세로 바둑이 이어졌다. 그러나 김종수는 상변과 우변 수순에서 이후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면서 결국 다시 루이나이웨이에게 바둑이 기울어졌다. 이후 끝내기까지 마치고 계가까지 간 결과는 흑집은 54집, 백집은 39집으로 반면 15집을 흑이 남겨 덤(6.5집)을 백에게 줘도 흑을 잡은 루이나이웨이가 8집반을 남기는 결과로 끝이 났다. 루이나이웨이는 2연승에 성공하며 전기대회에 이어 다시 한 번 연승에 성공해냈고, 김종수는 다시 한 번 루이나이웨이에게 패하면서 한국의 세 번째 주자에게 바통을 넘겨주게 됐다. 한국은 아직 이번 대회 승리가 없는 상황이다.

3.1.5. 5국: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2승) vs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시로 히로시

본선 5국
(2025년 9월 7일)
⚫️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 177수 흑 불계승
루이나이웨이 3연승
⚪️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시로 히로시
중계 바둑TV - 최유진, 최명훈

루이나이웨이는 5국에서 일본의 두 번째 주자로 나선 야마시로 히로시를 상대로도 압승의 내용을 보여주며 3연승에 성공했다. 초반 좌하귀 전투에서 야마시로 히로시가 우세한 전투인 상황이 있었는데 야마시로 히로시가 좌하귀 흑을 잡는 데에만 집중하다가 빵때림을 스스로 허용하는 모양이 나오며 두터움을 내주고 루이나이웨이의 역습에 그대로 걸려들고 말았다. 그 이후 부터는 완벽한 루이나이웨이의 바둑으로 흘러갔고 루이나이웨이는 자신의 공격적인 스타일을 제대로 발휘하여 맹공을 퍼부은 끝에 마지막엔 백 대마를 잡는데 성공하여 야마시로 히로시에게 항복을 받아내었다. 전기 대회 5연승의 루이나이웨이는 이번 대회에서도 다시 한 번 3연승에 성공하며 연승 상금 5백만원을 획득했다.

3.1.6. 6국: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3승) v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훈현

본선 6국
(2025년 9월 8일)
⚫️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 236수 백 불계승
조훈현 1승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훈현
중계 바둑TV - 문도원, 목진석

칭다오에서 열리는 1차전의 마지막 대국. 대한민국의 세 번째 주자로 조훈현이 출격했다. 지난 대회에 이어 다시 한 번 루이나이웨이와 맞대결을 펼치는 가운데 조훈현이 루이나이웨이의 연승을 저지하며 지난 대회 패배를 설욕할지, 아니면 루이나이웨이가 다시 한 번 조훈현을 잡고 4연승에 성공하며 지난 대회에 이어 다시 한 번 연승기세를 계속 이어갈지 주목되는 대국이다.

조훈현이 지난 대회 설욕에 성공하며 대한민국의 이번 백산수배 첫 승을 안겨주었다. 6국은 조훈현의 전성기 시절을 보는 듯한 현란한 바둑이 빛을 냈다. 초반에는 우하귀에서 루이나이웨이에게 웃어주는 분위기로 바둑이 이어졌으나 이후 조훈현은 우하와 우상 상변에서 서서히 우세를 가지고 왔고, 루이나이웨이가 상변에 수를 내러갔으나 되려 백 세력만 보태줘 격차는 더 벌어졌다. 하지만 조훈현에게도 위기의 순간이 있었다. 중앙에서 결정타를 날릴 기회를 놓쳐 역습을 당할 위기에 처한 것. 그러나 조훈현은 좌변으로 손을 뺀 것을 시작으로 바꿔치기를 결행하는 기지를 발휘해 위기를 벗어나 이를 통해 좌상~좌변 일대 흑을 잡는데 성공하며 확실한 승기를 가져옴으로써 루이나이웨이에게 항복을 받아내는데 성공, 칭다오에서 열린 1차전을 마무리지었다. 조훈현의 승리로 1차전 결과 한국, 중국, 일본 모두 2명씩 살아남아 2026년 2월 상해에서 속개되는 2차전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3.2. 2차전

  • 2차전은 2026년 2월 농심신라면배 3라운드가 열리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다. 2차전은 우승국이 결정 될 때까지 최대 5판의 대국을 가진다.
  • 1차전 진행 결과 한국(조훈현(7국에서 2연승 도전), 유창혁), 중국(류샤오광, 위빈), 일본(요다 노리모토(7국 출전), 고바야시 고이치) 모두 2명씩 살아남아 2차전으로 넘어오게 됐다.

3.2.1. 7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훈현(1승) vs 파일:일본 국기.svg 요다 노리모토

본선 7국
(2026년 -월 -일)
⚫️ 파일:국기.svg 선수명 -수 -승
선수명 -승
⚪️ 파일:국기.svg 선수명
중계 바둑TV -

3.2.2. 8국: 파일:국기.svg 미정 vs 파일:중국 국기.svg 미정

본선 8국
(2026년 -월 -일)
⚫️ 파일:국기.svg 선수명 -수 -승
선수명 -승
⚪️ 파일:국기.svg 선수명
중계 바둑TV -

3.2.3. 9국: 파일:국기.svg 미정 vs 파일:국기.svg 미정

본선 9국
(2026년 -월 -일)
⚫️ 파일:국기.svg 선수명 -수 -승
선수명 -승
⚪️ 파일:국기.svg 선수명
중계 바둑TV -

3.2.4. 10국: 파일:국기.svg 미정 vs 파일:국기.svg 미정

본선 10국
(2026년 -월 -일)
⚫️ 파일:국기.svg 선수명 -수 -승
선수명 -승
⚪️ 파일:국기.svg 선수명
중계 바둑TV -

3.2.5. 11국: 파일:국기.svg 미정 vs 파일:국기.svg 미정

본선 11국
(2026년 -월 -일)
⚫️ 파일:국기.svg 선수명 -수 -승
선수명 -승
⚪️ 파일:국기.svg 선수명
중계 바둑TV -

제3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우승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국기.svg -
(-)
}}}


[1] 이번 대회는 바둑TV가 단독으로 중계하며, K바둑은 이번 대회 중계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