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2 19:42:58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전라북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파일:전라북도 구 휘장(1969–1997).png 전라북도 제11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전주·완주 군산·옥구 이리·익산 진안·무주·장수
임방현
김태식
고판남
김길준
문병량
박병일
황인성
오상현
남원·임실·순창 정읍·고창 김제·부안
양창식
이형배
진의종
김원기
조상래
김진배
선거 결과
}}}
전국구 · 서울 · 부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1. 개요2. 결과
2.1. 전라북도 제1선거구 (전주시·완주군)2.2. 전라북도 제2선거구 (군산시·옥구군)2.3. 전라북도 제3선거구 (이리시·익산군)2.4. 전라북도 제4선거구 (진안군·무주군·장수군)2.5. 전라북도 제5선거구 (남원군·임실군·순창군)2.6. 전라북도 제6선거구 (정읍군·고창군)2.7. 전라북도 제7선거구 (김제군·부안군)

1. 개요

항목제11대 국회의원 선거전라북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결과

2.1. 전라북도 제1선거구 (전주시·완주군)

전라북도 제1선거구
전주시 일원, 완주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태식(金台植) 40,173 2위
[include(틀:민주한국당)] 19.07% 당선
2 최전권(崔銓權) 15,275 5위
[include(틀:민권당)] 7.25% 낙선
3 류범수(柳凡秀) 32,239 3위
[include(틀:한국국민당(1981년))] 15.30% 낙선
4 임방현(林芳鉉) 71,715 1위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34.05% 당선
5 임광순(林廣淳) 19,663 9위


9.33% 낙선
6 이춘영(李春永) 20,196 4위


9.58% 낙선
7 신동욱(申東昱) 11,337 6위


5.38% 낙선
선거인 수 279,302 투표율
82.46%
투표 수 213,171
무효표 수 2,573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김태식 류범수 임방현
결과 19.07%(당선) 15.30% 34.05%(당선)
전주시 21.09%(2위) 12.89% 31.62%(1위)
완주군 14.50% 20.78%(2위) 39.54%(1위)

2.2. 전라북도 제2선거구 (군산시·옥구군)

전라북도 제2선거구
군산시 일원, 옥구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고판남(高判南) 42,149 1위


34.48% 당선
2 고병태(高炳泰) 17,145 4위

통일민족당
14.02% 낙선
3 김금석(金金石) 1,876 8위


1.53% 낙선
4 이강만(李康滿) 2,455 7위


2.00% 낙선
5 채영석(蔡映錫) 8,794 6위


7.19% 낙선
6 채규희(蔡奎凞) 9,684 5위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7.92% 낙선
7 김봉욱(金奉旭) 19,724 3위


16.13% 낙선
8 김길준(金吉俊) 20,391 2위


16.68% 당선
선거인 수 151,011 투표율
81.68%
투표 수 123,345
무효표 수 1,127



통일민족당




고판남 고병태 김봉욱 김길준
결과 28.19%(당선) 14.02% 16.13% 16.68%(당선)
군산시 36.67%(1위) 14.54% 11.79% 17.46%(2위)
옥구군 31.24%(1위) 13.26% 22.58%(2위) 15.52%

2.3. 전라북도 제3선거구 (이리시·익산군)

전라북도 제3선거구
이리시 일원, 익산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헌(李憲) 7,021 4위
[include(틀:한국국민당(1981년))] 5.58% 낙선
2 박병일(朴炳一) 48,919 2위
[include(틀:민주한국당)] 38.91% 당선
3 김득수(金得洙) 15,040 3위
[include(틀:민권당)] 11.96% 낙선
4 문병량(文炳良) 48,948 1위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38.94% 당선
5 이기순(李基順) 5,768 5위


4.58% 낙선
선거인 수 162,750 투표율
78.08%
투표 수 127,070
무효표 수 1,374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박병일 김득수 문병량
결과 38.91%(당선) 15.78% 38.94%(당선)
이리시 37.84%(2위) 13.67% 37.00%(1위)
익산군 39.89%(2위) 10.40% 40.70%(1위)

2.4. 전라북도 제4선거구 (진안군·무주군·장수군)

전라북도 제4선거구
진안군 일원, 무주군 일원, 장수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황인성(黃寅性) 49,690 1위


56.61% 당선
2 이상옥(李相玉) 18,393 3위


20.95% 낙선
3 오상현(吳上鉉) 19,690 2위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22.43% 당선
선거인 수 100,544 투표율
88.44%
투표 수 88,917
무효표 수 1,144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황인성 이상옥 오상현
결과 56.61%(당선) 20.91% 22.43%(당선)
진안군 39.94%(1위) 30.92%(2위) 29.13%
무주군 74.36%(1위) 10.78% 14.84%(2위)
장수군 63.08%(1위) 16.62% 20.29%(2위)

2.5. 전라북도 제5선거구 (남원군·임실군·순창군)

전라북도 제5선거구
남원군 일원, 임실군 일원, 순창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홍필(金洪馝) 24,164 3위


17.32% 낙선
2 양창식(梁昶植) 59,170 1위


42.42% 당선
3 양태연(梁泰淵) 11,165 5위


8.00% 낙선
4 최용안(崔容安) 18,565 4위


13.31% 낙선
5 이형배(李炯培) 26,410 2위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18.93% 당선
선거인 수 166,473 투표율
84.87%
투표 수 141,283
무효표 수 1,809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김홍필 양창식 양태연 최용안 이형배
결과 17.42% 42.42%(당선) 8.00% 13.31% 18.93%(당선)
남원군 4.87% 57.27%(1위) 3.42% 7.50% 26.92%(2위)
임실군 7.18% 31.18%(1위) 21.88% 28.06%(2위) 11.74%
순창군 57.42%(1위) 21.60%(2위) 2.44% 9.52% 9.00%

2.6. 전라북도 제6선거구 (정읍군·고창군)

전라북도 제6선거구
정읍군 일원, 고창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병후(曺秉厚) 9,473 5위


6.05% 낙선
2 진의종(陳懿鍾) 61,443 1위


39.29% 당선
3 신정재(申正宰) 3,699 6위


2.36% 낙선
4 이호종(李昊鍾) 20,316 3위


12.99% 낙선
5 이경태(李景泰) 3,374 7위

원일민립당
2.15% 낙선
6 김원기(金元基) 41,789 2위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26.72% 당선
7 노동채(魯棟采) 16,280 4위


10.41% 낙선
선거인 수 194,309 투표율
81.43%
투표 수 158,228
무효표 수 1,854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진의종 이호종 김원기 노동채
결과 39.29%(당선) 12.99% 26.72%(당선) 10.41%
정읍군 34.71%(2위) 9.89% 39.71%(1위) 6.71%
고창군 46.42%(1위) 17.82% 6.46% 16.17%(2위)

2.7. 전라북도 제7선거구 (김제군·부안군)

전라북도 제7선거구
김제군 일원, 부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존일(李存一) 11,212 5위


7.59% 낙선
2 최락도(崔洛道) 32,543 3위


22.05% 낙선
3 조상래(趙尙來) 42,672 1위


28.91% 당선
4 김진배(金珍培) 33,316 2위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22.57% 당선
5 허요석(許堯錫) 3,591 7위


2.43% 낙선
6 이창열(李昌烈) 19,132 4위


12.96% 낙선
7 유흥철(柳興喆) 5,103 6위


3.45% 낙선
선거인 수 182,849 투표율
81.51%
투표 수 149,046
무효표 수 1,477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


이존일 최락도 조상래 김진배 이창열
결과 7.59% 22.05% 28.57%(당선) 22.57%(당선) 12.96%
김제군 2.95% 31.27%(2위) 32.41%(1위) 8.77% 17.78%
부안군 15.13% 7.09% 23.24%(2위) 44.96%(1위)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