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2:59:20

전투지경선


1. 개요2. 상세3. 이와 관련된 사례


戰鬪地境線, Boundary.

1. 개요

각 부대별 전투와 방어, 책임 구역을 뜻하는 군사 용어로, 지경선으로도 부른다.

또한 이를 보려면 군대부호를 어느정도 알고 봐야 한다.

2. 상세

파일:백석산전투=_=고지위치.jpg
백석산 전투 전투지경선.[1]

전투지경선은 부대 전력(+동원가능 전력까지 포함)과 임무, 지형 등등에 따라 상급 부대에서 지정, 조정하며 전방/후방/측방 전투지경선으로 구분된다. 또한 대부분 도로나 하천 등 식별하기 용이한 대상을 기준으로 그어지며, 고지와 능선 등 전투에 중요한 지형지물은 분할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며, 상대 부대 전투지경선을 침범시 작전에 지장을 주거나 아군 오사 등 충돌을 야기할 수 있기에 해당 혹은 상급 부대의 허락이나 협조가 필요하며, 최소 이러이러한 이유로 왔다며 통보라도 해주어야 한다.

당연한 소리지만 전투지경선의 설정이 적군의 행동까지 구속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양쪽 경계면의 경계방어가 허술하면 이 경계선을 침입 경로로 활용하기도 한다.[2]

게다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 전투지경선을 유연하게 변경하는 다영역 작전이 부상하고 있다.#

3. 이와 관련된 사례

3.1. 6.25 전쟁

어찌된 일인지 7사단유재흥 관련된 게 많다.[3]
  • 안강-기계 전투 당시 북한군 12사단은 운주산의 국군 17연대와 18연대에 각각 공격을 가해 반응 유무로 전투지경선을 파악한 뒤 이를 따라 1개 소대를 운주산 정상부까지 침투시켰지만, 그곳에 있던 연대본부 경계병들이 이를 발견해 장교들과 위생병, 통신병, 헌병 같은 비전투 병사들과 같이 교전을 벌여 격퇴시켰다.
  • 원산 전투 당시 수도사단3사단 간 전투지경선 구분이 애매해 수도사단장 송요찬 준장과 3사단 26연대장 이치엽 대령은 여왕산 산록에서 서로 옥신각신했고, 이는 원산 선봉 입성의 문제로도 번졌으나 1군단장이 공동 입성으로 합의하라 해서 수습되었다.
  • 평양 탈환작전 당시 국군 7사단은 '평양 선봉 입성은 국군이 되어야 한다.'는 이승만 대통령의 명령대로 평양으로 방향을 틀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7사단 내부에서도 유엔군 전투지경선을 멋대로 바꿔도 되냐며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유재흥 2군단장은 '일단 평양부터 따고 보라' 며 일축했고, 그 결과 해당 방면으로 진격하던 국군 1사단과의 충돌, 대립으로 이어졌다.
  • 현리 전투 직전 유재흥이 지휘하는 국군 3군단은 오마치라는 고개로 후방과 연결되었다. 하지만 오마치는 인접 미 10군단 예속 국군 7사단의 영역이었고, 10군단장 알몬드 장군이 3군단 경계 병력 배치를 완강하게 거부해[4] 패주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 피의 능선 전투 와중 피해가 커지자 미10군단장은 서쪽 백석산 전선의 국군 7사단에게 전투지경선을 넘어 피의 능선 554 고지를 점령하라고 명령해 8연대와 대전차대대가 미2사단 작계지 쪽으로 향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대전차대대가 전투지경선을 넘어 피의 능선 전투에 가세하였다. 또한 직후 본격화된 백석산 전투에서도 우측의 미 2사단이 1024고지를 빼앗겨 7사단 3연대의 우측방이 위협받자, 전투지경선 너머로 예비대를 보내 이를 탈환한 뒤 미군에게 인계하였다.

[1] 참고로 연대별 담당 면적이 왜 천차만별이냐면, 8연대가 주공, 3연대는 조공, 5연대는 조공+들러리(...)이기 때문.[2] 한국전쟁 초반 낙동강까지 밀렸을 때 이뤄진 안강-기계 전투에서 적들은 이 경로로 침입을 시도했다.#[3] 참고로 유재흥은 개전 초기 7사단장이기도 했었다.[4] 유재흥은 육본과 미 8군 사령부에도 중재를 요청했으나 전자는 묵묵부답에 후자는 알몬드의 손을 들어주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