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주월드컵경기장 야구장 (가칭) | |
Dream Forest | |
착공 | 2023년 6월 27일 |
준공 | 2025년 11월 (예정) |
개장 | 2026년 상반기 (예정)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1055 (전주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 위치) |
크기 | 좌우 펜스 101m 중앙 펜스 122m 펜스 높이 ?m |
잔디 | |
좌석 규모 | 8,179석[1] |
더그아웃 | |
설계 | 해안건축 |
시공 | 신세계건설[2] |
건설 비용 | 585억 원 |
[clearfix]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에 준공 예정인 야구장. 2025년 준공, 2026년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2. 상세
재개발로 인해 철거한 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의 대체 야구장으로 전주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 부지에 건설한다. 8,179석 규모의 구장으로, 추후 2만 석 규모까지 증축 가능하도록 설계했다.과거 해태 타이거즈가 옛 전주 야구장을 제2 홈구장으로 사용했던 적이 있고[3], 월명종합경기장 야구장이 상당히 노후됐기에 본 야구장을 완공하면 KIA 타이거즈가 이곳을 제2 홈구장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3. 역사
3.1. 전주종합경기장 대체 경기장 신축 계획
3.2. 건설 과정
2020년 2월 27일 설계공모 종합심사가 진행되었으며 #[4] 최종적으로 창원 NC 파크,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를 설계한 해안건축이 선정되었다.2020년 4월 9일, 기본 설계 용역에 착수했으며 2021년 6월에 착공해 2023년에 완공한다는 계획이 나왔다.# 하지만 계획이 다시 밀려서 2021년 9월 현재 실시설계 용역이 진행 중이며 완료되면 2024년말 완공을 목표로 2022년에 공사를 발주할 계획이다.# 2022년 9월 23일 열린 전주시 의회 예결위에서 우범기 전주시장에게 “야구장을 철거하면서 바로 부지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주문한 것을 보면 # 공사는 더 늦게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11월 15일 전주시는 2023년도 시 예산안에서 전주 육상경기장 및 야구장 건립에 220억원을 편성하였음을 공식 발표했다.# 이로써 2010년 재개발 사업 계획 수립 이후 지지부진했던 전주종합운동장 재개발 및 신축 경기장 사업은 2023년을 기점으로 약 13년 만에 본격적인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2022년 12월 27일 전주시는 2023년도 정부 예산안을 발표, 신규사업인 전주 육상경기장 조성사업비 27억원과 계속사업인 야구장 건립사업비 30억원 등 총 57억원의 국비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전주 육상경기장과 야구장은 총 사업비 1421억원(국비 117억원, 시비 939억원, 지방채 365억원)이 투입된다. 현재 발주 전 행정절차인 일상감사를 완료한 상태로, 2023년 상반기 업체 선정 후 본격적인 건립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2023년 5월 18일 우범기 전주시장이 송하진 전 전북도지사와 함께 허구연 KBO 총재를 만나 전주 신축 야구장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KBO는 전주시를 포함한 전라북도 전역에 많은 팬들을 보유하고 있는 KIA 타이거즈와 익산을 퓨처스 팀 연고지로 둔 kt wiz 등 전북과 이해관계가 있는 구단과의 협의를 통해 새 전주 야구장에서 KBO 리그 1군 경기나 퓨처스리그 일부 경기가 개최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2023년 6월 27일 전주시는 '전주 육상경기장 및 야구장 건립 착공식'을 개최, 전주 신축 야구장 건립을 향한 대망의 첫 삽을 뜨게 되었다.
2024년 5월 30일 야구장 건립 사업이 착공 10개월 만에 중단 사태가 빚어졌다. 시공사가 자금난을 이유로 공사를 중도에 포기했기 때문이다. 전주시는 결국 컨소시엄으로 참여한 신세계건설이 계성건설과 우람종합건설 지분을 모두 인수해 단독으로 두 대체 시설을 건립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6월 16일 조달청에 시공사 변경을 의뢰해 지분 변경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 절차가 완료되면 이르면 7월 초순쯤 공사를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전망한다.#
2024년 7월 11일 최근 지분정리가 마무리 되고 신세계건설이 주 시공사가 되어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