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17:12:17

굴파리

잎굴파리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굴파리'''{{{#!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세계아이돌 팬덤의 멸칭}}}에 대한 내용은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세계아이돌 팬덤의 멸칭: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굴파리
Leaf-miner flies
파일:아메리카잎굴파리_국립생물자원관.jpg
아메리카잎굴파리
학명 Agromyzidae
Fallén, 1823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파리목Diptera
아목 등에아목Brachycera
상과 뾰족풀파리상과Opomyzoidea
굴파리과 Agromyzidae

1. 개요2. 특징3. 피해 및 방제4. 국내 서식종 목록

1. 개요

Agromyzidae / Leaf-miner flies
곤충강 파리속에 속하는 곤충으로, 유충이 식물 잎 내부(엽육)을 파먹는 습성을 지녔다.

2. 특징

굴파리과Agromyzidae에 속한 곤충들은 약 2,5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도 여러 종이 발견되고 있다. 성충은 2~3mm 내외로 작은 크기를 가졌고, 대부분 회색이나 검은색 몸을 지녔다.

상술한대로 유충이 식물의 잎 내부에 굴을 파며 살아가 식물 조직에 특이한 흔적을 남기는데[1], 이 과정에서 식물의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고, 심할 경우 잎이 말라 죽게 되어 원예 및 농작물의 해충으로 간주된다.

대표적으로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 벼잎굴파리(Agromyza oryzae) 등이 있다.

3. 피해 및 방제

유충이 잎 속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방제가 어렵고, 주로 성충을 대상으로 살충제 및 방충제를 사용하거나, 기생벌 등 천적을 이용한 방제법 등이 활용된다.

국화, 셀러리, 토마토, 고추, 수박, 호박 등 21과 120종 이상의 식물을 기주식물로 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경우 한국에선 외래침입해충인데 1994년 1월 26일 광주광역시의 한 거베라 비닐하우스에서 최초로 피해가 발견되었다.#

4. 국내 서식종 목록

상기하였듯 전세계에 대략 2500종 정도가 있으며, 「2024 국가생물종목록」에 따르면 국내에는 12속 69종이 서식하고 있다.
  • 굴파리속Agromyza
    • 보리굴파리 Agromyza albipennis (Mign, 1830)
    • 쐐기풀굴파리 Agromyza anderssoni (Spncr, 1976)
    • 밀굴파리 Agromyza nigrella (Rondani, 1874)
    • 벼잎굴파리 Agromyza oryzae (Munakata, 1910)
    • 갈대굴파리 Agromyza phragmitidis (Hndl, 1922)
    • 새풀굴파리 Agromyza rondensis (Strobl, 1900)
    • 야노보리굴파리 Agromyza yanonis (Matsuura, 1916)
    • Agromyza audcenti (Gibbs, 2004)
    • Agromyza pseudoreptans (Nowakowski, 1967)
    • Agromyza reptans (Falln, 1823)
    • Agromyza sulfuriceps (Strobl, 1898)
  • 크로마토미아속Chromatomyia
    • 완두굴파리 Chromatomyia horticola (Gourau, 1851)
    • 보리줄굴파리 Chromatomyia nigra (Mign, 1830)
  • 리리오미자속Liriomyza
    • 오이풀굴파리 Liriomyza artemisiae (Spncr, 1981)
    • 씀바귀굴파리 Liriomyza asterivora (Sasakawa, 1956)
    • 셀러리잎굴파리 Liriomyza bryoniae (Kaltnbach, 1858)
    • 파굴파리 Liriomyza chinensis (Kato, 1949)
    • 콩잎굴파리 Liriomyza congesta (Bckr, 1903)
    • 과꽃굴파리 Liriomyza pusilla (Mign, 1830)
    • 아메리나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 (Burgss, 1880)
    • 등검정굴파리 Liriomyza vitrimentula (Sasakawa, 1994)
    • 쑥굴파리 Liriomyza yasumatsui (Sasakawa, 1972)
    • 파잎굴파리 Liriomyza cepae (Hring, 1927)
    • Liriomyza lituanica (Pakalnikis, 1992)
    • Liriomyza artemisicola (Mijr, 1924)
    • Liriomyza flaveola (Falln, 1823)
    • Liriomyza demeijerei (Hring, 1930)
    • Liriomyza bartaki (Crny, 2007)
    • 흑다리애잎굴파리 Liriomyza huidobrensis (Blanchard, 1926)
    • Liriomyza eupatorii (Kaltnbach, 1873)
    • Liriomyza katoi (Sasakawa, 1961)
  • 콩줄기굴파리속Melanagromyza
    • 콩줄기굴파리 Melanagromyza sojae (Zhntnr, 1900)
    • Melanagromyza koreatica (Crny, 2007)
    • Melanagromyza pubescens (Hndl, 1923)
    • Melanagromyza suyangsanica (Crny, 2007)
  • 오피오미아속Ophiomyia
    • 우리굴파리 Ophiomyia koreana (Crny, 2007)
    • Ophiomyia galii (Hring, 1937)
    • Ophiomyia georginae (Crny, 2007)
    • Ophiomyia paektusanica (Crny, 2007)
    • Ophiomyia puerarivora (Sasakawa, 1981)
  • 파이토미자속Phytomyza
    • 국화잎굴파리 Phytomyza albiceps (Mign, 1830)
    • 묏미나리굴파리 Phytomyza arnaudi (Sasakawa, 1955)
    • 개미취줄굴파리 Phytomyza japonica (Sasakawa, 1953)
    • 당귀굴파리 Phytomyza kibunensis (Sasakawa, 1953)
    • 돌나물굴파리 Phytomyza sedicola (Hring, 1924)
    • 사위질빵굴파리 Phytomyza yasumatsui (Sasakawa, 1955)
    • Phytomyza albipennis (Falln, 1823)
    • Phytomyza fallaciosa (Brischk, 1880)
    • Phytomyza ranunculi (Schrank, 1803)
    • Phytomyza paranigrifemur (Crny, 2007)
    • Phytomyza conjuncta (Iwasaki, 1996)
    • Phytomyza virgaureae (Hring, 1926)
  • 아마우로미자속Amauromyza
    • 크팔로이자아속Cphaloyzal
      • Amauromyza (Cephalomyza) flavifrons (Mign, 1830)
    • 아우로이자아속Aauroyza
      • Amauromyza (Amauromyza) aliena (Malloch, 1914)
  • 세로돈타속Cerodontha
    • 디지고이자아속Dizygoyza
      • Cerodontha (Dizygomyza) morosa (Mign, 1830)
      • Cerodontha (Dizygomyza) iraeos (Robinau-Dsvoisy, 1851) 창포더듬이굴파리
      • Cerodontha (Dizygomyza) caricicola (Hring, 1926) 사초더듬이굴파리
      • Cerodontha (Dizygomyza) fasciata (Strobl, 1880)
      • Cerodontha (Dizygomyza) spinata (Groschk, 1954)
    • 부투이자아속Butooyza
      • Cerodontha (Butomomyza) angulata (Low, 1869) 반달혹굴파리
      • Cerodontha (Butomomyza) staryi (Star, 1930) 극동더듬이굴파리
      • 크로돈타아속Crodontha
      • Cerodontha (Cerodontha) denticornis (Panzr, 1806) 뾰족코굴파리
      • Cerodontha (Cerodontha) unguicornis Hndl, 1932
    • 포이자아속Poyza
      • Cerodontha (Poemyza) beigerae Nowakowski, 1973
  • 카리코미자속Calycomyza
    • Calycomyza artemisiae (Kaltnbach, 1856)
    • Calycomyza subapproximata (Sasakawa, 1955)
  • 아우라그로미자속Aulagromyza
    • Aulagromyza kozaneki Crny, 2007
  • 파이토리리오미자속Phytoliriomyza
    • Phytoliriomyza arctica (Lundbck, 1901)
  • 나포미자속Napomyza
    • Napomyza elegans (Mign, 1830)

[1] 이런 행동을 잎굴(Leaf-mining behavior)이라고 부르며, 이는 굴파리 뿐만 아니라 여러 종에게서 발견되는 행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