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서크 스킬을 가진 병사들은 피의 갈망에 미쳤거나, 한 가지 목적만을 위해 정신줄을 놓아버렸습니다. 개인의 안전을 도외시하고, 오직 적을 쳐죽이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
| 버서크(Berserk) |
| 롱 스킬(Long Skill) |
| 공격(Attack), 근접공격(CC Attack), CC 특수 스킬(CC Special Skill), 이동기(Movement),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이 스킬을 선언할 때, 목표가 사용자의 LoF 안에 있어야만 합니다. |
| 효과 |
| 사용자가 롱 스킬을 사용하여 무브 + CC 어택을 선언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공격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집니다. |
| ▶ 두 MOV수치를 합한 만큼의 이동이 가능합니다. 목표물에게 실루엣 컨택을 해야 합니다. |
| ▶ 만약 이동을 측정했을 때 목표물과 실루엣 컨택이 불가능할 경우, 선언한 모델은 아이들 스킬을 대신 실행합니다. 따라서, 이동도, 공격도 하지 못합니다. |
| ▶ 이 룰에 보정치가 있을 경우 (Berserk +3 같은), 이 보정치를 CC 어택에 더합니다. |
| ▶ 이 CC 어택은 대상과 실루엣이 닿아 있지 않더라도 선언이 가능합니다. |
| ▶ 버서크는 롱 스킬이지만, 사용 중에 사용자는 +1SD 보정치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 카모플라주 상태(Camouflaged) |
| 마커(Marker) |
| 발동 |
| ▶ 배치 단계에서 자동 사용 |
| ▶ 내 턴이고, 적 트루퍼와 마커의 LoF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에, 롱 스킬을 사용해 카모플라주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
| 효과 |
| ▶ 카모플라주 상태에서는 플레이어가 모델을 테이블 위에 놓지 않고 카모플라주 마커를 놓습니다. |
| ▶ 카모플라주 마커는 미메티즘 기술을 보유할 수 있으므로, 카모플라주 마커는 미메티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면 해당 미메티즘 기술이 적용되는 MOD 레벨을 표시합니다. |
| ▶ 제한: 적의 카모플라주 마커와 실루엣 컨택을 할 수 없습니다. |
| ▶ 제한: 규칙이나 스킬에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카모플라주 마커에 대해 공격을 선언할 수 없으며, 해당 마커를 먼저 발견(발견 + 공격)해야 합니다. |
| ▶ 카모플라주 마커의 정체를 드러내게 하려면, 발견 굴림을 통과해야 하며, 카모플라주의 미메티즘을 포함해 발견에 나열된 MOD를 적용해야 합니다(있는 경우). |
| ▶ 발견 굴림이 성공하면 카모플라주 마커는 해당 모델로 교체되며, 소유한 플레이어가 선택한 방향을 향하게 됩니다. |
| ▶ 마커 발견을 위한 주사위 굴림에서 실패한 트루퍼는 다음 플레이어 턴까지 같은 마커를 발견하려고 시도할 수 없습니다. 이미 공개되었다가 다시 카모플라주 상태에 들어간 트루퍼은 같은 마커으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
| ▶ 카모플라주 마커의 시야각은 360˚입니다. |
| ▶ 카모플라주 마커의 실루엣(S) 값은 해당 마커가 나타내는 트루퍼와 동일합니다. 단, 카모플라주 상태의 무기 또는 장비의 카모플라주 마커 실루엣(S) 값은 2입니다. |
| ▶ 이 상태는 자동 사용 기술이나 자동 사용 장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
| ▶ 제한: 카모플라주 상태의 트루퍼는 파이어팀에 속할 수 없습니다. 파이어팀의 구성원이 카모플라주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파이어팀 소속에서 제외됩니다. |
| ▶ 제한: 카모플라주 마커에 대해 선언할 수 있는 ARO는 다음과 같습니다: 발견, 닷지, 룩 아웃!, 리셋 |
▶ 카모플라주 상태의 트루퍼가 활성화되면 상대 트루퍼는 활성화 된 트루퍼의 후반부 명령이 선언될 때까지 자신의 ARO 선언을 지연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 카모플라주 상태의 트루퍼가 해당 오더 진행 중에 자신을 드러내면(BS 어택을 선언하거나 적과 실루엣 컨택하는 등...), 지연 중인 트루퍼는 자신의 ARO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 카모플라주 상태의 트루퍼가 정체를 드러내지 않으면, 지연 중인 트루퍼은 ARO를 선언할 권리를 잃습니다. |
| 해제 |
| 카모플라주 상태는 아래와 같은 경우에 해제됩니다. |
| ▪ 카모플라주 마커가 공격, 룩 아웃! 혹은 굴림이 필요한 모든 스킬을 선언했을 때. |
| ▪ 카모플라주 마커가 커셔스 무브먼트를 제외한 롱 스킬을 선언했을 때. |
| ▪ 카모플라주 마커가 적 모델과 실루엣 컨택을 했을 때. |
| ▪ 카모플라주 마커가 발견되었을 때. |
| ▪ 카모플라주 마커가 세이빙 롤을 굴려야할 때. |
| ▪ 해당 트루퍼가 임페추어스가 될 때. (프렌지 혹은 기타 사유로) |
| ▪ 해당 트루퍼가 리트릿! 상태가 될 때. |
| ▶ 카모플라주 상태가 해제될 때, 해당 카모플라주 마커를 소유한 플레이어는 그 마커가 나타내는 모델로 교체하고, 소유한 플레이어가 선택한 방향을 향하게 됩니다. |
| ▶ 마커를 모델로 대체할 때, 해당 플레이어는 상대에게 드러난 모델의 모든 무장 등에 대한 공개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
이 스킬을 가진 유닛은 지휘 계통 상 현장 지휘관 바로 아래에 있는 2인자입니다. 필요하다면 작전 도중 지휘권을 인수해올 수도 있다는 거죠. |
| 체인 오브 커맨드(Chain of Command)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기밀 정보(Private Information),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플레이어 턴 시작 때, 장교 상실 상태에서 이 스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플레이어의 장교는 고립 상태거나, 무력화(null) 상태여야 합니다. |
| ▶ 스킬 보유자는 테이블 위에 모델이나 마커 상태로 나와 있어야 합니다. |
| ▶ 스킬 보유자는 고립되거나 무력화(null)되지 않은 상태여야 합니다. |
| 효과 |
| ▶ 스킬 보유자는 아미의 새로운 장교가 되며, 다른 추가 스킬이 없는 장교 스킬을 얻습니다. |
| ▶ 이 스킬이 발동되면 플레이어의 아미는 이번 턴의 장교 손실 상황 체크를 성공한 것으로 간주니다. |
| ▶ 만약 기존 장교가 되살아나거나 고립 상태에서 풀리더라도, 스킬 보유 유닛이 여전히 장교입니다. |
| 클라이밍 플러스를 가진 병사들은 등반과 수직이동에 대한 재능을 타고났거나, 수직 이동에 적합한 장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
| 클라이밍 플러스(Climbing Plus)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이동기(Movement), 선택 발동(Optional) |
| 요구 사항 |
| ▶ 이동이 끝났을 때, 스킬 보유자는 자신의 베이스와 같은 크기거나 더 큰 표면에 베이스를 놓을 수 있어야 합니다. |
| 효과 |
| ▶ 이 스킬을 보유하면, 첫번째 베이직 숏 스킬로 클라임 스킬을 선언할 경우에, 클라임은 롱 스킬이 아닌 베이직 숏 스킬로 바뀝니다. |
| ▶ 클라이밍 플러스를 사용하면 무브 또는 닷지를 선언할 때 또는 것츠롤에 실패하여 이동할 때도 수평 표면에서 일반 이동을 하는 것처럼 수직 표면에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일반 이동 규칙과 이동 및 측정 규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
| ▶ 등반 스킬이 짧은 기본 스킬로 바뀌기 때문에, 클라이밍 플러스 보유자는 다른 짧은 기본 스킬 (클라임 + BS 어택 등)을 수직 표면에서 움직이거나,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 ▶ 제한: 트루퍼는 오더 당 한번만 클라임을 베이직 숏 스킬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 이후 트루퍼가 무브를 선언할 경우, MOV 능력치의 2번째 부분을 사용합니다. |
| ▶ 제한: 클라임 스킬과 동일하게, 클라이밍 플러스 스킬을 사용 중인 병사는 수직 표면에 매달린 동안 부분 엄폐 보정치를 받을 수 없습니다. |
| ▶ 시각적인 목적에서, 이 스킬을 사용해 이동 중인 병사들은 최소한 베이스의 밑바닥 절반이 수직 표면에 닿아 있어야 합니다. |
| ▶ 리액티브 턴일 경우, 클라이밍 플러스 보유자는 수직 표면 위에서 ARO 선언이 가능합니다. |
| ▶ 만약 보유자가 어떤 이유에서건 임페츄어스 상태가 된다면, 임페츄어스 페이즈 중 클라이밍 플러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몇몇 병사들은 특수한 강하 장비를 장착했으며, 하늘에서 그대로 전장으로 내리꽂히는 투하 전술을 훈련받았습니다.'파괴적인 기습공격으로 적들을 급습하기 위해서입니다. |
| 컴뱃 점프(Combat Jump) |
| 롱 스킬(Long Skill) |
| 공수 배치(Airborne Deployment), 기밀 정보(Private Information), 선택 적용(Optional) |
| 효과 |
| ▶ 스킬 보유자는 배치 페이즈에 배치될 필요가 없습니다. 플레이어가 본인 액티브 턴에 배치를 결정하기 전까지, 이 유닛은 테이블에 배치되지 않습니다. |
| ▶ 테이블에 없을 때, 이 병사는 전술 페이즈 때 오더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플레이어의 선택에 의해 전장에 투입될 때 자신의 오더를 사용해 나올 수 있습니다. |
| ▶ 이 스킬을 사용했을 때, 배치된 모델은 엎드리거나, 적 또는 중립 모델/마커/토큰 및 어떠한 임무 목표에도 닿게 배치될 수 없습니다. |
| ▶ 플레이어는 유닛을 테이블의 수평 표면에 배치할 수 있으나, 배치되는 표면이 유닛의 베이스 크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
| ▶ 완전히 닫힌 지형 내부나 건물 안에 배치되는 건 불가능합니다. 열린 문이 있는 지형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미션 룸 같은 곳입니다. |
| ▶ 강하 지점에 모델을 배치한 다음, 설치되는 무기나 장비까지 모두 설치한 다음 플레이어는 PH 굴림을 합니다. 만약 성공했다면, 보유자는 성공적으로 강하했으며 플레이어가 배치한 곳에 도착합니다. 리액티브 플레이어는 이에 대해 ARO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
| ▶ 만약 굴림에 실패했다면, 보유자는 플레이어의 배치구역 내, 테이블 끝자락에 붙게 나와야 합니다. 또한 실패 시점에서 보유자는 마커 상태나 디코이 스킬 등이 해제되어 모델 상태로 나와야 합니다. 배치를 시도했을 때 깔렸던 모든 설치형 무기나 장비들은 사라집니다. 리액티브 플레이어는 이에 대해 ARO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
| ▶ 제한 사항: 이 스킬을 사용한 오더 동안, 보유자는 엄폐를 받을 수 없습니다. |
| ▶ 이 스킬을 사용했을 때, 배치된 모델은 엎드리거나, 적 또는 중립 모델/마커/토큰 및 어떠한 임무 목표에도 닿게 배치될 수 없습니다. |
| ▶ 플레이어가 스킬 보유자를 다른 그룹으로 옮길 때, 유닛이 테이블에 나와있지 않더라도 상대에게 이 사실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어떤 모델이 옮겨졌는지는 여전히 기밀이며, 배치될 때 공개됩니다. |
| ▶ 임페츄어스 페이즈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럴 경우 본인의 임페츄어스 오더와 레귤러/이레귤러 오더를 모두 사용하게 됩니다. |
| ▶ 테이블에 나와 있지 않았을 때도, 스킬 보유자는 코디네이트 오더로 강하가 가능합니다. 다만 이럴 경우 본인의 오더를 잃게 됩니다. |
| 컴뱃 점프(익스플로전) |
| ▶ 컴뱃 점프에 더해, 컴뱃 점프(익스플로전)은 다음과 같은 룰이 추가됩니다. |
| ▶ PH굴림을 거쳐 모델의 강하 여부를 결정한 다음, 스킬 보유자는 탬플릿 공격을 가합니다. 원형 폭발 탬플릿을 사용자 중심으로 배치합니다. |
| ▶ 이 공격은 PS 8의 일반탄이며, ARM 수치를 대상으로 합니다. |
| ▶ 사용자 본인은 이 공격에 피해를 받지 않습니다. |
| ▶ 이 스킬은 일회성이며, 사용자는 스킬을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디코이 상태 (Decoy State) |
| 발동 |
| ▶ 배치 시 자동으로 발동됩니다. |
| 효과 |
| ▶ 배치될 때, 이 상태 효과는 사용자가 최대 두 개의 디코이 마커를 사용자와 같이 배치할 수 있게 합니다. 사용자와 디코이 마커들은 모델과의 코히런시를 지켜야 하며, 기본적인 배치 룰을 따라야 합니다. |
| ▶ 배치 시 놓을 수 있는 디코이의 수는 스킬의 옆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디코이(1), 디코이(2) 이런 식입니다. |
| ▶ 스킬 사용자가 모델이 아닌 마커 상태로 놓일 경우, 예를 들어 카모플라주나 임퍼스네이션의 경우, 테이블 위에는 디코이 마커 대신 동일한 마커들을 놓을 수 있습니다. |
| ▶ 이 스킬을 보유한 병사는 최대 3개까지의 디코이 마커로 표현됩니다. 본체와 디코이 1, 디코이 2입니다. 플레이어는 반드시 본체가 누구인지(마커도 고를 수 있습니다)를 적어두어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본체 외에 다른 마커들은 그저 복사체일 뿐입니다. |
| ▶ 이 복사체들은 장비나 무장, 혹은 유닛을 숨길 수 없으며 테이블 위에 정적인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
| ▶ 테이블에 배치되는 디코이 마커들은 모델의 복제품으로 치며, 시야를 가릴 수 있고 사격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
| 해제 |
| ▶ 복사체 디코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즉시 테이블에서 사라집니다. |
| ▶ 발견(Discover)당했을 때. |
| ▶ 공격당했을 때. 세이브를 굴리지 않고 사라집니다. |
| ▶ 적 모델이 실루엣 컨택을 했을 때. |
| ▶ 스킬 보유자가 모습을 드러내거나 발견당했을 때. |
| ▶ 다음 상황에서 디코이 스킬 사용자가 드러나게 되며, 모든 복사체를 제거하고 본체가 드러납니다. |
| ▶ 사용자가 공격, 룩아웃 또는 주사위를 굴리는 어떠한 스킬이건 선언했을 경우. 단, 컴뱃 점프는 예외입니다. |
| ▶ 사용자가 커셔스 무브먼트, 파라츄이스트, 컴뱃 점프를 제외한 어떤 롱 스킬이건 사용했을 경우. |
| ▶ 사용자가 인필트레이션 굴림에 실패하거나, 컴뱃 점프 굴림에 실패했을 때. |
| ▶ 적 모델이 사용자에게 실루엣 컨택을 했거나, 혹은 사용자가 적에게 실루엣 컨택을 했을 때. |
| ▶ 사용자가 발견당했을 때. |
| ▶ 사용자가 세이브를 굴려야 할 때. |
| ▶ 사용자가 후퇴 등의 상황에 빠져, 임페츄어스 상태가 되거나 할 때. |
| ▶ 사용자가 마커 상태로 숨겨져 있었다면, 본체가 드러날 때 플레이어는 올바른 모델을 꺼내 희망하는 방향으로 시야를 돌릴 수 있습니다. |
| ▶ 모델이 공개되는 순간, 사용자는 상대에게 드러난 모델의 모든 무장 등에 대한 공개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
| 이 병사는 어떻게 하면 전투 불능에 빠진 아군을 안정화하고, 생명을 구한 뒤 다시 전투에 내보낼지에 대한 의학적 노하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
| 닥터(Doctor) |
| 숏 스킬(Short Skill) |
|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이 특수 스킬을 사용하려는 유닛은 대상과 실루엣 컨택이 된 상태여야 합니다. |
| ▶ 이 특수 스킬의 대상은 반드시 VITA 수치를 가진 모델로, 언컨셔스 상태여야만 합니다. |
| 효과 |
| ▶ 일반 WIP 굴림을 거쳐, 대상의 언컨셔스 상태를 해제시킵니다. 이는 곧 대상이 받은 W수치를 하나 제거함으로써 일어납니다. 만약 스킬들 중 더 많은 W수치를 제거할 수 있는 스킬 등이 없다는 전제 하에서입니다. 만약 WIP굴림에 실패한다면, 대상은 데드 상태에 빠져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 ▶ 유닛들이 언컨셔스 상태에서 회복할 수 있는 횟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WIP굴림을 성공한다는 전제 하에. |
| ▶ 이 스킬에는 다음과 같은 파생형들이 존재합니다. |
| ▶ Doctor(2W): 대상을 언컨셔스 상태에서 회복시킬 때, W수치를 두 개 제거합니다. |
| ▶ Doctor(Reroll -X): 이 스킬 보유자는 X값에 적힌 수치를 WIP수치에서 뺀 상태로 실패한 WIP굴림을 다시 굴릴 수 있지만, 한 번 다시 굴린 스킬을 또다시 굴릴 수는 없습니다. 이 리롤에 대해 새로운 ARO가 발생하진 않습니다. |
| 일부 병사들은 개인의 안위를 완전히 등한시해, 심각한 부상조차도 그들의 목표 달성을 막을 수 없습니다. |
| 도기드(Dogged)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액티브 턴, 혹은 리액티브 턴에 트루퍼가 언컨셔스 상태가 될 때, 해당 모델을 소유한 플레이어가 도기드 스킬 사용을 선언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효과 |
| ▶ 도기드 스킬을 사용 중인 트루퍼는 아래와 같은 특수 규칙을 가집니다: |
| ▪ 트루퍼에게 언컨셔스 토큰을 놓는 대신 도기드 토큰을 놓습니다. |
| ▪ 도기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트루퍼가 언컨셔스 상태에 진입할 때, 반드시 사용 선언을 해야합니다. |
| ▪ 해당 트루퍼는 언컨셔스 상태의 모든 효과와, 무력화(Null) 라벨을 무시하고, 해당 턴 동안만 정상 상태인 것으로 간주합니다. |
| ▪ 도기드를 사용한 트루퍼는, 해당 턴의 스테이트 페이즈에 자동으로 데드 상태가 되며,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 ▪ 도기드를 사용한 트루퍼가 또 다른 피해를 입게 된다면, 즉시 데드 상태가 되고,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 ▶ 도기드 활성화 이후에는 이 트루퍼는 회복될 수 없습니다. (닥터, 메디킷, 리제네레이션 등..) |
| ▶ 리모트 프레센스와 STR 능력치를 가진 트루퍼는, 언컨셔스의 몇 단계로 진입하건 상관없이 도기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이미 언컨셔스였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 이 스킬은 어떤 자동 적용 스킬이나 자동 적용 장비에도 간섭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관련 룰들이 정상적용 됩니다. |
| 엔지니어는 현장에서 손상된 장비를 수리할 수 있는 수단과 기술을 갖추고 있습니다. |
| 엔지니어(Engineer) |
| 숏 스킬(Short Skill) |
|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이 특수 스킬을 사용하려는 유닛은 대상과 실루엣 컨택이 된 상태여야 합니다. |
| 효과 |
| ▶ 노멀 WIP 굴림을 거쳐, STR 능력치를 가진 대상의 운드를 하나 회복합니다. 만약 언컨셔스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면, 언컨셔스 상태를 해제시킵니다. |
| ▶ 이 스킬은 대상의 운드가 모두 회복될 때 까지 계속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
| ▶ 노멀 WIP 굴림이 실패한다면, 대상은 운드를 하나 회복하는 대신 하나 잃습니다. 이로 인해 언컨셔스 혹은 데드 상태가 되어야 한다면, 적용합니다. |
| ▶ 또는, 노멀 WIP 굴림을 성공하는 것으로 엔지니어 스킬을 보유한 트루퍼가 대상의 언컨셔스를 제외한 모든 상태(IMM-A, B, 타게티드 등)를 해제하고 해당 상태 토큰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 ▶ 다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노멀 WIP 굴림은 실패해도 아무 부정적인 효과가 없습니다. 계속해서 오더를 지불해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 엔지니어(리롤 -X): 이 스킬 보유자는 X값에 적힌 수치를 WIP수치에서 뺀 상태로 실패한 WIP굴림을 다시 굴릴 수 있지만, 한 번 다시 굴린 스킬을 또다시 굴릴 수는 없습니다. 이 리롤에 대해 새로운 ARO가 발생하진 않습니다. |
▶ 엔지니어 스킬과 리모트 프레젠스: 대상이 어떤 단계의 언컨셔스 상태이건간에, 노멀 WIP 굴림을 성공하면 대상의 언컨셔스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만큼의 운드를 회복합니다. |
| 이 스킬은 해당 병사가 폭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 익스플로드(Explode)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공격(Attack), 필수 적용(Obligatory) |
| 요구 사항 |
| ▶ 이 스킬을 발동하기 위해서는 보유자가 언컨셔스 상태여야 합니다. |
| 효과 |
| ▶ 이 스킬은 보유자가 언컨셔스 상태로 진입할 때, 강제로 폭발하게 합니다. |
| ▶ 보유자가 언컨셔스 상태로 진입한 오더의 끝에, 해당 트루퍼는 자신의 베이스 중앙을 중심으로하는 다이렉트 템플릿(원형 템플릿) 공격을 합니다. |
| ▶ 이 폭발은 쇼크 탄종을 적용하고, ARM을 대상으로 PS 7로 세이브를 하게 합니다. |
| ▶ 이 공격에 영향을 받았지만, 닷지 굴림을 성공한 적 트루퍼는 이 공격을 피할 수 있습니다. |
| ▶ 모든 굴림이 끝나면, 보유자는 데드 상태가 되고,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 이 병사는 살육 욕구를 간신히 억누르고 있습니다. 한번 피맛을 보면, 죽음의 소용돌이가 됩니다. |
| 프렌지(Frenzy)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필수 적용(Obligatory), 상태 페이즈(States Phase) |
| 발동 |
| ▶ 이 스킬 보유자가 적에게 1운드 이상 피해를 입히거나, 데드 상태로 만들었을 경우, 상태 페이즈에 자동으로 발동됩니다. |
| 효과 |
| ▶ 이 스킬 보유자가 적에게 1운드 이상 피해를 입히거나, 데드 상태로 만들었을 경우, 상태 페이즈 이후, 남은 게임 동안, 아래 스킬을 얻게 됩니다. |
| ▪ 임페추어스 |
| ▪ 리미티드 커버 |
| ▶ 프렌지 트루퍼가 임페추어스 스킬을 얻은 경우, 현재 마커 상태(카모플라주, 임퍼스네이션 등..)를 모두 해제하고, 다른 모든 해제되어야 하는 상태를 해제합니다. 이 트루퍼는 이렇게 해제된 상태들에 재진입 할 수 없습니다. |
| 파이어팀 마스터는 규율이 제대로 잡히지 않은 병사들을 잘 기름칠된 전쟁병기로 만들 수 있습니다. |
| FT 마스터(FT Master)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필수 적용(Obligatory) |
| 요구 사항 |
| ▶ 이 스킬을 보유한 트루퍼가 파이어팀의 구성원이어야 합니다. |
| 효과 |
| ▶ 택티컬 페이즈에서 오더를 셀 때, 이 트루퍼가 파이어팀의 구성원이라면 해당 파이어팀의 모든 구성원은 레귤러가 됩니다. |
| ▶ 만약, 파이어팀의 모든 구성원이 이미 레귤러였다면, 파이어팀 코헤런시 체크 시, 파이어팀 리더의 ZoC에 +2인치 보너스를 적용합니다. |
| ▶ 만약, 이 스킬의 괄호 안에 특정 병종의 이름이 적혀있다면, 해당 병종이 파이어팀에 속해있어도 FT 마스터를 보유한 트루퍼가 파이어팀에 속해있지 않다면, 해당 파이어팀은 자동으로 해체됩니다. |
| 이 스킬을 가진 병사는 테이블 위에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육체를 넘나들며 항상 전투 속에 있을 수 있습니다. |
| G: 점퍼(G: Jumper)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필수 적용(Obligatory) |
| 요구 사항 |
| ▶ 플레이어는, 2개 혹은 3개의 프록시가 아미 리스트에 있어야 합니다. |
| ▶ G: 점퍼를 보유한 트루퍼의 모든 프록시는 한 컴뱃 그룹에 속해 있어야 합니다. 이들은 하나의 트루퍼로 간주합니다. |
| 효과 |
| ▶ 이 스킬은 보유자가 프록시라고 부르는 여러 모델을 가질 수 있게 합니다. |
| ▶ G: 점퍼 트루퍼는 몇개의 프록시가 있더라도 하나의 오더만 제공합니다. |
| ▶ 이 스킬은 G: 점퍼 트루퍼가 2개 혹은 3개의 프록시를 각자 가질 수 있는 배치 스킬(인필트레이션 등..)에 맞게 배치할 수 있게 합니다. |
| ▶ 배치 페이즈 동안에는 액티브 프록시 토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 ▶ 액티브 턴에 오더를 사용할 때, G: 점퍼 트루퍼는 자신의 프록시 중 하나에 액티브 프록시 토큰을 놓고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 ▶ 액티브 프록시 토큰이 있는 프록시만 오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리액티브 턴에 만약 상대가 같은 G: 점퍼 트루퍼에 속한 여러 프록시에게 ARO를 발생시킬 경우, 플레이어는 그 중 하나를 액티브 프록시로 정해 토큰을 놓습니다. |
| ▶ 액티브 프록시는 ARO를 정상적으로 수행 가능합니다. |
| ▶ 액티브 프록시가 아닌 프록시는 ARO로 닷지 혹은 리셋만 가능합니다. |
| ▶ 프록시가 고립(Isolated) 또는 어떠한 종류의 무력화(Null)상태로 진입하게 되면, 그 오더의 끝에 플레이어는 남아있는 고립(Isolated) 또는 무력화(Null)상태가 아닌 프록시에 액티브 프록시 토큰을 놓습니다. |
| ▶ G: 점퍼 트루퍼는 고립(Isolated) 또는 무력화(Null) 상태인 프록시를 그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한, 활성화 할 수 없습니다. |
| ▶ G: 점퍼 트루퍼가 보유한 모든 프록시가 고립(Isolated) 또는 무력화(Null)상태라면, 최소 하나의 프록시가 해당 상태에서 회복하기 전까지, 해당 트루퍼는 전투 손실로 간주합니다. |
| G: 점퍼와 승점(Victory Points) |
| ▪ 플레이어는 프록시 각각의 코스트를 셉니다. |
| G: 점퍼와 장교 |
| ▪ 만약 G: 점퍼 트루퍼가 장교라면, 보유한 모든 프록시가 고립(Isolated) 또는 무력화(Null)상태라면, 장교 상실이 됩니다. 이 장교 상실 상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해제할 수 있습니다. |
| G: 점퍼와 히든 디플로이먼트, 마커 상태 |
| ▪ 액티브 프록시 토큰을 마커 상태인 프록시 옆에 놓는 것만으로는 아직 스킬을 선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프록시의 마커 상태를 해제하지 않습니다. |
| ▪ 이는,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가 게임 테이블에 등장해 오더나 ARO를 선언하기 전까지는 액티브 프록시 토큰을 놓을 필요가 없습니다. |
| G: 점퍼와 컴뱃 그룹 |
| ▪ 플레이어가 G: 점퍼 트루퍼를 다른 컴뱃 그룹으로 옮길 때, 하나의 트루퍼처럼 간주하고, 모든 프록시를 다른 컴뱃 그룹으로 옮깁니다. |
| G: 점퍼와 제압 사격 |
| ▪ G: 점퍼 트루퍼가 제압사격 상태인 프록시를 가지고 있다면, 해당 프록시는 다른 프록시가 활성화 되더라도 제압사격 상태를 유지합니다. |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Hidden Deployment) |
| 발동 |
| ▶ 배치 단계에서 자동 사용 |
| 효과 |
|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는 배치 페이즈에 모델이나 마커를 놓지 않고도 배치할 수 있게 해주는 특수한 배치입니다. |
| ▶ 당신의 배치 페이즈에,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의 위치를 할 수 있는 한 상세하게 기록합니다.(커버를 받고 있는지, 엎드려 있는지 등) 해당 트루퍼의 위치가 드러날때 상대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작성합니다. |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가 해제될 때 까지는 해당 트루퍼는 게임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따라서 해당 트루퍼는 LoF에 영향을 주지도, 템플릿 무장에 영향을 받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플레이어는 ARO 선언 여부를 정할 때, 적어놓은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의 위치를 사용합니다. |
|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인 트루퍼는 택티컬 페이즈에 자신의 오더를 오더 풀에 더하지 않습니다.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는 액티브턴에 해당 트루퍼를 테이블에 놓을 때, 자신의 오더를 자기 자신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가 테이블 위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지는 않지만, 인필트레이션을 가진 트루퍼가 인필트레이션 굴림을 할 경우, 위치를 기록한 이후에 굴림을 수행합니다. |
| ▪ 굴림이 성공한다면, 인필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적용되고,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를 잃지 않습니다. |
| ▪ 굴림이 실패한다면, 해당 트루퍼의 모델을 자신의 배치구역의 테이블 엣지에 붙인 채로 놓아야 합니다. |
|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와 동시에 홀로에코 상태로 배치된다면, 플레이어는 3개의 홀로에코 위치와 어떤 홀로에코가 진짜인지 기록해야 합니다.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가 해제될 때, 반드시 코헤런시 체크를 해야합니다. 코헤런시를 벗어난 홀로에코는 홀로에코 상태가 해제됩니다. |
| ▶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를 다른 컴뱃 그룹으로 옮길 때, 해당 트루퍼의 존재를 상대에게 알려야 합니다. 하지만, 해당 트루퍼가 드러나기 전까지는 트루퍼에 대한 정보는 기밀로 유지합니다. |
|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의 트루퍼는 합동 오더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가지고 있던 자기 자신의 오더를 잃습니다. |
|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가 해제되면, 다시 이 상태로 진입할 수 없습니다. |
| 해제 |
|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는 보유자가 이를 가능하게 하는 특수 스킬에 의해 발견될 경우 해제됩니다. (예시 : 센서) |
|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는 보유자가 오더나 ARO를 선언하면 해제됩니다. |
| ▶ 보유자의 모델 혹은 마커를 기록해놓았던 위치에 놓습니다. 시선 방향은 이때 정합니다. |
| ▶ 만약 트루퍼가 마커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스킬이 있다면(예시 : 카모플라주),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한, 해당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 ▪ 커셔스 무브먼트 혹은 굴림이 필요없는 베이직 숏 스킬을 사용했을 때. (룩 아웃! 제외) |
| ▪ 마커 상대로 ARO 선언을 지연했을 때. |
| ▪ 상대 트루퍼가 마커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막았을 때. |
| ▶ 만약 마커 상태의 트루퍼가 위에 명시된 것이 아닌 숏 스킬, 롱 스킬, ARO를 사용했을 경우, 마커 상태가 해제됩니다. 이 경우, 트루퍼의 모델을 기록해놓았던 위치에 놓습니다. 시선 방향은 이때 정합니다. |
| ▶ 만약 아군 혹은 적군의 모델이나 마커가 히든 디플로이먼트 스킬을 가진 트루퍼와 같은 공간을 점유한 상태에서,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가 오더나 ARO 선언을 하면, 모델이나 마커를 기록한 위치에서 최대한 가까운 곳에 놓습니다. 다른 모델이나 마커와 실루엣 컨택으로 놓을 수 없습니다. |
|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는 해당 트루퍼가 임페추어스나 리트릿! 상태가 되면 해제됩니다. |
| ▶ 모델이 전장에 놓일 때, 해당 플레이어는 상대에게 드러난 모델의 모든 무장 등에 대한 공개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
| 이 스킬을 가진 병사는 특정 유형의 피해에 대한 자체적 혹은 기술적인 저항력을 지닙니다. 이뮤니티 스킬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 이뮤니티(Immunity)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필수 적용(Obligatory) |
| 요구 사항 |
| 이 스킬은 아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할 때 발동합니다: |
| ▶ 트루퍼가 세이브 굴림을 할 때. |
| ▶ 트루퍼가 이뮤니티 스킬에 명시된 상태에 영향 받을 때. |
| 효과 |
| 이 스킬은 괄호 안에 명시된 탄종이나 효과에 따라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 ▶ 이뮤니티 (트레잇): 보유자는 해당 트레잇의 효과를 무시합니다. |
| ▶ 이뮤니티 (탄종)): 보유자는 해당 탄종을 N탄으로 간주합니다. 해당 탄종의 특수 효과, 능력치에 대한 보정치, 세이브 굴림 갯수를 무시합니다. |
▶ 이뮤니티 (ARM): ARM을 사용해 세이브 굴림을 하는 모든 탄종을 N탄으로 간주합니다. 해당 탄종의 특수 효과, 능력치에 대한 보정치, 세이브 굴림 갯수를 무시합니다. 만약, 무기, 스킬, 장비가 트레잇을 가지고 있을 경우, 보유자는 해당 트레잇이 유발하는 상태, 운드를 입히는 능력, 능력치에 대한 보정치에 대해 완전히 면역입니다. 예시 : 스테이트: 데드, ARM=0, 컨티뉴어스 데미지. |
▶ 이뮤니티 (BTS): BTS를 사용해 세이브 굴림을 하는 모든 탄종을 N탄으로 간주합니다. 해당 탄종의 특수 효과, 능력치에 대한 보정치, 세이브 굴림 갯수를 무시합니다. 만약, 무기, 스킬, 장비가 트레잇을 가지고 있을 경우, 보유자는 해당 트레잇이 유발하는 상태, 운드를 입히는 능력, 능력치에 대한 보정치에 대해 완전히 면역입니다. 예시 : 스테이트: 데드, BTS=0, 컨티뉴어스 데미지. |
| ▶ 이뮤니티 (인핸스드): 보유자는 이뮤니티(ARM)과 이뮤니티(BTS)를 가집니다. |
| ▶ 이뮤니티 (상태): 보유자는 통신 공격(Comms Attack)이나 다른 규칙으로 유발되는 해당 상태에 대해 면역입니다. 예를 들어, 이뮤니티(POS)의 경우, 해당 트루퍼는 포제스드 상태가 될 수 없습니다. |
| ▶ 이뮤니티 (크리티컬): 보유자는 크리티컬이 유발하는 추가 세이브 굴림을 굴리지 않습니다. |
| 이 스킬은 적으로 위장해 본대와 아주 멀리 떨어져 배치할 수 있게합니다. 변장 상태는 사용자가 적으로 식별되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상태가 있습니다. |
| 임퍼스네이션(Impersonation) |
|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
| 선택 적용(Optional), 부정적 피드백(NFB, Negative Feedback), 상급 배치(Superior Deployment) |
| 효과 |
| ▶ 배치 페이즈 동안, 보유자는 상대 배치구역이 아닌 한, 어디에나 배치될 수 있습니다. |
| ▶ 보유자는 임퍼스네이션-1(IMP-1) 상태로 배치될 수 있습니다. |
| ▶ 제한: 임퍼스네이션(IMP-2) 스킬을 가진 트루퍼는 임퍼스네이션-1(IMP-2) 상태로만 배치될 수 있습니다. |
| ▶ WIP 굴림을 하는 것으로 상대 배치 구역 내부에 배치될 수 있습니다. |
| ▶ 보유자와 설치 무기, 장비를 모두 테이블에 놓은 이후, WIP 굴림을 수행합니다. |
| ▶ 굴림이 실패한다면, 해당 트루퍼의 모델을 자신의 배치구역의 테이블 엣지에 붙인 채로 놓아야 합니다. 추가로, 굴림이 실패하고 나서는 마커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선택지를 사용할 수 없으며, 모델로 배치되어야만 합니다. 같이 놓았던 설치 무기, 장비는 모두 테이블에서 제거합니다. |
| ▶ 보유자는 적과 중립적인 모델, 마커, 토큰, 미션 목표에 실루엣 컨택을 한 채로 배치될 수 없습니다. |
| 성급한 병사는 항상 전투 속으로 뛰어들기를 갈망합니다: 더 가깝게 다가가, 더 심하게 상처를 입힐수록 좋습니다. |
| 임페추어스(Impetuous)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임페추어스 페이즈(Impetuous Phase), 필수 적용(Obligatory) |
| 효과 |
| ▶ 택티컬 페이즈에, 이 스킬을 가진 모든 트루퍼에 임페추어스 토큰을 놓습니다. 해당 트루퍼가 활성화될 때, 토큰을 제거합니다. 임페추어스 페이즈가 끝날 때, 활성화하지 않고 남아있는 모든 임페추어스 토큰을 제거합니다. |
| ▶ 임페추어스 페이즈에, 플레이어는 오더를 사용할 필요 없이, 각 임페추어스 트루퍼를 한번씩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트루퍼 옆에 놓인 임페추어스 토큰을 제거하는 것을 오더를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해, 일반적인 오더 사용 순서를 따라 진행합니다. |
| ▶제한: 임페추어스로는 고정된 스킬 조합만 사용 가능합니다. |
| ▪ 무브 + 근접공격 |
| ▪ 무브 + 사격 |
| ▪ 무브 + 닷지 |
| ▪ 무브 + 아이들 |
| ▪ 무브 + 무브 |
| ▪ 점프 |
| ▪ 클라임 |
| ▪ 버서크 |
| ▪ 공수 배치(Airborne Deployment) 라벨의 스킬 |
| ▪ 임페추어스로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된 스킬 |
| ▶제한: 임페추어스 페이즈에, 이동기(Movement) 라벨이 붙은 스킬을 사용할때는 반드시 MOV 값의 전부를 사용해서, 아래 목록 중 먼저 만족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움직여야 합니다. |
| ▪ 무브로 적에게 실루엣 컨택. |
| ▪ 무브 시작 지점에서 되돌아가는 움직임 없이 적의 배치 구역까지 이동. 아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 → 1. MOV 전부를 사용해야 합니다. |
| → 2. 적 배치구역과 최대한 가까운 지점에서 무브를 마쳐야 합니다. |
| → 3. 적 배치구역으로 더 가까이 갈 수 없다면, 아이들을 사용해야만 합니다. |
| ▪ 적 배치구역 내부에 있는 한 평소대로 이동을 진행합니다. |
| ▶ 트루퍼는 적과 실루엣 컨택을 하거나, 지형 효과의 부정적 영향을 받거나, 점프, 클라임을 선언해야할 때만 MOV 수치보다 짧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
| ▶ 임페추어스 페이즈에는 무브, 점프, 클라임을 선언할 때, 트루퍼는 프론 상태를 해제하고 MOV값의 전부를 사용해 이동해야 합니다. 이동의 끝에 프론상태가 될 수 없습니다. |
| ▶제한: 트루퍼는 마커 상태(카모플라주, 임퍼스네이션 등..)에 진입할 수 없고, 임페추어스는 진입할 수 없다고 명시된 모든 상태에 진입할 수 없습니다. |
| ▶ 리트릿! 상황인 플레이어는 자신의 턴에 임페추어스 페이즈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
| 이 스킬 보유자는 침투 기술 훈련 덕분에 배치 구역의 한계를 넘어 배치될 수 있습니다. |
| 인필트레이션(Infiltration) |
|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
| 상급 배치(Superior Deployment), 선택 적용(Optional) |
| 효과 |
| ▶ 배치 페이즈 동안, 보유자는 플레이어의 테이블의 자기 진영쪽 절반 구역 내 어디에나 배치될 수 있습니다. |
| ▶ 인필트레이션 굴림에 성공하는 것으로 상대방 테이블 구역에 배치될 수도 있습니다. |
| ▶ 인필트레이션 스킬로 상대방 배치 구역 안에 배치될 수 없습니다. |
| 인필트레이션 굴림(Infiltration Roll) |
| ▶ 인필트레이션 굴림은 상대방 테이블 구역으로 침투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이 굴림은 PH-3에 대한 노멀 굴림입니다. 만약 유닛 프로필에 인필트레이션(PH=X)과 같이 괄호 안에 PH 값이 명시되어 있다면, 해당 PH 값을 사용하여 인필트레이션 굴림을 수행합니다. |
| ▶ 보유자와 배치 가능한 무기/장비를 테이블에 놓은 후, 인필트레이션 굴림을 수행해야 합니다. |
| ▶ 인필트레이션 굴림 실패: 굴림에 실패하면, 보유자는 자신의 배치 구역 내, 테이블 엣지에 붙여서 배치되어야 합니다. 추가로, 굴림 실패 후, 보유자는 마커 상태 또는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선택지를 잃고 항상 모델 상태로 배치됩니다. 함께 배치했던 배치 가능한 무기/장비는 게임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 예시 |
| 인필트레이션, 카모플라주, 마인레이어 스킬과 쇼크 지뢰를 가진 트루퍼가 상대방 테이블 구역에 배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진행합니다. |
| ▶ 마인레이어 규칙에 따라 상대방 테이블 구역에 카모플라주(-3) 마커를 2개 놓습니다. |
| ▶ 마커들이 서로의 ZoC 안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
| ▶ 이 경우 PH 속성 -3과 동일한 성공값으로 인필트레이션 굴림을 합니다. |
| 인필트레이션 굴림에 실패하면, 트루퍼는 플레이어의 배치 구역 내, 테이블 가장자리에 닿도록 모델 상태로 배치되며, 배치하려던 쇼크 지뢰는 게임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 만약 트루퍼가 인필트레이션(PH=18) 특수 스킬을 가지고 있다면, 인필트레이션 굴림(PH-3)의 성공값은 15 (18-3=15)입니다. |
| 이 특수 스킬은 부대 전체의 행동을 사용자의 규율과 정신 상태에 연결시킵니다. |
| 인스파이어링 리더십(Inspiring Leadership)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필수 적용(Obligatory) |
| 요구 사항 |
| ▶ 인스파이어링 리더십의 효과를 적용하려면, 사용자는 아미의 장교여야 하고, 게임 테이블에 배치되어 있어야 하며, 무력화(Null) 상태(언컨셔스, 데드, 셉시터라이즈드 등)가 아니어야 합니다. |
| 효과 |
| ▶ 오더를 제공하는 아미 리스트의 모든 트루퍼는 레귤러 훈련 특성을 가집니다. |
| ▶ 커리지 특수 스킬을 가집니다. (릴리저스 트룹은 이 효과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
| ▶ 사용자를 포함하는 합동 오더를 선언할 때, 특수 장교 오더만 사용하고, 지휘 토큰이나 추가 오더 소모 없이 가능합니다. |
| ▶ 사용자가 모든 구성원이 이미 유닛 프로필에 레귤러 훈련 특성을 가진 파이어팀에 속해 있다면, 코헤런시 체크 시 팀 리더의 구역에 +2인치 보너스를 적용합니다. |
| ▶ 부대는 후퇴! 규칙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후퇴! 상황에 절대 빠지지 않습니다. |
| 이 스킬의 보유자는 플레이어가 배치한 전투 병력의 지휘관입니다. |
| 레프티넌트(Lieutenant)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기밀 정보(Private Information), 필수 적용(Obligatory) |
| 효과 |
| ▶ 이 스킬의 보유자는 장교 오더를 가집니다. |
| ▶ 만약 턴의 택티컬 페이즈 동안, 장교가 고립 상태이거나 어떠한 무력화(Null) 상태(언컨셔스, 데드 등)이거나 테이블에 배치되지 않았다면, 장교 상실 규칙이 적용됩니다. |
| ▶ 이 스킬은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가 되더라도 새로운 장교가 임명될 때까지 활성 상태를 유지합니다. 새로운 장교가 임명되면 이 스킬의 보유자는 스킬을 잃습니다. |
| ▶ 새로운 장교가 임명될 때(장교 상실, 체인 오브 커맨드 등), 이들은 추가 능력이 없는 장교 특별 스킬을 얻습니다. |
| ▶ 유닛 프로필에 이 스킬에 추가 능력들이 명시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 ▪+1 커맨드 토큰: 이 트루퍼를 장교로 선택한 플레이어는 게임 동안 커맨드 토큰을 하나 더 가집니다. |
| ▪+1 오더: 이 장교는 매 턴 장교 오더를 하나 더 가집니다. |
| 이 특수 기술의 보유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뢰나 다른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를 근처에 배치하여 배치 지점을 확보함으로써 적 트루퍼의 접근을 막을 수 있습니다. |
| 마인레이어(Minelayer) |
|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
|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가 배치될 때 적 트루퍼나 카모플라주 마커가 해당 무기 또는 장비의 격발 구역(trigger Area) 안에 없어야 합니다. 패리미터 무기인 경우, ZoC 안에 없어야 합니다. |
| ▶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의 배치는 일반적인 배치 규칙을 따라야 하며, 항상 마인레이어 트루퍼가 배치될 수 있는 구역 내에 있어야 합니다. |
| 효과 |
| ▶ 이 스킬의 보유자가 배치될 때, 해당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를 자신의 ZoC 안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
| ▶ 해당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가 소모성(Disposable) 트레잇을 가지고 있다면, 사용 가능한 총 횟수에서 차감됩니다. |
| ▶ 사용자가 상급 배치(Superior Deployment) 라벨이 있는 특수 기술을 사용하여 배치하고, 배치 굴림에 실패하면, 해당 특수 기술에 표시된 효과 외에, 마인레이어는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를 잃게 되며, 소모성(Disposable) 트레잇이 있는 경우 사용 가능한 총 횟수에서 차감됩니다. |
| ▶ 이 특수 기술 이름 뒤 괄호 안에 1보다 큰 값이 나열되어 있으면, 이 값은 사용자가 배치될 때 ZoC 안에 배치할 수 있는 무기 또는 장비의 수입니다. |
| 네모니카는 EI 위상들만이 보여주는 능력으로, 부두테크의 끔찍한 정교함을 더욱 증명합니다. 이는 위상의 물리적 형태 파괴 시 아군 함선의 큐브로 점프할 수 있게 합니다. |
| 네모니카(Mnemonica)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이 스킬을 사용하려면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여야 합니다. |
| 효과 |
| ▶ 보유자는 자신의 WIP 능력치와, 네모니카 스킬을 자신의 아미의 다른 트루퍼에게 전이시킬 수 있습니다. 대상은 전장에 마커 혹은 모델로 배치되어 있어야 하고, 큐브를 보유하거나 REM 타입이어야 합니다. 만약 보유자가 장교 스킬을 보유하고 있었을 경우, 장교 스킬과 장교 부가효과(+1 장교오더) 등도 전이됩니다. |
| ▶ 숙주의 WIP 값은 보유자의 WIP값으로 대체됩니다. |
| ▶ 네모니카 트루퍼가 장교였다면, 숙주가 새로운 장교가 됩니다. |
| ▶ 전이는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에 들어간 오더의 끝에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
| ▶ 플레이어는 어떤 모델이나 마커가 새로운 숙주인지 알려야 합니다. 하지만, 장교 스킬의 전이 여부는 기밀 정보이기 때문에 알리지 않습니다. |
| ▶ 전이가 완료되면, 기존 보유자는 데드 상태가 되어 게임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 ▶ 새로운 숙주가 무력화(Null) 상태가 되면, 원래 사용자의 WIP 값, 므네모니카 특수 기술, 장교 특수 기술을 동일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다른 아군에게 다시 전송할 수 있습니다. |
| ▶ 또한, 네모니카를 가진 트루퍼는 큐브를 가진 것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 모르포-스캔은 ZoC 안에 있는 적 모델의 능력치 값을 복제할 수 있게 합니다. |
| 모르포-스캔(Morpho-Scan) |
| 숏 스킬(Short Skill) |
| 통신 공격(Comms Attack), 굴림 없음(No Roll), 선택 적용(Optional), ZoC (Zone of Control) |
| 요구 사항 |
| ▶ 대상은 VITA 능력치를 가진 적 모델이어야 하며, 사용자의 ZoC 안에 있어야 합니다. |
| ▶ 모르포-스캔은 적 마커나 STR 능력치를 가진 적 트루퍼에게는 효과가 없습니다. |
| 효과 |
| ▶ 이 스킬은 굴림이 필요 없습니다. |
| ▶ 모르포-스캔은 보유자의 MOV, CC, BS, PH 능력치 값을 대상의 능력치 값으로 대체합니다. |
| ▶ 모르포-스캔을 막기 위해서 상대는 -9 보정치를 받고 리셋 ARO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대상의 종류(LI, MI, HI 등)나 모르포-스캔이 대상의 LoF 밖에 선언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적용됩니다. |
| ▶ 이 특수 기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해 보유자의 능력치 값이 대상의 능력치 값으로 대체된 후, 게임 도중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이 CC 스킬을 가진 병사들은 훌륭한 전사로, 근접전 시 적들이 자기에게 먹이는 마이너스 보정치를 무효화할 수 있습니다. |
| 내추럴 본 워리어(Natural Born Warrior)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CC 특수 스킬(CC Special Skill) |
| 요구 사항 |
| 이 스킬은 아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할 때 발동합니다: |
| ▶ 보유자가 CC 어택의 대상자가 되었을 때, CC 어택을 선언해야 합니다. |
| 효과 |
| ▶ CC 대면 굴림 도중, 보유자는 상대가 부여하는 모든 마이너스 보정치를 무시합니다. |
| 시빌라의 조언 |
| ▪ 내추럴 본 워리어가 만약 서프라이즈 어택, 무술 3레벨, CC 어택 -3, PARA CCW(-3)을 모두 동시에 보유한 트루퍼에게 CC 공격을 당한다고 하더라도, 어떤 마이너스 보정치도 받지 않습니다. |
| 이 특수 기술을 가진 트루퍼는 부상이나 전투 피해에 대한 내성이 높습니다. |
| 노 운드 인캐퍼시테이션(No Wound Incapacitation)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액티브 턴, 혹은 리액티브 턴에 트루퍼가 언컨셔스 상태가 될 때, 해당 모델을 소유한 플레이어가 NWI 스킬 사용을 선언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효과 |
| ▶ NWI 스킬을 사용 중인 트루퍼는 아래와 같은 특수 규칙을 가집니다: |
| ▪ 트루퍼에게 언컨셔스 토큰을 놓는 대신 NWI 토큰을 놓습니다. |
| ▪ NW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트루퍼가 언컨셔스 상태에 진입할 때, 반드시 사용 선언을 해야합니다. |
| ▪ 해당 트루퍼는 언컨셔스 상태의 모든 효과와, 무력화(Null) 라벨을 무시하고, 정상 상태인 것으로 간주합니다. |
| ▪ 트루퍼가 또 다른 피해를 입게 된다면, 즉시 데드 상태가 되고,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 ▪ 이 스킬은 어떤 자동 적용 스킬이나 자동 적용 장비에도 간섭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관련 룰들이 정상적용 됩니다. |
| ▶ NWI 적용 중인 트루퍼는 회복될 수 있습니다. (닥터, 메디킷, 리제네레이션 등..) 회복 이후, 정상상태가 되면 NWI 토큰을 제거합니다. |
| ▶ 만약, NWI 적용 중인 트루퍼를 회복하기 위한 굴림이 실패한다면, 트루퍼는 즉시 데드 상태가 되고 게임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 ▶ 리모트 프레센스와 STR 능력치를 가진 트루퍼는, 언컨셔스의 몇 단계로 진입하건 상관없이 NW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이미 언컨셔스였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이 스킬을 가진 병사들은 강하 장비를 장착하고, 전장으로 직접 강하하는 투하 전술을 훈련받았습니다. 강하 지점에서 적을 기습합니다. |
| 파라슈티스트(Parachutist) |
| 롱 스킬(Long Skill) |
| 공수 배치(Airborne Deployment), 기밀 정보(Private Information), 선택 적용(Optional) |
| 효과 |
| ▶ 이 트루퍼는 배치 페이즈에 배치될 필요가 없습니다. 플레이어가 본인 액티브 턴에 배치를 결정하기 전까지, 이 유닛은 테이블에 배치되지 않습니다. |
| ▶ 테이블에 없을 때, 이 병사는 택티컬 페이즈 때 오더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플레이어의 선택에 의해 전장에 투입될 때 자신의 오더를 사용해 나올 수 있습니다. |
| ▶ 이 스킬을 사용했을 때, 배치된 모델은 엎드리거나, 적 또는 중립 모델/마커/토큰 및 어떠한 임무 목표에도 닿게 배치될 수 없습니다. |
| ▶ 플레이어는 유닛을 테이블의 수평 표면에 배치할 수 있으나, 배치되는 표면이 유닛의 베이스 크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고, 베이스를 테이블 외곽과 붙여서 배치해야합니다. |
| ▶ 적 배치구역 내에는 배치될 수 없습니다. |
| ▶ 배치된 이후, 리액티브 플레이어는 이에 대해 ARO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
| ▶ 제한: 이 스킬을 사용한 오더 동안, 보유자는 커버를 받을 수 없습니다. |
| ▶ 임페추어스 페이즈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럴 경우 본인의 임페추어스 오더와 레귤러/이레귤러 오더를 모두 사용하게 됩니다. |
| ▶ 테이블에 나와 있지 않았을 때도, 스킬 보유자는 코디네이트 오더로 강하가 가능합니다. 다만 이럴 경우 본인의 오더를 잃게 됩니다. |
| ▶ 파라슈티스트 (배치 구역): 보유자는 적 배치 구역 내부에 배치될 수 있습니다. |
| 퍼리페럴은 자체적으로 오더를 기여하거나 소모할 수 없으므로 아미 리스트에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특수 범주의 트루퍼입니다. 퍼리페럴은 의존하는 트루퍼인 컨트롤러가 오더를 소모할 때 활성화되어 컨트롤러의 행동을 복제합니다. |
| 퍼리페럴(Peripheral)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필수 적용(Obligatory) |
| 효과 |
| ▶ 아미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각 전투 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트루퍼 수를 결정할 때, 컨트롤러와 모든 퍼리페럴은 하나의 트루퍼로 계산됩니다. |
| ▶ 퍼리페럴은 해당 퍼리페럴 유형에 대한 규칙이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컨트롤러와 동시에 게임 테이블에 배치됩니다. |
| ▶ 컨트롤러가 배치 페이즈 이후에 배치할 수 있는 배치 스킬을 가지고 있지만, 퍼리페럴이 해당 스킬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이 퍼리페럴은 배치 페이즈 동안 배치되며 컨트롤러가 게임 테이블에 배치되어 해당 퍼리페럴 유형의 작동 거리 내로 이동할 때까지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
| ▶ 퍼리페럴은 컨트롤러와 동일한 오더로 항상 활성화되며, 컨트롤러와 동일한 숏 스킬이나 롱 스킬을 실행하지만, 동일한 대상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
| ▶ 게임 요소(컨트롤러 또는 퍼리페럴) 중 하나가 컨트롤러가 선언한 오더의 스킬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한 게임 요소는 대신 아이들(Idle)을 수행합니다. |
| ▶ ARO를 선언하는 트루퍼는 컨트롤러 혹은 퍼리페럴 중 하나의 대상만을 상대로 ARO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여러 ARO가 같은 대상을 선택할 필요는 없습니다. |
| ▶ 리액티브 턴에는 컨트롤러와 퍼리페럴이 각자 ARO를 합니다. 하지만, 다른 규칙에서 명시하지 않은 이상, ARO로 동일한 스킬을 선언해야 합니다. |
| ▶ 근접전에서는 다수 트루퍼와의 근접전에 설명된 규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
| ▶ 컨트롤러가 무력화(Null) 상태 또는 고립(Isolated) 상태에 진입하면, 퍼리페럴은 해당 오더의 끝에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에 진입합니다. |
| ▶ 퍼리페럴이 고립(Isolated) 상태에 진입하면, 해당 오더의 끝에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에도 진입합니다. |
| ▶ 프로필에 포인트 비용이 있는 퍼리페럴은 승점, 작전 구역 통제 등에 포함됩니다. 총 유닛 비용에는 퍼리페럴이 포함되므로, 유닛의 항목별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퍼리페럴의 값을 차감해야 합니다. |
| ▶ 컨트롤러가 시나리오 조건이나 스킬로 인해 임페추어스 특수 기술을 가지고 있거나 얻게 되면, 컨트롤러의 퍼리페럴도 영향을 받습니다. |
| ▶ 제한: 퍼리페럴과 컨트롤러는 합동 오더의 일부가 될 수 없으며 어떤 종류의 파이어팀이라도 구성원이 될 수 없습니다. |
| ▶ 컨트롤러와 퍼리페럴은 항상 동일한 그룹에 속합니다. 플레이어가 컨트롤러를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키면, 모든 퍼리페럴도 함께 이동됩니다. |
| ▶ 플레이어가 컨트롤러에게 MOD나 상태를 부여하는 해킹 프로그램(예: 사이버마스크)을 활성화하면, 해당 MOD나 상태는 퍼리페럴에게도 적용됩니다. |
| ▶ 퍼리페럴 특수 기술은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가 되더라도 계속 활성 상태를 유지합니다. |
| ▶ 퍼리페럴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 고유한 특징을 가집니다: |
| 퍼리페럴(서번트) |
| ▶ 닥터 또는 엔지니어 특수 기술을 가진 트루퍼만이 퍼리페럴(서번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 ▶ 퍼리페럴(서번트)와 컨트롤러 간의 작동 거리는 제한이 없습니다. |
| ▶ 제한: 컨트롤러는 최대 두 개의 퍼리페럴 (서번트)를 조종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이전 조건을 적용하여 한 번에 하나만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한편, 다른 퍼리페럴(서번트)는 비활성 상태가 됩니다. |
| ▶ 퍼리페럴 (서번트)와 닥터/엔지니어 |
| ▪ 이 특수 기술은 컨트롤러가 닥터 또는 엔지니어인 경우, 목표와 실루엣 컨택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자신의 특수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 ▪ 퍼리페럴이 아군 모델과 실루엣 컨택 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는 해당 모델을 대상으로 닥터/엔지니어 스킬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 ▪ 이 경우, 닥터/엔지니어 스킬을 사용하면 대상과 실루엣 컨택한 병사가 퍼리페럴(서번트)이더라도 닥터/엔지니어가 WIP 롤을 수행하게 됩니다. |
| ▪ 닥터/엔지니어 스킬은 오더 당 하나의 대상을 상대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퍼리페럴(컨트롤) |
| ▶ 퍼리페럴 (컨트롤)와 컨트롤러 간의 작동 거리는 제한이 없습니다. |
| ▶ 제한: 컨트롤러는 최대 세 개의 퍼리페럴 (컨트롤)를 통제할 수 있습니다. 이 퍼리페럴들은 컨트롤 유닛을 형성합니다. |
| ▶ 플레이어는 컨트롤 유닛의 구성원 중 한 명을 스피어헤드로 지정하고, 그 옆에 스피어헤드 토큰을 놓아야 합니다. |
| ▶ 각 퍼리페럴(컨트롤)은 컨트롤 유닛의 스피어헤드에 대해 코헤런시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플레이어는 오더와 ARO의 시작과 끝에 코헤런시 체크를 해야합니다. |
| ▶ 퍼리페럴 (컨트롤) 트루퍼가 코헤런시 체크에 실패하여 컨트롤 유닛의 스피어헤드와 코헤런시가 깨지면, 선언된 이동을 측정하기 전에 즉시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에 진입합니다. |
| ▶ 연결 끊김 상태인 트루퍼가 오더 또는 ARO 종료 시 컨트롤 유닛의 스피어헤드와 코헤런시 체크를 통과하면, 연결 끊김 상태가 즉시 해제됩니다. |
| ▶ 컨트롤러와 퍼리페럴이 오더로 활성화될 때마다, 플레이어는 컨트롤 유닛의 구성원 중 한 명을 해당 오더의 스피어헤드로 지정하고, 그 옆에 스피어헤드 토큰을 놓아야 합니다. |
| ▶ 스피어헤드가 무력화(Null) 상태에 진입하면, 플레이어는 즉시 새로운 스피어헤드를 지정해야 합니다. |
| ▶ 액티브 턴에 대상을 요구하는 스킬이 선언되면, 컨트롤러와 스피어헤드만 해당 스킬을 수행하고, 컨트롤 유닛의 다른 구성원은 대신 아이들(Idle)을 수행합니다. |
| 이 CC 특수 기술의 보유자는 근접전에서 운드를 입힐 때마다 운드를 제거하거나 VITA 능력치 값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 프로테이온(Protheion)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CC 특수 스킬(CC Special Skill),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액티브 턴 또는 리액티브 턴에, 이 트루퍼는 목표와 실루엣 컨택을 하거나 도달해야 하며, 근접 공격을 선언해야 합니다. |
| ▶ 공격 대상은 VITA 능력치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
| 효과 |
| ▶ 근접 공격의 대상에게 입히는 각 운드 또는 수행하는 쿠데그라(Coup de Grâce)에 대해, 사용자는 자신이 받은 운드를 1개 제거합니다. 운드를 받지 않았다면, VITA 능력치 값을 1 증가시킵니다. |
| ▶ 제한: 사용자의 VITA 능력치 값은 최대 두 포인트까지만 증가할 수 있습니다. |
| ▶ 사용자의 VITA 능력치가 원래 값보다 높으면, 트루퍼의 현재 VITA 능력치를 나타내기 위해 파워업 1 또는 파워업 2 토큰을 놓아야 합니다. |
| ▶ 동일한 오더에서 여러 운드가 입혀진 경우, 사용자는 다음 순서를 따릅니다: |
| ▪ 먼저, 입힌 운드를 사용하여 자신이 받은 운드를 제거합니다 (있는 경우). |
| ▪ 그 후, 남은 입힌 운드를 사용하여 VITA 능력치 값을 증가시키며, 최대 두 포인트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니다. |
| ▪ 마지막으로, 해당 오더에서 자신에게 입혀진 운드를 적용합니다. |
| 지도자들의 신념과 가르침은 이 병사들을 흔들림 없는 믿음을 가진 충성스러운 전사들로 만들었습니다. 이 광신도들의 열정은 동료들이 희망을 포기했을 때조차도 굳건히 버틸 수 있게 합니다. |
| 릴리저스 트룹(Religious Troop)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필수 적용(Obligatory) |
| 효과 (Effects) |
| ▶ 보유자는 별도의 굴림 없이 모든 거츠 롤(Guts Rolls)을 자동으로 통과합니다. 즉, 스킬 보유자가 자신의 위치를 고수해야 하며, 공격에서 살아남은 후에 뒤로 빠지거나 커버를 찾을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
| ▶ 보유자를 공격에서 살아남은 후 사선에서 나가거나 커버를 얻게 하고 싶다면, WIP 굴림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굴림이 성공하면, 보유자는 거츠 롤에 실패했을 때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
| ▶ 보유자는 후퇴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후퇴 상태가 되지 않고, 게임이 끝날 때까지 정상적으로 행동합니다. |
| ▶ 제한: 후퇴 상황이더라도, 보유자는 시나리오 규칙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스스로 테이블에서 나갈 수 없습니다. |
| ▶ 다만, 보유자는 장교 상실 상태에는 빠집니다. 후퇴 상태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
| 무인 TAG나 리모트들의 고유 특징입니다. 리모트는 유사 AI와 전문적인 프로그램으로 짜여진 논리에 따라, 전장에서의 행동을 제어받습니다. TAG의 경우 보통은 인간 조종사가 타고 있지만, 리모트 프레젠스 기술은 전장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이 조종사들을 배치시킬 수 있습니다. 안전보다 성능에 중시할 수 있게 말이죠. |
| 리모트 프레젠스(Remote Presence) |
| 자동 스킬(Automatic Skill) |
| 효과 (Effects) |
| ▶ 이 스킬을 가진 유닛이 STR 수치를 사용한다면, 2개의 의식불명 상태 레벨이 추가됩니다. |
| ▶ 보유자의 STR 속성 값만큼 운드를 받으면, 의식불명 상태에 진입합니다. 하지만 STR 값보다 1운드를 더 받더라도 평소처럼 사망(Dead) 상태에 진입하는 대신, 두 번째 의식불명 상태에 진입하며, 이 상태에서 운드를 하나 더 받아야만 사망 상태에 진입하여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즉, 리모트 프레젠스+STR 보유자는 속성 값보다 2개 이상의 운드를 받아야만 사망 상태에 진입합니다. |
| ▶ 어떤 수준의 의식불명 상태에 있든 엔지니어 특수 스킬을 사용해 WIP굴림 또는 기즈모킷(GizmoKit)을 사용, PH 굴림을 통해 의식불명 상태를 해제하고 운드 하나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 ▶ 이 스킬 보유자를 엔지니어가 수리할 때, WIP굴림에 실패할 경우 커맨드 토큰을 써서 굴림을 다시 시도할 수 있습니다. |
| ▶ 이 스킬은 보유자가 무력화되어도 발동 가능합니다. |
| 초고도로 발달된 감각과 정교한 추적 기술은 센서라는 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어느 쪽이든, 핵심은 동일합니다: 주변 환경 내의 숨겨진 위협을 즉시 발견하는 능력입니다. |
| 센서(Sensor) |
| 숏 스킬(Short Skill) |
| 공격(Attack), 선택 적용(Optional), 존 오브 컨트롤(Zone of Control) |
| 효과 (Effects) |
| ▶ 센서를 선언했을 때, 스킬 보유자는 일반 WIP+6 굴림으로 자신의 존 오브 컨트롤(Zone of Control)내에 있는 모든 적, 무기 또는 장비의 히든 디플로이먼트(Hidden Deployment) 또는 카모플라주(Camouflaged) 상태에서 동시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
| ▶ 보유자는 대상에 대한 시야가 필요하지 않으며, 대상을 지정할 필요도 없습니다. |
| ▶ 카모플라주(Camouflage) 특수 스킬을 가진 적은 보유자의 존 오브 컨트롤 내에서 재위장할 수 없습니다. |
| ▶ 센서는 보유자가 카모 마커에 대해 발견을 선언할 때 WIP에 +6 보정치를 부여합니다. |
| 샤스바스티의 특성을 나타내는 종족 특수 스킬입니다. |
| 샤스바스티(Shasvastii)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
| 요구사항 (Requirements) |
| ▶ 액티브, 리액티브 턴을 가리지 않고 보유자가 의식불명 상태에 진입하면 플레이어는 샤스바스티 스킬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 효과 (Effects) |
| ▶ 샤스바스티 특수 스킬 사용자는 의식불명 상태에 빠질 때 의식불명 토큰을 놓는 대신, 샤스바스티-엠브리오 토큰(Shasvastii-Embryo Token)을 놓습니다. |
| ▶ 활성화 시점은 사용자가 의식불명 상태에 진입할 때입니다. |
| ▶ 게임 중 : 보유자는 후퇴 상태에 필요한 아미 포인트를 계산할 때, 남아 있는 포인트에 포함됩니다. |
| ▶ 게임 종료 시 : 보유자의 특수 기술이 사라지게 되어, 승점에는 포함되지 않게 됩니다. |
| 이 특수 스킬의 보유자는 임박한 위협을 감지하는 놀라운 본능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스 센스는 증강된 본능이거나, 정교한 탐지 스킬이거나, 의사-AI의 결과물입니다. 어쨌건 식스 센스는 트루퍼가 공격적인 수준의 위협을 감지하고, 심지어 그것들을 볼 필요 없이 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 식스 센스(Sixth Sense)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
| 효과 (Effects) |
| ▶ 보유자의 시야 밖에 있는 적의 공격에 반응할 수 있게 합니다. 보유자의 시야각은 360°로 치며, CC에 걸린 상태여도 공격자에게 대응할 수 있게 됩니다. |
| ▶ 보유자가 제로 비지빌리티 존 너머에서 날아온 사격의 대상인 경우, 제로 비지빌리티 존 너머의 공격에서 비롯된 -6 수정치를 무시합니다. |
| ▶ 보유자가 닷지나 리셋을 선언했을 때는, IMM-A의 -6 보정치, IMM-B의 -3 보정치, 아이솔레이티드 상태의 -9 보정치 외 어떠한 MOD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
| 이 특수 기술의 보유자는 조용한 이동, 발각되지 않는 기술, 그리고 숨어 있다가 의심하지 않는 적에게 무자비한 근접 공격을 가하는 능력에 중점을 둔 특별 훈련을 받았습니다. |
| 스텔스(Stealth)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이 특수 스킬의 보유자는 자신의 액티브 턴이어야 합니다. |
| 효과 |
| ▶ 보유자는 적 모델이나 마커의 ZoC(Zone of Control) 및 해킹 구역(Hacking Zones) 안에서도 커셔스 무브먼트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
| ▶ 보유자가 커셔스 무브먼트, 아이들(Idle), 또는 이동기(Movement) 라벨이 있는 베이직 숏 스킬을 선언할 경우, 자신에게 LoF(Line of Fire)를 가진 적에게만 ARO(Automatic Reaction Order)를 부여합니다. |
| ▶ 다른 스킬을 선언할 경우, ARO는 정상적으로 부여됩니다. |
| ▶ 보유자가 LoF 없이 적과 실루엣 컨택(Silhouette contact)을 하고 다른 스킬을 선언할 경우, 해당 적은 CC 공격, 닷지, 리셋 또는 교전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킬만 선언할 수 있습니다. |
| 이 특수 스킬은 사용자가 점프하여 장애물을 넘거나 짧은 거리를 뛰어넘을 수 있게 합니다. |
| 슈퍼-점프(Super-Jump)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이동기(Movement), 선택 적용(Optional) |
| 효과 |
| ▶ 점프(Jump)가 오더의 첫 번째 베이직 숏 스킬(Basic Short Skill)로 선언될 경우, 롱 스킬이 아닌 베이직 숏 스킬로 변경됩니다. |
| ▶ 슈퍼-점프 특수 스킬은 사용자가 점프하는 동안 다른 베이직 숏 스킬이나 숏 스킬(예: 점프 + 사격)을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 |
| ▶ 제한: 트루퍼는 오더 당 한 번만 점프를 베이직 숏 스킬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 이후 트루퍼가 무브(Move)를 선언할 경우, MOV 능력치의 두 번째 값을 사용합니다. |
| ▶ 사용자가 점프(Jump)를 롱 스킬로 선언할 경우, 일반적인 점프 스킬의 2인치 대신 자신의 첫 번째 MOV 값에 4인치를 더한 만큼 점프할 수 있습니다. |
| ▶ 제한: 점프를 선언할 때, 슈퍼-점프를 가진 트루퍼는 이동 경로의 어떤 지점에서도 부분 엄폐(Partial Cover) 보정치를 받을 수 없습니다. |
| ▶ 해당 트루퍼가 임페추어스 상태가 되더라도(프렌지 특성 또는 다른 효과로 인해), 임페추어스 페이즈에서 슈퍼-점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일부 트루퍼는 유닛 프로필에 괄호 안에 거리가 표시된 슈퍼-점프 스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점프 시, 트루퍼는 일반적인 점프 스킬의 2인치 대신 이 거리를 점프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
| 이 특수 스킬의 보유자는 적들이 알아채지 못하게 기습적으로 공격을 선언하여 적들을 방심하게 할 수 있습니다. |
| 서프라이즈 어택(Surprise Attack)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필수 적용(Obligatory) |
| 요구 사항 |
| ▶ 이 특수 스킬을 사용하려면, 활성화되는 오더 시작 시 트루퍼가 마커 상태(예: 카모플라주, 임퍼스네이션, 디코이, 홀로에코 등)이거나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여야 합니다. |
| ▶ 보유자는 CC 공격, 사격(BS Attack), 또는 통신 공격(Comms Attack)을 선언해야 합니다. |
| ▶ 이 특수 스킬의 보유자는 자신의 액티브 턴이어야 합니다. |
| 효과 |
| ▶ 이 공격은 대상에게 추가적인 마이너스 보정치를 부과합니다. 이는 유닛 프로필의 괄호 안에 표시됩니다 (예: 서프라이즈 어택(-3), 서프라이즈 어택(-6)...). 이 보정치는 공격 대상에게만 적용되며, 해당 대상이 ARO로 수행하는 모든 스킬 굴림에 적용됩니다. |
| ▶ 만약 유닛 프로필에 특정 능력치(예: 서프라이즈 어택(CC-6))가 괄호 안에 명시되어 있다면, 마이너스 보정치는 공격 대상의 해당 능력치에만 적용됩니다. 이 보정치는 다른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치와 중첩되지 않습니다 (예: 트루퍼가 서프라이즈 어택(-3)과 서프라이즈 어택(CC-6)을 모두 가지고 있더라도). |
| ▶ 제한: 트루퍼가 마커 상태로 돌아갈 때까지 이 스킬을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이 특수 스킬은 전술 환경에 대한 더 높은 지식을 정의하며,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전술 오더를 제공함으로써 더 큰 작전 능력을 부여합니다. |
| 택티컬 어웨어니스(Tactical Awareness)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선택 적용(Optional) |
| 효과 |
| ▶ 이 특수 스킬은 사용자에게 자신의 훈련 특성(레귤러 또는 이레귤러)으로 제공되는 오더 외에 추가적인 택티컬 오더(Tactical Order) 1개를 부여합니다. |
| ▶ 오더 카운트 스텝 중, 사용자가 모델 혹은 마커로 테이블에 존재할 경우, 택티컬 오더를 사용자 옆에 놓습니다. |
| ▶ 만약 트루퍼가 오더 페이즈에 테이블에 등장할 경우, 택티컬 오더를 사용자 옆에 놓아야 합니다. |
| ▶ 만약 트루퍼가 파이어팀 구성원이고, 파이어팀 리더로 지정되었다면, 택티컬 오더를 파이어팀을 활성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일부 유닛은 특정 지형에서 효과적으로 이동하고 전투하는 추가 훈련을 받습니다. |
| 터레인(Terrain)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터레인 구역의 지형 유형이 사용자의 트룹 프로필에 명시된 지형 유형과 일치해야 합니다. |
| 효과 |
| ▶ 사용자의 MOV 능력치 첫 번째 값에 1인치 보너스가 부여됩니다. |
| ▶ 이 보너스는 해당 지형 구역에서 이동기(Movement) 라벨이 있는 스킬을 선언할 때만 적용됩니다. |
| ▶ 사용자는 자신의 지형 유형과 일치하는 지형 구역을 이동 제한 없이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 ▶ 사용자의 터레인(Terrain) 특수 스킬에 여러 지형 유형이 괄호 안에 명시되어 있을 경우, 플레이어는 트루퍼를 게임 테이블에 배치할 때 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 ▶ 터레인(토탈)(Terrain (Total))을 가진 사용자는 규칙에 명시된 모든 지형 유형(아쿠아틱, 데저트, 마운틴, 정글, 제로-G)에 이 효과를 적용합니다. |
| 이 특수 스킬은 사용자가 자신의 속성과 스킬을 가진 다른 유형의 트루퍼로 변형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
| 트랜스뮤테이션(Transmutation) |
|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
| 요구 사항 |
| ▶ 보유자는 스킬 옆 괄호 안에 명시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 효과 |
| ▶ 트랜스뮤테이션의 다양한 유형은 트루퍼의 변형을 유발하는 원인에 따라 분류되며, 이는 강제적이거나 선택적일 수 있습니다. |
| ▶ 모든 유닛 프로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스킬, 장비, 상태는 다른 유닛 프로필에도 적용됩니다. |
| ▶ VITA/STR 능력치의 현재 상태는 다른 유닛 프로필과 공유합니다. 따라서, 운드를 입었다면, 다른 유닛 프로필로 변형하더라도 여전히 운드를 입은 상태입니다. |
| ▶ 마찬가지로, 상태(States)도 해당되는 경우 다른 유닛 프로필에 공유됩니다. |
| 트랜스뮤테이션 (해칭) (Transmutation (Hatching)) |
| ▶ 이 스킬을 가진 트루퍼는 첫 번째 유닛 프로필로 배치되지만, 모델 대신 시드-엠브리오 토큰(Seed-Embryo Token)을 사용합니다. |
| ▶ 만약 트루퍼가 마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스킬을 가지고 있다면, 시드-엠브리오 토큰 대신 해당 마커를 사용합니다. 트랜스뮤테이션 (해칭)을 가진 트루퍼의 카모플라주(Camouflage) 마커는 실루엣(S) 값이 2입니다. 트루퍼가 발견되거나 자신을 드러내면, 마커는 시드-엠브리오 토큰으로 교체됩니다. |
| ▶ 마찬가지로, 트루퍼가 공수 배치(Airborne Deployment) 라벨이 있는 배치 스킬을 가지고 있다면, 시드-엠브리오 토큰으로 배치되며, 자신의 공수 배치 스킬 규칙을 정상적으로 적용합니다. |
| ▶ 트루퍼는 다음 상황에서 두 번째 유닛 프로필로 변경되고 마커 또는 씨드-엠브리오 토큰을 자신의 발달 형태에 해당하는 모델로 교체합니다: |
| ▪ 오더의 첫 번째 숏 스킬로 이동기(Movement) 라벨이 있는 스킬을 선언할 때. 이 경우, 두 번째 "발달 형태" 유닛 프로필은 전체 오더 시퀀스 동안 사용됩니다. |
| ▪ 성공적인 닷지(Dodge) ARO를 수행할 때. 발달 형태 프로필은 닷지 이동이 수행되기 전에 적용됩니다. |
| 이 탐지 시스템은 목표물의 정밀한 삼각 측정을 돕고, 더 효과적인 목표 획득을 가능하게 합니다. |
| 트라이앵귤레이티드 파이어(Triangulated Fire) |
| 롱 스킬(Long Skill) |
| 공격(Attack), 선택 적용(Optional) |
| 요구 사항 |
| ▶ 보유자는 대상에게 LoF(Line of Fire)를 그릴 수 있어야 합니다. |
| 효과 |
| ▶ 보유자는 대상에 대한 사격(BS Attack)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어떠한 보정치(사거리, 엄폐, 미메티즘 등)도 적용하지 않습니다. |
| ▶ 유일한 예외는 연사(Burst, B)에 영향을 미치는 보정치이며, 이는 정상적으로 적용됩니다. |
| AI 모터사이클은 탑승자가 하차하면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가 되는 모터사이클입니다. |
| AI 모터사이클(AI Motorcycle) |
| 자동 적용 장비(Automatic Equipment) |
| 효과 |
| ▶ AI 모터사이클을 장비한 유닛은 2개의 서로 다른 유닛 프로필을 가지며, 트랜스뮤테이션(오토)로 프로필 간에 전환을 할 수 있습니다. |
▪ AI 모터사이클에 탑승한 동안에는 탑승한 트루퍼 프로필을 사용합니다. 모터사이클 장비 룰을 적용합니다. 이 프로필로 전환할 때, 하차한 트루퍼 모델은 퍼리페럴 모델과 실루엣 컨택한 상태여야 합니다. 퍼리페럴 모델을 탑승한 트루퍼 모델도 교체한 후, 하차한 트루퍼 모델을 제거합니다. |
| ▪ AI 모터사이클에서 하차하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하차한 상태의 트루퍼 프로필을 사용합니다. AI 모터사이클에는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 룰을 적용합니다. 이 프로필로 전환할 때, 탑승한 트루퍼 모델을 퍼리페럴 모델로 교체한 후, 이에 실루엣 컨택한 채로 하차한 트루퍼 모델을 놓습니다. |
| ▶ 서로 다른 무장이 기재되어 있는데, 첫 번째 무장은 탑승한 트루퍼 프로필, 두번째 무장은 하차한 트루퍼 프로필의 것입니다. |
| ▶ 제한: 만약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 모델이 고립(Isolated)되거나, 마비(IMM)되거나 기타 무력화(Null) 상태가 된다면, 트루퍼는 탑승한 트루퍼 상태로 전환할 수 없습니다. |
| ▶ 제한: 탑승한 트루퍼 프로필은 어떠한 종류의 서포트웨어도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 만약 서포트웨어가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 리모트에 적용 중일 때, 탑승한 트루퍼로 전환하면, 해당 서포트웨어는 해제됩니다. |
| 이 장비는 플레이어가 사용가능한 보급품을 나타냅니다. |
| 배기지(Baggage) |
| 자동 적용 장비(Automatic Equipment) |
| 필수 적용(Obligatory), 굴림 없음(No Roll) |
| 효과 |
| ▶ 무력화 상태가 아니고, ZoC 내부의 아군 트루퍼는 재장전 스킬을 사용해 탄약고갈(Unloaded) 상태를 해제하거나, 소모성(Disposable) 무장의 모든 사용 횟수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한 오더 당 하나의 아군 트루퍼에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 ▶ 상태 페이즈에, ZoC 내부의 각 아군 트루퍼는 자동적으로 탄약고갈(Unloaded) 상태를 해제하거나, 소모성(Disposable) 무장의 모든 사용 횟수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
| ▶ 소모성(Disposable) 무장의 사용 횟수를 회복하는 것은 이미 테이블에 배치된 어떤 무기나 장비에도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