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2 22:45:19

인피니티(게임)/스킬과 장비








파일:인피로고.png
인피니티 관련 정보
룰 관련 정보 진영 스킬과 장비 탄약과 무기류 해킹
기타 정보 세계관 관련 정보 임무 스타터 초보자 팁 미디어 믹스

1. 스킬
1.1. 에어리얼(Aerial)1.2. 버서크(Berserk)1.3. 부티(Booty)1.4. 카모플라주(Camouflage)1.5. 체인 오브 커맨드(Chain Of Command)1.6. 클라이밍 플러스(Climbing Plus)1.7. 컴뱃 인스팅트(Combat Instinct)1.8. 컴뱃 점프(Combat Jump)1.9. 커리지(Courage)1.10. 카운터 인텔리전스(Counterintelligence)1.11. 디코이(Decoy)1.12. 닥터(Doctor)1.13. 도기드(Dogged)1.14. 엔지니어(Engineer)1.15. 익스플로드(Explode)1.16. 엑스라(Exrah)1.17. 포워드 디플로이먼트(Forward Deployment)1.18. 포워드 옵저버(Forward Observer)1.19. 프렌지(Frenzy)1.20. FT 마스터(FT Master)1.21. G: 점퍼(G: Jumper)1.22. 가드(Guard)1.23. 해커(Hacker)1.24. 히든 디플로이먼트(Hidden Deployment)1.25. 이뮤니티(Immunity)1.26. 임퍼스네이션(Impersonation)1.27. 임페추어스(Impetuous)1.28. 인필트레이션(Infiltration)1.29. 인스파이어링 리더십(Inspiring Leadership)1.30. 장교(Lieutenant)1.31. 리미티드 커버(Limited Cover)1.32. 막스맨십(Marksmanship)1.33. 무술(Martial Arts)1.34. 메타케미스트리(Metachemistry)1.35. 미메티즘(Mimetism)1.36. 마인레이어(Minelayer)1.37. 네모니카(Mnemonica)1.38. 모르포-스캔(Morpho-Scan)1.39. 내추럴 본 워리어(Natural Born Warrior)1.40. NCO1.41. 뉴로시네틱스(Neurocinetics)1.42. 노 커버(No Cover)1.43. 노 운드 인캐퍼시테이션(No Wound Incapacitation)1.44. 논-해커블(Non-Hackable)1.45. 넘버 2(Number 2)1.46. 파라슈티스트(Parachutist)1.47. 패러메딕(Paramedic)1.48. 퍼리페럴(Peripheral)1.49. 프로테이온(Protheion)1.50. 리제네레이션(Regeneration)1.51. 릴리저스 트룹(Religious Troop)1.52. 렘드라이버(Remdriver)1.53. 리모트 프레젠스(Remote Presence)1.54. 새퍼(Sapper)1.55. 센서(Sensor)1.56. 샤스바스티(Shasvastii)1.57. 식스 센스(Sixth Sense)1.58. 스페셜리스트 오퍼레이티브(Specialist Operative)1.59. 스트래티직 디플로이먼트(Strategic Deployment)1.60. 스텔스(Stealth)1.61. 스트라테고스(Strategos)1.62. 슈퍼-점프(Super-Jump)1.63. 서프라이즈 어택(Surprise Attack)1.64. 택티컬 어웨어니스(Tactical Awareness)1.65. TAGCom1.66. 터레인(Terrain)1.67. 토탈 리액션(Total Reaction)1.68. 트랜스뮤테이션(Transmutation)1.69. 삼각측량사격(Triangulated Fire)1.70. 버너빌리티(Vulnerability)1.71. 워호스(Warhorse)
2. 장비
2.1. 360°바이저(360º Visor)2.2. AI 모터사이클(AI Motorcycle)2.3. 알베도(Albedo)2.4. 배기지(Baggage)2.5. 뱅밤(Bangbomb)2.6. 바이오메트릭 바이저(Biometric Visor)2.7. 큐브(Cube)2.8. 데이저2.9. 디액티베이터2.10. 디플로이어블 커버2.11. 디플로이어블 리피터2.12. ECM2.13. 패스트판다2.14. 파이어월2.15. 기즈모킷2.16. 해킹 디바이스
2.16.1. 해킹 디바이스2.16.2. 해킹 디바이스 플러스2.16.3. 킬러 해킹 디바이스2.16.4. EVO 해킹 디바이스
2.17. 홀로마스크2.18. 홀로프로젝터2.19. 메디킷2.20. 모터사이클2.21. 멀티스펙트럴 바이저2.22. 나노스크린2.23. 리피터2.24. 심비오메이트2.25. 틴봇2.26. X-바이저


이 문서에서는 인피니티 더 게임에 등장하는 다양한 스킬과 장비들에 대해 설명합니다.

서술의 편의를 위해, 서술은 알파벳 순서대로 진행됩니다.

1. 스킬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자동 적용 스킬은 오더나 ARO를 소모할 필요 없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굴림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배치 스킬은 배치 페이즈 혹은 게임 도중에 사용되는 스킬입니다. 배치 스킬에서 명시한 예외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배치 규칙을 따라야 합니다.
베이직 숏 스킬(Basic Short Skill)
베이직 숏 스킬은 다른 베이직 숏 스킬 혹은 숏 스킬과 조합해서 선언하거나, 2번 반복할 수 있습니다.
숏 스킬(Short Skill)
숏 스킬은 다른 베이직 숏 스킬과 조합해서 선언할 수 있습니다.
롱 스킬(Long Skill)
롱 스킬은 다른 스킬과 조합해서 선언 수 없고, 오더 하나를 전부 소모합니다. 이 스킬은 액티브 턴에만 선언할 수 있습니다.
숏 스킬(ARO Skill)
ARO 스킬은 ARO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1.1. 에어리얼(Aerial)

이 스킬을 가진 병사들은 날아다닐 수 있습니다.
전장에서, 공중부양을 쓸 수 있는 병사들은 최대한 땅에 가깝게 날아다니곤 합니다. 쉬운 목표물이 될 수 있으니까요.
에어리얼(Aerial)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이 스킬이 켜져 있는 동안, 트루퍼는 엎드리거나 근접전 상태에 돌입할 수 없습니다.
▶ 이 스킬이 켜져 있는 동안, 트루퍼는 다른 모델, 목표물, 지형지물에 물리적으로 닿아 있더라도 실루엣끼리 닿아 있는 상태가 아닙니다.
▶ 이 스킬을 보유한 병사들은 커셔스 무브먼트를 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1.2. 버서크(Berserk)

버서크 스킬을 가진 병사들은 피의 갈망에 미쳤거나, 한 가지 목적만을 위해 정신줄을 놓아버렸습니다.
개인의 안전을 도외시하고, 오직 적을 쳐죽이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버서크(Berserk)
롱 스킬(Long Skill)
공격(Attack), 근접공격(CC Attack), CC 특수 스킬(CC Special Skill), 이동기(Movement),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이 스킬을 선언할 때, 목표가 사용자의 LoF 안에 있어야만 합니다.
효과
사용자가 롱 스킬을 사용하여 무브 + CC 어택을 선언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공격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집니다.
▶ 두 MOV수치를 합한 만큼의 이동이 가능합니다. 목표물에게 실루엣 컨택을 해야 합니다.
▶ 만약 이동을 측정했을 때 목표물과 실루엣 컨택이 불가능할 경우, 선언한 모델은 아이들 스킬을 대신 실행합니다. 따라서, 이동도, 공격도 하지 못합니다.
▶ 이 룰에 보정치가 있을 경우 (Berserk +3 같은), 이 보정치를 CC 어택에 더합니다.
▶ 이 CC 어택은 대상과 실루엣이 닿아 있지 않더라도 선언이 가능합니다.
▶ 버서크는 롱 스킬이지만, 사용 중에 사용자는 +1SD 보정치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룰북 원문

본인의 이동거리를 합산해 먼 거리에서도 기습적으로 근접전을 가할 수 있게 만드는 스킬. 스킬 보유자들 대부분이 고기동 근접유닛이므로 상대 BS보다 훨씬 높은 CC수치를 지니고 있어, 상대와의 페투페에서는 이론상 크리라도 맞지 않는 이상 필승을 보장하게 해준다.

다만 시야가 확보되어있어야 한다는 점 때문에 막상 실제 인게임에서는 각이 잘 나오지 않고, 닷지를 선언하지 못하니 상대가 발악성으로 페투페 대신 날리는 중화방 등에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 문제.

1.3. 부티(Booty)

이 스킬을 가진 유닛은 작전 중에 장비를 찾아서 기념품으로 삼는 수상쩍은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결과, 다들 제각기 다른 무기들을 가지고 전장에 나서곤 하죠.
부티(Booty)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이 스킬을 보유한 유닛이 테이블에 배치될 때, 부티 차트의 굴림값으로 유닛에 추가 장비를 제공합니다.
▶ 부티로 획득한 무기는 유닛의 프로필에 추가되며, 기존 무기나 장비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차트 보기]
파일:I_Booty2.png
룰북 원문

모델을 배치하면서 주사위를 굴리고, 그 주사위값에 따라서 다양한 장비들을 공짜로 챙겨갈 수 있는 능력. 책정된 스킬의 포인트값이 그리 높지 않아 뭐가 나와도 왠만하면 이득인 스킬이지만, '배치 후' 주사위를 굴리기 때문에 얻은 장비의 포텐셜을 다 뽑아먹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특히 근접전 무기가 나오는 비율이 꽤 되는데, CC값이 낮은 부티 보유자들의 경우 꽝장비의 비율이 올라가는 문제가 있어 비슷한 스킬인 메타케미스트리 보다는 평가가 낮은 편이다.

1.4. 카모플라주(Camouflage)

이 특수 기술은 병사가 자신의 위치를 숨기고 은밀하게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카모플라주(Camouflage)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배치 단계에서 카모플라주 상태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 게임 도중에 사용자가 카모플라주 상태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룰북 원문
카모플라주 상태(Camouflaged)
마커(Marker)
발동
▶ 배치 단계에서 자동 사용
▶ 내 턴이고, 적 트루퍼와 마커의 LoF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에, 롱 스킬을 사용해 카모플라주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효과
▶ 카모플라주 상태에서는 플레이어가 모델을 테이블 위에 놓지 않고 카모플라주 마커를 놓습니다.
▶ 카모플라주 마커는 미메티즘 기술을 보유할 수 있으므로, 카모플라주 마커는 미메티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면 해당 미메티즘 기술이 적용되는 MOD 레벨을 표시합니다.
제한: 적의 카모플라주 마커와 실루엣 컨택을 할 수 없습니다.
제한: 규칙이나 스킬에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카모플라주 마커에 대해 공격을 선언할 수 없으며, 해당 마커를 먼저 발견(발견 + 공격)해야 합니다.
▶ 카모플라주 마커의 정체를 드러내게 하려면, 발견 굴림을 통과해야 하며, 카모플라주의 미메티즘을 포함해 발견에 나열된 MOD를 적용해야 합니다(있는 경우).
▶ 발견 굴림이 성공하면 카모플라주 마커는 해당 모델로 교체되며, 소유한 플레이어가 선택한 방향을 향하게 됩니다.
▶ 마커 발견을 위한 주사위 굴림에서 실패한 트루퍼는 다음 플레이어 턴까지 같은 마커를 발견하려고 시도할 수 없습니다. 이미 공개되었다가 다시 카모플라주 상태에 들어간 트루퍼은 같은 마커으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 카모플라주 마커의 시야각은 360˚입니다.
▶ 카모플라주 마커의 실루엣(S) 값은 해당 마커가 나타내는 트루퍼와 동일합니다. 단, 카모플라주 상태의 무기 또는 장비의 카모플라주 마커 실루엣(S) 값은 2입니다.
▶ 이 상태는 자동 사용 기술이나 자동 사용 장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제한: 카모플라주 상태의 트루퍼는 파이어팀에 속할 수 없습니다. 파이어팀의 구성원이 카모플라주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파이어팀 소속에서 제외됩니다.
제한: 카모플라주 마커에 대해 선언할 수 있는 ARO는 다음과 같습니다: 발견, 닷지, 룩 아웃!, 리셋
▶ 카모플라주 상태의 트루퍼가 활성화되면 상대 트루퍼는 활성화 된 트루퍼의 후반부 명령이 선언될 때까지 자신의 ARO 선언을 지연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 카모플라주 상태의 트루퍼가 해당 오더 진행 중에 자신을 드러내면(BS 어택을 선언하거나 적과 실루엣 컨택하는 등...), 지연 중인 트루퍼는 자신의 ARO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 카모플라주 상태의 트루퍼가 정체를 드러내지 않으면, 지연 중인 트루퍼은 ARO를 선언할 권리를 잃습니다.
해제
카모플라주 상태는 아래와 같은 경우에 해제됩니다.
▪ 카모플라주 마커가 공격, 룩 아웃! 혹은 굴림이 필요한 모든 스킬을 선언했을 때.
▪ 카모플라주 마커가 커셔스 무브먼트를 제외한 롱 스킬을 선언했을 때.
▪ 카모플라주 마커가 적 모델과 실루엣 컨택을 했을 때.
▪ 카모플라주 마커가 발견되었을 때.
▪ 카모플라주 마커가 세이빙 롤을 굴려야할 때.
▪ 해당 트루퍼가 임페추어스가 될 때. (프렌지 혹은 기타 사유로)
▪ 해당 트루퍼가 리트릿! 상태가 될 때.
▶ 카모플라주 상태가 해제될 때, 해당 카모플라주 마커를 소유한 플레이어는 그 마커가 나타내는 모델로 교체하고, 소유한 플레이어가 선택한 방향을 향하게 됩니다.
▶ 마커를 모델로 대체할 때, 해당 플레이어는 상대에게 드러난 모델의 모든 무장 등에 대한 공개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룰북 원문

마커 상태 완벽히 이해하기

인피니티 야바위의 꽃. 해당 팩션 내에서 카모플라주를 가지고 있는 유닛이 많으면 많을 수록 마커의 정체를 파악하기가 힘들어진다.

1.5. 체인 오브 커맨드(Chain Of Command)

이 스킬을 가진 유닛은 지휘 계통 상 현장 지휘관 바로 아래에 있는 2인자입니다.
필요하다면 작전 도중 지휘권을 인수해올 수도 있다는 거죠.
체인 오브 커맨드(Chain of Command)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기밀 정보(Private Information),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플레이어 턴 시작 때, 장교 상실 상태에서 이 스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플레이어의 장교는 고립 상태거나, 무력화(null) 상태여야 합니다.
▶ 스킬 보유자는 테이블 위에 모델이나 마커 상태로 나와 있어야 합니다.
▶ 스킬 보유자는 고립되거나 무력화(null)되지 않은 상태여야 합니다.
효과
▶ 스킬 보유자는 아미의 새로운 장교가 되며, 다른 추가 스킬이 없는 장교 스킬을 얻습니다.
▶ 이 스킬이 발동되면 플레이어의 아미는 이번 턴의 장교 손실 상황 체크를 성공한 것으로 간주니다.
▶ 만약 기존 장교가 되살아나거나 고립 상태에서 풀리더라도, 스킬 보유 유닛이 여전히 장교입니다.
룰북 원문

장교 상실 판정을 자주 겪거나 상대에게 어그로가 많이 쏠리는 장교를 자주 픽한다면 생각해볼만한 스킬. 싼 스킬은 아닌지라 본진에서 가만히 있는 장교, 카모플라쥬 스킬을 가지고 있는 장교라면 로스터 다이어트를 위해 배제되기 쉽지만, 직접 전선에서 싸우는 장교를 채용할 예정이라면 하나정도 챙겨두는게 마음편하다.

1.6. 클라이밍 플러스(Climbing Plus)

클라이밍 플러스를 가진 병사들은 등반과 수직이동에 대한 재능을 타고났거나, 수직 이동에 적합한 장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클라이밍 플러스(Climbing Plus)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이동기(Movement), 선택 발동(Optional)
요구 사항
▶ 이동이 끝났을 때, 스킬 보유자는 자신의 베이스와 같은 크기거나 더 큰 표면에 베이스를 놓을 수 있어야 합니다.
효과
▶ 이 스킬을 보유하면, 첫번째 베이직 숏 스킬로 클라임 스킬을 선언할 경우에, 클라임은 롱 스킬이 아닌 베이직 숏 스킬로 바뀝니다.
▶ 클라이밍 플러스를 사용하면 무브 또는 닷지를 선언할 때 또는 것츠롤에 실패하여 이동할 때도 수평 표면에서 일반 이동을 하는 것처럼 수직 표면에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일반 이동 규칙과 이동 및 측정 규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 등반 스킬이 짧은 기본 스킬로 바뀌기 때문에, 클라이밍 플러스 보유자는 다른 짧은 기본 스킬 (클라임 + BS 어택 등)을 수직 표면에서 움직이거나,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제한: 트루퍼는 오더 당 한번만 클라임을 베이직 숏 스킬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 이후 트루퍼가 무브를 선언할 경우, MOV 능력치의 2번째 부분을 사용합니다.
제한: 클라임 스킬과 동일하게, 클라이밍 플러스 스킬을 사용 중인 병사는 수직 표면에 매달린 동안 부분 엄폐 보정치를 받을 수 없습니다.
▶ 시각적인 목적에서, 이 스킬을 사용해 이동 중인 병사들은 최소한 베이스의 밑바닥 절반이 수직 표면에 닿아 있어야 합니다.
▶ 리액티브 턴일 경우, 클라이밍 플러스 보유자는 수직 표면 위에서 ARO 선언이 가능합니다.
▶ 만약 보유자가 어떤 이유에서건 임페츄어스 상태가 된다면, 임페츄어스 페이즈 중 클라이밍 플러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요 (IMPORTANT)
보유자는 배치 페이즈나 게임 내에서 매달린 채 배치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후술할 슈퍼점프와 함께 기동력 관련 양대 스킬로 꼽히는 중요한 스킬. 게임 내에서 극복하기 어려운 건물 등의 큰 장애물을 직접적으로 넘나들 수 있게 해 주며, 특히 사이버펑크의 상징적인 기동이라 할 수 있는 벽 달리기+사격 콤보를 실제로 쓸 수 있어 유닛의 가치를 가르기도 하는 스킬이다.

게임에 대한 숙련도가 올라갈수록 더 가치가 올라가는데, 대개 상대적으로 취약한 리액티브 턴에 주요 피스를 숨기는 데 사용하기도 하며 완전 엄폐로 숨어있는 상대를 노리는 데 쓰이기도 한다. 여러 모로 좋은 스킬이지만, 유닛의 포인트 산정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쓰기 어려운 유닛들을 완전히 폐급으로 만드는 주범이기도 하다.

1.7. 컴뱃 인스팅트(Combat Instinct)

이 스킬을 가진 병사들은 위험을 감지하는 데 특별한 재능이 있어, 어떤 기습공격에도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컴뱃 인스팅트(Combat Instinct)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스킬 보유자는 공격자의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치를 무시합니다.
중요 (IMPORTANT)
이 스킬 보유자에게 스텔스 스킬은 무효화됩니다.
룰북 원문

1.8. 컴뱃 점프(Combat Jump)

몇몇 병사들은 특수한 강하 장비를 장착했으며, 하늘에서 그대로 전장으로 내리꽂히는 투하 전술을 훈련받았습니다.'파괴적인 기습공격으로 적들을 급습하기 위해서입니다.
컴뱃 점프(Combat Jump)
롱 스킬(Long Skill)
공수 배치(Airborne Deployment), 기밀 정보(Private Information),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스킬 보유자는 배치 페이즈에 배치될 필요가 없습니다. 플레이어가 본인 액티브 턴에 배치를 결정하기 전까지, 이 유닛은 테이블에 배치되지 않습니다.
▶ 테이블에 없을 때, 이 병사는 전술 페이즈 때 오더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플레이어의 선택에 의해 전장에 투입될 때 자신의 오더를 사용해 나올 수 있습니다.
▶ 이 스킬을 사용했을 때, 배치된 모델은 엎드리거나, 적 또는 중립 모델/마커/토큰 및 어떠한 임무 목표에도 닿게 배치될 수 없습니다.
▶ 플레이어는 유닛을 테이블의 수평 표면에 배치할 수 있으나, 배치되는 표면이 유닛의 베이스 크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 완전히 닫힌 지형 내부나 건물 안에 배치되는 건 불가능합니다. 열린 문이 있는 지형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미션 룸 같은 곳입니다.
▶ 강하 지점에 모델을 배치한 다음, 설치되는 무기나 장비까지 모두 설치한 다음 플레이어는 PH 굴림을 합니다. 만약 성공했다면, 보유자는 성공적으로 강하했으며 플레이어가 배치한 곳에 도착합니다. 리액티브 플레이어는 이에 대해 ARO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 만약 굴림에 실패했다면, 보유자는 플레이어의 배치구역 내, 테이블 끝자락에 붙게 나와야 합니다. 또한 실패 시점에서 보유자는 마커 상태나 디코이 스킬 등이 해제되어 모델 상태로 나와야 합니다. 배치를 시도했을 때 깔렸던 모든 설치형 무기나 장비들은 사라집니다. 리액티브 플레이어는 이에 대해 ARO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제한 사항: 이 스킬을 사용한 오더 동안, 보유자는 엄폐를 받을 수 없습니다.
▶ 이 스킬을 사용했을 때, 배치된 모델은 엎드리거나, 적 또는 중립 모델/마커/토큰 및 어떠한 임무 목표에도 닿게 배치될 수 없습니다.
▶ 플레이어가 스킬 보유자를 다른 그룹으로 옮길 때, 유닛이 테이블에 나와있지 않더라도 상대에게 이 사실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어떤 모델이 옮겨졌는지는 여전히 기밀이며, 배치될 때 공개됩니다.
▶ 임페츄어스 페이즈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럴 경우 본인의 임페츄어스 오더와 레귤러/이레귤러 오더를 모두 사용하게 됩니다.
▶ 테이블에 나와 있지 않았을 때도, 스킬 보유자는 코디네이트 오더로 강하가 가능합니다. 다만 이럴 경우 본인의 오더를 잃게 됩니다.
컴뱃 점프(익스플로전)
▶ 컴뱃 점프에 더해, 컴뱃 점프(익스플로전)은 다음과 같은 룰이 추가됩니다.
▶ PH굴림을 거쳐 모델의 강하 여부를 결정한 다음, 스킬 보유자는 탬플릿 공격을 가합니다. 원형 폭발 탬플릿을 사용자 중심으로 배치합니다.
▶ 이 공격은 PS 8의 일반탄이며, ARM 수치를 대상으로 합니다.
▶ 사용자 본인은 이 공격에 피해를 받지 않습니다.
▶ 이 스킬은 일회성이며, 사용자는 스킬을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PH 테스트를 통해 진행하는 강하 스킬이다. 후술할 인필트레이션과 같이 전진배치 스킬의 큰 양대산맥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스킬로 꼽힌다.

대개 극적인 상황 타개 방식이 필요하거나, 상대의 안일한 배치를 타격할 때 쓰이는 편. 상대의 시야를 잘 보고 제대로 꽂아주게 되면 그대로 게임이 터지는 경우도 매우 잦다.

1.9. 커리지(Courage)

이 병사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라면 죽음까지도 불사할 겁니다.
커리지(Courage)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커리지를 보유한 유닛은 거츠 롤을 자동으로 통과할 수 있습니다.
▶ 커리지를 보유한 유닛은 후퇴 상태에 빠지지 않습니다.
▶ 그러나 장교 상실 상태에는 빠집니다.
룰북 원문

거츠 롤을 자동으로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거꾸로 자동으로 거츠롤 실패로 선언하고 더 나은 커버를 향해 도망가거나 후퇴할 수 있다.

1.10. 카운터 인텔리전스(Counterintelligence)

이 스킬은 보유자가 상대의 커맨드 토큰의 전략적 사용에 대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카운터 인텔리전스(Counterintelligence)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기밀 정보
요구 사항
▶ 이 특수 스킬의 효과는 보유자가 게임 테이블 위에 모델 또는 마커로 배치되어 있어야 발동됩니다.
효과
▶ 이 특수 스킬은 커맨드 토큰의 전략적 사용 효과를 감소시켜, 2개의 오더가 아닌 1개의 오더를 줄이게 합니다.
▶ 또는, 이 스킬은 상대의 커맨드 토큰의 전략적 사용 효과로 사용이 제한된 커맨드 토큰의 사용 개수를 다시 2개로 늘립니다.
룰북 원문

선턴을 가져갈 경우 상대가 커맨드 토큰을 하나 사용해서 오더를 2개 깎을수 있는데, 그걸 1개로 감소시켜주는 스킬. 토큰 하나와 오더 2개는 좋은 교환이지만, 1개는 그정도인가? 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상대방이 고민하게 만들 수 있다.

이 스킬 보유여부는 기밀정보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상대가 알 수 없지만, 현실적으로 몇판 하다보면 누가 이 스킬을 들고 있는지 알고 있기 때문에 상대가 대응하기는 쉽다. 홀로마스크와 조합해서 상대를 속이는데 정도에 의의를 두자

1.11. 디코이(Decoy)

이 특수 스킬은 사용자의 정적인 복사체를 만들어내 적을 기만합니다.
디코이(Decoy)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사용자가 테이블에 배치될 때 디코이 상태로 배치될 수 있게 합니다.
디코이 상태 (Decoy State)
발동
▶ 배치 시 자동으로 발동됩니다.
효과
▶ 배치될 때, 이 상태 효과는 사용자가 최대 두 개의 디코이 마커를 사용자와 같이 배치할 수 있게 합니다. 사용자와 디코이 마커들은 모델과의 코히런시[1]를 지켜야 하며, 기본적인 배치 룰을 따라야 합니다.
▶ 배치 시 놓을 수 있는 디코이의 수는 스킬의 옆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디코이(1), 디코이(2) 이런 식입니다.
▶ 스킬 사용자가 모델이 아닌 마커 상태로 놓일 경우, 예를 들어 카모플라주나 임퍼스네이션의 경우, 테이블 위에는 디코이 마커 대신 동일한 마커들을 놓을 수 있습니다.
▶ 이 스킬을 보유한 병사는 최대 3개까지의 디코이 마커로 표현됩니다. 본체와 디코이 1, 디코이 2입니다. 플레이어는 반드시 본체가 누구인지(마커도 고를 수 있습니다)를 적어두어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본체 외에 다른 마커들은 그저 복사체일 뿐입니다.
▶ 이 복사체들은 장비나 무장, 혹은 유닛을 숨길 수 없으며 테이블 위에 정적인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 테이블에 배치되는 디코이 마커들은 모델의 복제품으로 치며, 시야를 가릴 수 있고 사격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해제
▶ 복사체 디코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즉시 테이블에서 사라집니다.
▶ 발견(Discover)당했을 때.
▶ 공격당했을 때. 세이브를 굴리지 않고 사라집니다.
▶ 적 모델이 실루엣 컨택을 했을 때.
▶ 스킬 보유자가 모습을 드러내거나 발견당했을 때.
▶ 다음 상황에서 디코이 스킬 사용자가 드러나게 되며, 모든 복사체를 제거하고 본체가 드러납니다.
▶ 사용자가 공격, 룩아웃 또는 주사위를 굴리는 어떠한 스킬이건 선언했을 경우. 단, 컴뱃 점프는 예외입니다.
▶ 사용자가 커셔스 무브먼트, 파라츄이스트, 컴뱃 점프를 제외한 어떤 롱 스킬이건 사용했을 경우.
사용자가 인필트레이션 굴림에 실패하거나, 컴뱃 점프 굴림에 실패했을 때.
▶ 적 모델이 사용자에게 실루엣 컨택을 했거나, 혹은 사용자가 적에게 실루엣 컨택을 했을 때.
▶ 사용자가 발견당했을 때.
▶ 사용자가 세이브를 굴려야 할 때.
▶ 사용자가 후퇴 등의 상황에 빠져, 임페츄어스 상태가 되거나 할 때.
▶ 사용자가 마커 상태로 숨겨져 있었다면, 본체가 드러날 때 플레이어는 올바른 모델을 꺼내 희망하는 방향으로 시야를 돌릴 수 있습니다.
▶ 모델이 공개되는 순간, 사용자는 상대에게 드러난 모델의 모든 무장 등에 대한 공개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룰북 원문

상대에게 내 로스터의 유닛 수를 실제보다 많이 보이게 만드는 스킬.

토너먼트 룰에 따라 전체 유닛 수를 15오더로 제한[2]하게 되는데, 15모델보다 많은 것을 본 상대가 디코이를 쓰고 있다는 사실을 예측할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어느 모델이 진짜인가 하는 점 때문에 정보전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체가 마커 상태로 배치될 경우 어느 마커가 디코이인 것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더욱 더 그러한 점이 돋보인다.

1.12. 닥터(Doctor)

이 병사는 어떻게 하면 전투 불능에 빠진 아군을 안정화하고, 생명을 구한 뒤 다시 전투에 내보낼지에 대한 의학적 노하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닥터(Doctor)
숏 스킬(Short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이 특수 스킬을 사용하려는 유닛은 대상과 실루엣 컨택이 된 상태여야 합니다.
▶ 이 특수 스킬의 대상은 반드시 VITA 수치를 가진 모델로, 언컨셔스 상태여야만 합니다.
효과
▶ 일반 WIP 굴림을 거쳐, 대상의 언컨셔스 상태를 해제시킵니다. 이는 곧 대상이 받은 W수치를 하나 제거함으로써 일어납니다. 만약 스킬들 중 더 많은 W수치를 제거할 수 있는 스킬 등이 없다는 전제 하에서입니다. 만약 WIP굴림에 실패한다면, 대상은 데드 상태에 빠져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유닛들이 언컨셔스 상태에서 회복할 수 있는 횟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WIP굴림을 성공한다는 전제 하에.
▶ 이 스킬에는 다음과 같은 파생형들이 존재합니다.
Doctor(2W): 대상을 언컨셔스 상태에서 회복시킬 때, W수치를 두 개 제거합니다.
Doctor(Reroll -X): 이 스킬 보유자는 X값에 적힌 수치를 WIP수치에서 뺀 상태로 실패한 WIP굴림을 다시 굴릴 수 있지만, 한 번 다시 굴린 스킬을 또다시 굴릴 수는 없습니다. 이 리롤에 대해 새로운 ARO가 발생하진 않습니다.
중요 (IMPORTANT)
만약 플레이어가 리롤-X로 다시 굴린 WIP굴림을 실패했더라도, 커맨드 토큰의 전투 중 사용으로 닥터의 WIP 리롤을 다시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닥터(리롤) 스킬의 마이너스 페널티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생체(W스탯을 사용하는 모델)유닛을 기절 상태에서 회복시켜주는 유닛. 다만 치료의 성공확률이 높지 않은 편(WIP 13 기준 65%)이고, 생체 유닛은 기계 유닛과 달리 즉사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 상태이상 회복 능력이 엔지니어에 비해 빈약하다는 문제 등으로 인해 엔지니어에 비해 크게 선호되지 않는 편이다. 그나마 생명공학의 대가인 하퀴슬람 정도가 고려하는 편.

1.13. 도기드(Dogged)

일부 병사들은 개인의 안위를 완전히 등한시해, 심각한 부상조차도 그들의 목표 달성을 막을 수 없습니다.
도기드(Dogged)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액티브 턴, 혹은 리액티브 턴에 트루퍼가 언컨셔스 상태가 될 때, 해당 모델을 소유한 플레이어가 도기드 스킬 사용을 선언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효과
▶ 도기드 스킬을 사용 중인 트루퍼는 아래와 같은 특수 규칙을 가집니다:
▪ 트루퍼에게 언컨셔스 토큰을 놓는 대신 도기드 토큰을 놓습니다.
▪ 도기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트루퍼가 언컨셔스 상태에 진입할 때, 반드시 사용 선언을 해야합니다.
▪ 해당 트루퍼는 언컨셔스 상태의 모든 효과와, 무력화(Null) 라벨을 무시하고, 해당 턴 동안만 정상 상태인 것으로 간주합니다.
▪ 도기드를 사용한 트루퍼는, 해당 턴의 스테이트 페이즈에 자동으로 데드 상태가 되며,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도기드를 사용한 트루퍼가 또 다른 피해를 입게 된다면, 즉시 데드 상태가 되고,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도기드 활성화 이후에는 이 트루퍼는 회복될 수 없습니다. (닥터, 메디킷, 리제네레이션 등..)
리모트 프레센스와 STR 능력치를 가진 트루퍼는, 언컨셔스의 몇 단계로 진입하건 상관없이 도기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이미 언컨셔스였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이 스킬은 어떤 자동 적용 스킬이나 자동 적용 장비에도 간섭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관련 룰들이 정상적용 됩니다.
쇼크탄은 이 스킬을 사용하는 트루퍼의 언컨셔스 상태를 해제하고, 즉시 데드 상태로 만듭니다.
룰북 원문

말 그대로 체력이 0이 되었음에도 근성으로 전투를 속행하는 스킬. 다만 그 턴 한정에다 치료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마지막 발악을 위해 발동하거나, 아니면 얌전히 언컨셔스 상태를 선택하여 자기 턴에 얌전히 치료받는 것도 방법이다. 물론 이 스킬을 가진 모델은 대체적으로 돌격용에 가깝지만....

1.14. 엔지니어(Engineer)

엔지니어는 현장에서 손상된 장비를 수리할 수 있는 수단과 기술을 갖추고 있습니다.
엔지니어(Engineer)
숏 스킬(Short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이 특수 스킬을 사용하려는 유닛은 대상과 실루엣 컨택이 된 상태여야 합니다.
효과
▶ 노멀 WIP 굴림을 거쳐, STR 능력치를 가진 대상의 운드를 하나 회복합니다. 만약 언컨셔스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면, 언컨셔스 상태를 해제시킵니다.
▶ 이 스킬은 대상의 운드가 모두 회복될 때 까지 계속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 노멀 WIP 굴림이 실패한다면, 대상은 운드를 하나 회복하는 대신 하나 잃습니다. 이로 인해 언컨셔스 혹은 데드 상태가 되어야 한다면, 적용합니다.
▶ 또는, 노멀 WIP 굴림을 성공하는 것으로 엔지니어 스킬을 보유한 트루퍼가 대상의 언컨셔스를 제외한 모든 상태(IMM-A, B, 타게티드 등)를 해제하고 해당 상태 토큰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노멀 WIP 굴림은 실패해도 아무 부정적인 효과가 없습니다. 계속해서 오더를 지불해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엔지니어(리롤 -X):
이 스킬 보유자는 X값에 적힌 수치를 WIP수치에서 뺀 상태로 실패한 WIP굴림을 다시 굴릴 수 있지만, 한 번 다시 굴린 스킬을 또다시 굴릴 수는 없습니다. 이 리롤에 대해 새로운 ARO가 발생하진 않습니다.
▶ 엔지니어 스킬과 리모트 프레젠스:
대상이 어떤 단계의 언컨셔스 상태이건간에, 노멀 WIP 굴림을 성공하면 대상의 언컨셔스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만큼의 운드를 회복합니다.
만약 플레이어가 리롤-X로 다시 굴린 WIP굴림을 실패했더라도, 커맨드 토큰의 전투 중 사용으로 엔지니어의 WIP 리롤을 다시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엔지니어(리롤) 스킬의 마이너스 페널티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기계류 유닛들의 체력을 회복시키거나, 고립 및 이모빌-b등 전자적 상태이상을 회복시켜줄 수 있는 스킬.

기계류 유닛들은 언컨-2단계에 돌입할 수 있는 리모트 프레젠스 스킬을 가진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즉사당하지 않고 시체가 남는 경우가 많아 닥터 스킬보다 상대적으로 고평가된다.

제거할 수 있는 상태이상도 닥터보다 다채로운 축에 속해, 둘 중 하나를 택하라고 하면 생체 유닛이 많은 팩션도 엔지니어를 고르는 경우가 더 많다.

주의할 점은 체력회복과 달리 상태이상 회복은 어떤 경우에도 리롤이 불가능하며, 상태이상이 걸린 상태에서 기절당한 유닛을 회복할 경우 상태이상 회복과 체력 회복은 택일로만 진행 가능하다는점이 흔히 있는 에러플로 꼽힌다.

1.15. 익스플로드(Explode)

이 스킬은 해당 병사가 폭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익스플로드(Explode)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공격(Attack), 필수 적용(Obligatory)
요구 사항
▶ 이 스킬을 발동하기 위해서는 보유자가 언컨셔스 상태여야 합니다.
효과
▶ 이 스킬은 보유자가 언컨셔스 상태로 진입할 때, 강제로 폭발하게 합니다.
▶ 보유자가 언컨셔스 상태로 진입한 오더의 끝에, 해당 트루퍼는 자신의 베이스 중앙을 중심으로하는 다이렉트 템플릿(원형 템플릿) 공격을 합니다.
▶ 이 폭발은 쇼크 탄종을 적용하고, ARM을 대상으로 PS 7로 세이브를 하게 합니다.
▶ 이 공격에 영향을 받았지만, 닷지 굴림을 성공한 적 트루퍼는 이 공격을 피할 수 있습니다.
▶ 모든 굴림이 끝나면, 보유자는 데드 상태가 되고,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만약, 보유자가 쇼크탄, 혹은 도기드 등의 스킬의 효과, 혹은 한 오더에 여러 운드를 입어 즉시 데드 상태가 되는 경우, 이 스킬은 발동하지 않습니다.

언컨셔스 상태에 돌입할 때, 도기드 혹은 NWI 스킬을 사용할 경우, 이 스킬은 발동하지 않습니다.
아군 모델 혹은 마커에게 영향을 미치는 템플릿 공격은 취소됩니다. 하지만, 익스플로드 스킬 보유자는 여전히 데드 상태가 됩니다.
룰북 원문

보유자가 죽을 때 폭발하는 스킬. 강시, 가키가 대표적인 유닛. 뭔가 자살테러범스러운 스킬이지만 의외로 하퀴슬람에는 보유 유닛이 없다.

가슴팍에 클레이모어를 달고 다니는 '체스트 마인' 무장 보유자도 이 스킬을 보유하지 않는 한 폭발하지 않는다.

1.16. 엑스라(Exrah)

엑스라 종족 전용 특수 기술로, 외계인이 무의식 상태에 빠졌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 결정합니다.
엑스라(Exrah)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이 스킬을 보유한 트루퍼가 언컨셔스 상태에 진입할 때, 추가적인 운드를 입을 필요 없이, 데드 상태까지 자동적으로 진입하고, 테이블에서 모델을 제거합니다.
▶ 이 트루퍼는 어떠한 방법으로도 회복할 수 없습니다. (닥터, 메디킷, 리제네레이션 등..)
▶ 이 스킬은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가 되더라도 계속 적용합니다.
룰북 원문

엑스라 종족 특유의 개복치스러움을 구현한 스킬.

카운터메져 등 기밀이 중요한 미션에서 기밀 임무 중 상대의 트루퍼를 대상으로 시도하는 임무들이 적지 않은 편인데 이런 케이스에서 의외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제압하기엔 모델이 사라져버리고 피탄을 감수하고 기밀을 시도하기엔 실패확률이 높은 딜레마를 주기 때문.

1.17. 포워드 디플로이먼트(Forward Deployment)

이 스킬은 자신의 부대와 떨어져서 아군 전선 너머로 배치되는 병사를 나타냅니다.
포워드 디플로이먼트(Forward Deployment)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상급 배치(Superior Deployment),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보유자는 자신의 배치 구역 너머로 배치될 수 있습니다. 배치 구역 너머로 배치될 수 있는 거리는 해당 스킬의 괄호 안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어떤 스킬을 가지고 있더라도, 트루퍼는 적이나 중립 모델, 마커, 토큰, 미션 기물과 접촉해서 배치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통칭 포디플. 표기수치만큼 배치구역보다 전진배치할 수 있게 해주는 스킬. 인필트레이션의 하위호환격 스킬이지만 그만큼 포인트가 낮고, 전진배치 8인치의 경우 16인치 배치 미션일 경우 인필과 버금가는 성능을 보여준다.

미션마다 배치 가능구역 길이가 다른 인피니티 게임 특성상, 미션에 따라 밸류가 꽤 차이나는 축에 속하는 스킬. 거꾸로 중앙에 배치 제한공간이 있는 미션의 경우 오히려 포디플이 더 싼 값으로 동일한 능력을 제공해줄수도 있다.

1.18. 포워드 옵저버(Forward Observer)

이 스킬은 자신의 부대와 떨어져서 아군 전선 너머로 배치되는 병사를 나타냅니다.
포워드 옵저버(Forward Observer)
숏 스킬(Short Skill) / ARO
사격(BS Attack),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보유자 대상에게 LoF를 그릴 수 있어야 합니다.
효과
▶ 포워드 옵저버 스킬은 BS Weapon(WIP) 트레잇을 가진 사격으로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세이브 굴림을 하지 않고, 타게티드 상태가 됩니다.
▶ 타게티드 토큰을 성공적인 포워드 옵저버 공격 대상 옆에 놓습니다.
<rowcolor=#FFFFFF>사거리 PS B AMMO 세이브
<rowcolor=#FFFFFF>8\''16\''24\''32\''40\''48\''96\''
000-3-3-3-6-2--
트레잇BS Weapon(WIP), State : Targeted, Non-Lethal

통칭 포옵. 스킬을 사용해 상대를 타게티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특능을 지니고 있으나, 실제 게임에서는 염가로 나오는 미션러너인 점과 플래시 펄스 장비를 보유하고 나온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이러한 취급인 이유는 무시야로 타게티드를 걸 수 있는 스팟라이트 해킹과 달리, 결국 포워드 옵저버 스킬은 시야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냥 사격을 갈기는게 더 효율적인 경우가 더 많기 때문.

염가 미션러너라는거 자체가 큰 의의이기 때문에 인겜에서 볼 일은 많지만, 이 스킬을 사용할 일은 별로 없을것이다.

착각하기 쉬운 부분이지만, 발견과는 달리 엄밀히 사격의 일종으로 취급되는 스킬이기 때문에 닷지 등과 페투페로 처리된다.

1.19. 프렌지(Frenzy)

이 병사는 살육 욕구를 간신히 억누르고 있습니다. 한번 피맛을 보면, 죽음의 소용돌이가 됩니다.
프렌지(Frenzy)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상태 페이즈(States Phase)
발동
▶ 이 스킬 보유자가 적에게 1운드 이상 피해를 입히거나, 데드 상태로 만들었을 경우, 상태 페이즈에 자동으로 발동됩니다.
효과
▶ 이 스킬 보유자가 적에게 1운드 이상 피해를 입히거나, 데드 상태로 만들었을 경우, 상태 페이즈 이후, 남은 게임 동안, 아래 스킬을 얻게 됩니다.
임페추어스
리미티드 커버
▶ 프렌지 트루퍼가 임페추어스 스킬을 얻은 경우, 현재 마커 상태(카모플라주, 임퍼스네이션 등..)를 모두 해제하고, 다른 모든 해제되어야 하는 상태를 해제합니다. 이 트루퍼는 이렇게 해제된 상태들에 재진입 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상대방한테 피해를 먹이면 임페츄어스와 리미티드 커버를 획득하는 스킬. 기본적으로는 페널티 스킬이지만, 포인트 할인폭이 크고, 상대방한테 피해를 입힌 즉시 적용되는 것이 아닌 '피해를 입힌 턴 종료시' 적용되는것이기 때문에, 싸우다가 죽어버리면 사실상 노페널티로 포인트 할인만을 챙겨갈수 있다. 뉴비는 물론 게임경험이 많은 올드비도 적용시키는걸 종종 까먹는 스킬이므로, 운드를 입힌 즉시 토큰 등으로 표시해주는것이 에러플을 줄이는데 좋다.

1.20. FT 마스터(FT Master)

파이어팀 마스터는 규율이 제대로 잡히지 않은 병사들을 잘 기름칠된 전쟁병기로 만들 수 있습니다.
FT 마스터(FT Master)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요구 사항
▶ 이 스킬을 보유한 트루퍼가 파이어팀의 구성원이어야 합니다.
효과
▶ 택티컬 페이즈에서 오더를 셀 때, 이 트루퍼가 파이어팀의 구성원이라면 해당 파이어팀의 모든 구성원은 레귤러가 됩니다.
▶ 만약, 파이어팀의 모든 구성원이 이미 레귤러였다면, 파이어팀 코헤런시 체크 시, 파이어팀 리더의 ZoC에 +2인치 보너스를 적용합니다.
▶ 만약, 이 스킬의 괄호 안에 특정 병종의 이름이 적혀있다면, 해당 병종이 파이어팀에 속해있어도 FT 마스터를 보유한 트루퍼가 파이어팀에 속해있지 않다면, 해당 파이어팀은 자동으로 해체됩니다.
FT 마스터를 보유했다고 해도, 해당 파이어팀 구성원은 장교 상실 패널티를 여전히 받습니다.
룰북 원문

1.21. G: 점퍼(G: Jumper)

이 스킬을 가진 병사는 테이블 위에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육체를 넘나들며 항상 전투 속에 있을 수 있습니다.
G: 점퍼(G: Jumper)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요구 사항
▶ 플레이어는, 2개 혹은 3개의 프록시가 아미 리스트에 있어야 합니다.
▶ G: 점퍼를 보유한 트루퍼의 모든 프록시는 한 컴뱃 그룹에 속해 있어야 합니다. 이들은 하나의 트루퍼로 간주합니다.
효과
▶ 이 스킬은 보유자가 프록시라고 부르는 여러 모델을 가질 수 있게 합니다.
▶ G: 점퍼 트루퍼는 몇개의 프록시가 있더라도 하나의 오더만 제공합니다.
▶ 이 스킬은 G: 점퍼 트루퍼가 2개 혹은 3개의 프록시를 각자 가질 수 있는 배치 스킬(인필트레이션 등..)에 맞게 배치할 수 있게 합니다.
▶ 배치 페이즈 동안에는 액티브 프록시 토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액티브 턴에 오더를 사용할 때, G: 점퍼 트루퍼는 자신의 프록시 중 하나에 액티브 프록시 토큰을 놓고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액티브 프록시 토큰이 있는 프록시만 오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리액티브 턴에 만약 상대가 같은 G: 점퍼 트루퍼에 속한 여러 프록시에게 ARO를 발생시킬 경우, 플레이어는 그 중 하나를 액티브 프록시로 정해 토큰을 놓습니다.
▶ 액티브 프록시는 ARO를 정상적으로 수행 가능합니다.
▶ 액티브 프록시가 아닌 프록시는 ARO로 닷지 혹은 리셋만 가능합니다.
▶ 프록시가 고립(Isolated) 또는 어떠한 종류의 무력화(Null)상태로 진입하게 되면, 그 오더의 끝에 플레이어는 남아있는 고립(Isolated) 또는 무력화(Null)상태가 아닌 프록시에 액티브 프록시 토큰을 놓습니다.
▶ G: 점퍼 트루퍼는 고립(Isolated) 또는 무력화(Null) 상태인 프록시를 그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한, 활성화 할 수 없습니다.
▶ G: 점퍼 트루퍼가 보유한 모든 프록시가 고립(Isolated) 또는 무력화(Null)상태라면, 최소 하나의 프록시가 해당 상태에서 회복하기 전까지, 해당 트루퍼는 전투 손실로 간주합니다.
G: 점퍼와 승점(Victory Points)
▪ 플레이어는 프록시 각각의 코스트를 셉니다.
G: 점퍼와 장교
▪ 만약 G: 점퍼 트루퍼가 장교라면, 보유한 모든 프록시가 고립(Isolated) 또는 무력화(Null)상태라면, 장교 상실이 됩니다. 이 장교 상실 상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해제할 수 있습니다.
G: 점퍼와 히든 디플로이먼트, 마커 상태
▪ 액티브 프록시 토큰을 마커 상태인 프록시 옆에 놓는 것만으로는 아직 스킬을 선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프록시의 마커 상태를 해제하지 않습니다.
▪ 이는,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가 게임 테이블에 등장해 오더나 ARO를 선언하기 전까지는 액티브 프록시 토큰을 놓을 필요가 없습니다.
G: 점퍼와 컴뱃 그룹
▪ 플레이어가 G: 점퍼 트루퍼를 다른 컴뱃 그룹으로 옮길 때, 하나의 트루퍼처럼 간주하고, 모든 프록시를 다른 컴뱃 그룹으로 옮깁니다.
G: 점퍼와 제압 사격
▪ G: 점퍼 트루퍼가 제압사격 상태인 프록시를 가지고 있다면, 해당 프록시는 다른 프록시가 활성화 되더라도 제압사격 상태를 유지합니다.
룰북 원문

포스트휴먼 전용 기술. 하나의 정신이 여러 의체 사이를 넘나들며 기동할 수 있다.

1.22. 가드(Guard)

이 CC 스킬을 가진 병사는 호위 유닛과 함께 전장에 투입됩니다.
가드(Guard)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근접 공격의 대상이 LoF와 ZoC안에 있어야 합니다.
효과
▶ 보유자와 대상이 된 트루퍼 모두 실루엣 컨택이 필요한 스킬, 보정치 적용, CC 특수 스킬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무술, 내추럴 본 워리어, D-차지, 아군 트루퍼가 인게이지 상태일때의 +1B MOD 등
룰북 원문

본래 완전히 모델이 접촉해있는 실루엣 컨택 상태에서만 선언할 수 있는 근접공격(CC)를 상대방 8인치 이내에서 선언하게 해줄 수 있는 스킬.

특히 액티브턴에 이 모델이 행동할 경우 상대방의 ARO를 듣고 행동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이 가드를 의식해서 아직 붙지 않았음에도 근접전을 선언하면 사격을 선언해 상대방의 ARO를 무효화 시키거나, 상대방이 사격을 선언할 경우 CC를 선언해 압도적인 CC 능력치로 압살하는 등 다양한 이지선다를 시전할 수 있다. 다만 스킬 보유자들이 보통 장교인 경우가 많아 현실적으로는 수비적으로 쓰이는 편이 더 많은 편.

1.23. 해커(Hacker)

해커는 정보전에 대한 훈련을 받은 병사를 말합니다. 이 훈련을 받은 병사들은 해킹 디바이스나 특별히 디자인된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습니다.
해커(Hacker)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해커는 특정 해킹 프로그램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해킹 디바이스를 장착하거나 디바이스 없이도 특정 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해커는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이 스킬은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가 되더라도 계속 적용합니다.
룰북 원문

1.24. 히든 디플로이먼트(Hidden Deployment)

일부 트루퍼는 주변 환경에 섞이는 능력이 뛰어나 적의 눈에 전혀 띄지 않습니다.
히든 디플로이먼트(Hidden Deployment)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선택 적용(Optional), 기밀 정보(Private Information)
효과
▶ 배치 페이즈 동안, 보유자는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로 배치될 수 있습니다.
룰북 원문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Hidden Deployment)
발동
▶ 배치 단계에서 자동 사용
효과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는 배치 페이즈에 모델이나 마커를 놓지 않고도 배치할 수 있게 해주는 특수한 배치입니다.
▶ 당신의 배치 페이즈에,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의 위치를 할 수 있는 한 상세하게 기록합니다.(커버를 받고 있는지, 엎드려 있는지 등) 해당 트루퍼의 위치가 드러날때 상대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작성합니다.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가 해제될 때 까지는 해당 트루퍼는 게임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따라서 해당 트루퍼는 LoF에 영향을 주지도, 템플릿 무장에 영향을 받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플레이어는 ARO 선언 여부를 정할 때, 적어놓은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의 위치를 사용합니다.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인 트루퍼는 택티컬 페이즈에 자신의 오더를 오더 풀에 더하지 않습니다.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는 액티브턴에 해당 트루퍼를 테이블에 놓을 때, 자신의 오더를 자기 자신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가 테이블 위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지는 않지만, 인필트레이션을 가진 트루퍼가 인필트레이션 굴림을 할 경우, 위치를 기록한 이후에 굴림을 수행합니다.
▪ 굴림이 성공한다면, 인필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적용되고,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를 잃지 않습니다.
▪ 굴림이 실패한다면, 해당 트루퍼의 모델을 자신의 배치구역의 테이블 엣지에 붙인 채로 놓아야 합니다.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와 동시에 홀로에코 상태로 배치된다면, 플레이어는 3개의 홀로에코 위치와 어떤 홀로에코가 진짜인지 기록해야 합니다.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가 해제될 때, 반드시 코헤런시 체크를 해야합니다. 코헤런시를 벗어난 홀로에코는 홀로에코 상태가 해제됩니다.
▶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를 다른 컴뱃 그룹으로 옮길 때, 해당 트루퍼의 존재를 상대에게 알려야 합니다. 하지만, 해당 트루퍼가 드러나기 전까지는 트루퍼에 대한 정보는 기밀로 유지합니다.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의 트루퍼는 합동 오더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가지고 있던 자기 자신의 오더를 잃습니다.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가 해제되면, 다시 이 상태로 진입할 수 없습니다.
해제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는 보유자가 이를 가능하게 하는 특수 스킬에 의해 발견될 경우 해제됩니다. (예시 : 센서)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는 보유자가 오더나 ARO를 선언하면 해제됩니다.
▶ 보유자의 모델 혹은 마커를 기록해놓았던 위치에 놓습니다. 시선 방향은 이때 정합니다.
▶ 만약 트루퍼가 마커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스킬이 있다면(예시 : 카모플라주),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한, 해당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커셔스 무브먼트 혹은 굴림이 필요없는 베이직 숏 스킬을 사용했을 때. (룩 아웃! 제외)
▪ 마커 상대로 ARO 선언을 지연했을 때.
▪ 상대 트루퍼가 마커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막았을 때.
▶ 만약 마커 상태의 트루퍼가 위에 명시된 것이 아닌 숏 스킬, 롱 스킬, ARO를 사용했을 경우, 마커 상태가 해제됩니다. 이 경우, 트루퍼의 모델을 기록해놓았던 위치에 놓습니다. 시선 방향은 이때 정합니다.
▶ 만약 아군 혹은 적군의 모델이나 마커가 히든 디플로이먼트 스킬을 가진 트루퍼와 같은 공간을 점유한 상태에서, 히든 디플로이먼트 트루퍼가 오더나 ARO 선언을 하면, 모델이나 마커를 기록한 위치에서 최대한 가까운 곳에 놓습니다. 다른 모델이나 마커와 실루엣 컨택으로 놓을 수 없습니다.
▶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는 해당 트루퍼가 임페추어스나 리트릿! 상태가 되면 해제됩니다.
▶ 모델이 전장에 놓일 때, 해당 플레이어는 상대에게 드러난 모델의 모든 무장 등에 대한 공개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룰북 원문

카모플라주에 이은 인피니티의 꽃 중에 하나. 상기한대로 마커조차도 안 놓고 배치할 수 있다. 실제 게이머들 대부분은 사진을 찍고 배치한 곳을 표시해두는 편이다. 핵심은 스킬 보유자가 뭔가를 하기 전까지는 어딨는지 알 수 없고, 상대가 미리 공격해서 처리할 수 없다는데 있다. 따라서 상대는 이 스킬 보유자가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어디에 존재하는지 의식하며 신중히 공격해야하기 때문에 상대의 공격을 쏠쏠히 견제할 수 있다. 이 스킬이 유저들 사이에 얼마나 압박적인지는 녹티퍼 항목을 참고하면 짐작할 수 있다.

1.25. 이뮤니티(Immunity)

이 스킬을 가진 병사는 특정 유형의 피해에 대한 자체적 혹은 기술적인 저항력을 지닙니다. 이뮤니티 스킬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이뮤니티(Immunity)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요구 사항
이 스킬은 아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할 때 발동합니다:
▶ 트루퍼가 세이브 굴림을 할 때.
▶ 트루퍼가 이뮤니티 스킬에 명시된 상태에 영향 받을 때.
효과
이 스킬은 괄호 안에 명시된 탄종이나 효과에 따라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이뮤니티 (트레잇): 보유자는 해당 트레잇의 효과를 무시합니다.
이뮤니티 (탄종)): 보유자는 해당 탄종을 N탄으로 간주합니다. 해당 탄종의 특수 효과, 능력치에 대한 보정치, 세이브 굴림 갯수를 무시합니다.
이뮤니티 (ARM): ARM을 사용해 세이브 굴림을 하는 모든 탄종을 N탄으로 간주합니다. 해당 탄종의 특수 효과, 능력치에 대한 보정치, 세이브 굴림 갯수를 무시합니다.
만약, 무기, 스킬, 장비가 트레잇을 가지고 있을 경우, 보유자는 해당 트레잇이 유발하는 상태, 운드를 입히는 능력, 능력치에 대한 보정치에 대해 완전히 면역입니다.
예시 : 스테이트: 데드, ARM=0, 컨티뉴어스 데미지.
이뮤니티 (BTS): BTS를 사용해 세이브 굴림을 하는 모든 탄종을 N탄으로 간주합니다. 해당 탄종의 특수 효과, 능력치에 대한 보정치, 세이브 굴림 갯수를 무시합니다.
만약, 무기, 스킬, 장비가 트레잇을 가지고 있을 경우, 보유자는 해당 트레잇이 유발하는 상태, 운드를 입히는 능력, 능력치에 대한 보정치에 대해 완전히 면역입니다.
예시 : 스테이트: 데드, BTS=0, 컨티뉴어스 데미지.
이뮤니티 (인핸스드): 보유자는 이뮤니티(ARM)과 이뮤니티(BTS)를 가집니다.
이뮤니티 (상태): 보유자는 통신 공격(Comms Attack)이나 다른 규칙으로 유발되는 해당 상태에 대해 면역입니다. 예를 들어, 이뮤니티(POS)의 경우, 해당 트루퍼는 포제스드 상태가 될 수 없습니다.
이뮤니티 (크리티컬): 보유자는 크리티컬이 유발하는 추가 세이브 굴림을 굴리지 않습니다.
이 스킬은 이뮤니티(상태)를 제외하고, 통신 공격(Comms Attack)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이뮤니티는 비살상(Non-Lethal)과 상태:스턴 트레잇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해당 트레잇은 항상 적용됩니다.
버너빌리티와 이뮤니티 스킬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면, 버너빌리티에 명시된 탄종에 대해서는 이뮤니티 룰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이뮤니티와 크리티컬
▪ 만약 트루퍼가 자신이 면역을 가진 탄종, 효과, 상태에 대해 크리티컬로 피격되었을 경우, 이뮤니티(크리티컬)이 없는 한, 크리티컬이 유발하는 추가 세이브 굴림을 굴려야합니다. 하지만 해당 탄종의 모든 특수 효과를 무시하고 N탄으로 취급합니다.
룰북 원문

1.26. 임퍼스네이션(Impersonation)

이 스킬은 적으로 위장해 본대와 아주 멀리 떨어져 배치할 수 있게합니다. 변장 상태는 사용자가 적으로 식별되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상태가 있습니다.
임퍼스네이션(Impersonation)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선택 적용(Optional), 부정적 피드백(NFB, Negative Feedback), 상급 배치(Superior Deployment)
효과
▶ 배치 페이즈 동안, 보유자는 상대 배치구역이 아닌 한, 어디에나 배치될 수 있습니다.
▶ 보유자는 임퍼스네이션-1(IMP-1) 상태로 배치될 수 있습니다.
제한: 임퍼스네이션(IMP-2) 스킬을 가진 트루퍼는 임퍼스네이션-1(IMP-2) 상태로만 배치될 수 있습니다.
▶ WIP 굴림을 하는 것으로 상대 배치 구역 내부에 배치될 수 있습니다.
▶ 보유자와 설치 무기, 장비를 모두 테이블에 놓은 이후, WIP 굴림을 수행합니다.
▶ 굴림이 실패한다면, 해당 트루퍼의 모델을 자신의 배치구역의 테이블 엣지에 붙인 채로 놓아야 합니다. 추가로, 굴림이 실패하고 나서는 마커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선택지를 사용할 수 없으며, 모델로 배치되어야만 합니다. 같이 놓았던 설치 무기, 장비는 모두 테이블에서 제거합니다.
▶ 보유자는 적과 중립적인 모델, 마커, 토큰, 미션 목표에 실루엣 컨택을 한 채로 배치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어떤 스킬을 가지고 있더라도, 트루퍼는 적이나 중립 모델, 마커, 토큰, 미션 기물과 접촉해서 배치할 수 없습니다.

1.27. 임페추어스(Impetuous)

성급한 병사는 항상 전투 속으로 뛰어들기를 갈망합니다: 더 가깝게 다가가, 더 심하게 상처를 입힐수록 좋습니다.
임페추어스(Impetuous)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임페추어스 페이즈(Impetuous Phase),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택티컬 페이즈에, 이 스킬을 가진 모든 트루퍼에 임페추어스 토큰을 놓습니다. 해당 트루퍼가 활성화될 때, 토큰을 제거합니다. 임페추어스 페이즈가 끝날 때, 활성화하지 않고 남아있는 모든 임페추어스 토큰을 제거합니다.
▶ 임페추어스 페이즈에, 플레이어는 오더를 사용할 필요 없이, 각 임페추어스 트루퍼를 한번씩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트루퍼 옆에 놓인 임페추어스 토큰을 제거하는 것을 오더를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해, 일반적인 오더 사용 순서를 따라 진행합니다.
제한: 임페추어스로는 고정된 스킬 조합만 사용 가능합니다.
▪ 무브 + 근접공격
▪ 무브 + 사격
▪ 무브 + 닷지
▪ 무브 + 아이들
▪ 무브 + 무브
▪ 점프
▪ 클라임
▪ 버서크
▪ 공수 배치(Airborne Deployment) 라벨의 스킬
▪ 임페추어스로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된 스킬
제한: 임페추어스 페이즈에, 이동기(Movement) 라벨이 붙은 스킬을 사용할때는 반드시 MOV 값의 전부를 사용해서, 아래 목록 중 먼저 만족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움직여야 합니다.
▪ 무브로 적에게 실루엣 컨택.
▪ 무브 시작 지점에서 되돌아가는 움직임 없이 적의 배치 구역까지 이동. 아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1. MOV 전부를 사용해야 합니다.
→ 2. 적 배치구역과 최대한 가까운 지점에서 무브를 마쳐야 합니다.
→ 3. 적 배치구역으로 더 가까이 갈 수 없다면, 아이들을 사용해야만 합니다.
▪ 적 배치구역 내부에 있는 한 평소대로 이동을 진행합니다.
▶ 트루퍼는 적과 실루엣 컨택을 하거나, 지형 효과의 부정적 영향을 받거나, 점프, 클라임을 선언해야할 때만 MOV 수치보다 짧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임페추어스 페이즈에는 무브, 점프, 클라임을 선언할 때, 트루퍼는 프론 상태를 해제하고 MOV값의 전부를 사용해 이동해야 합니다. 이동의 끝에 프론상태가 될 수 없습니다.
제한: 트루퍼는 마커 상태(카모플라주, 임퍼스네이션 등..)에 진입할 수 없고, 임페추어스는 진입할 수 없다고 명시된 모든 상태에 진입할 수 없습니다.
▶ 리트릿! 상황인 플레이어는 자신의 턴에 임페추어스 페이즈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1.28. 인필트레이션(Infiltration)

이 스킬 보유자는 침투 기술 훈련 덕분에 배치 구역의 한계를 넘어 배치될 수 있습니다.
인필트레이션(Infiltration)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상급 배치(Superior Deployment),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배치 페이즈 동안, 보유자는 플레이어의 테이블의 자기 진영쪽 절반 구역 내 어디에나 배치될 수 있습니다.
▶ 인필트레이션 굴림에 성공하는 것으로 상대방 테이블 구역에 배치될 수도 있습니다.
▶ 인필트레이션 스킬로 상대방 배치 구역 안에 배치될 수 없습니다.
인필트레이션 굴림(Infiltration Roll)
▶ 인필트레이션 굴림은 상대방 테이블 구역으로 침투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이 굴림은 PH-3에 대한 노멀 굴림입니다. 만약 유닛 프로필에 인필트레이션(PH=X)과 같이 괄호 안에 PH 값이 명시되어 있다면, 해당 PH 값을 사용하여 인필트레이션 굴림을 수행합니다.
▶ 보유자와 배치 가능한 무기/장비를 테이블에 놓은 후, 인필트레이션 굴림을 수행해야 합니다.
인필트레이션 굴림 실패: 굴림에 실패하면, 보유자는 자신의 배치 구역 내, 테이블 엣지에 붙여서 배치되어야 합니다. 추가로, 굴림 실패 후, 보유자는 마커 상태 또는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선택지를 잃고 항상 모델 상태로 배치됩니다. 함께 배치했던 배치 가능한 무기/장비는 게임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어떤 스킬을 가지고 있더라도, 트루퍼는 적이나 중립 모델, 마커, 토큰, 미션 기물과 접촉해서 배치할 수 없습니다.
예시
인필트레이션, 카모플라주, 마인레이어 스킬과 쇼크 지뢰를 가진 트루퍼가 상대방 테이블 구역에 배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진행합니다.
▶ 마인레이어 규칙에 따라 상대방 테이블 구역에 카모플라주(-3) 마커를 2개 놓습니다.
▶ 마커들이 서로의 ZoC 안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 이 경우 PH 속성 -3과 동일한 성공값으로 인필트레이션 굴림을 합니다.
인필트레이션 굴림에 실패하면, 트루퍼는 플레이어의 배치 구역 내, 테이블 가장자리에 닿도록 모델 상태로 배치되며, 배치하려던 쇼크 지뢰는 게임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만약 트루퍼가 인필트레이션(PH=18) 특수 스킬을 가지고 있다면, 인필트레이션 굴림(PH-3)의 성공값은 15 (18-3=15)입니다.
룰북 원문


인피니티를 대표하는 스킬 중 하나로, 게임을 시작할때 배치제한을 무시할 수 있게 해주는 스킬. 맵 절반까지는 조건없이 배치할 수 있고, PH-3 굴림에 성공한다면 상대 배치구역을 제외한 맵 너머까지도 배치할 수 있다.

다만 PH-3 굴림의 성공확률이 높지 않은데 비해, 카모플라쥬가 벗겨지고 맵 가장자리에 배치가 강제되는 등 실패페널티가 커서 보통 굴림에 +6 보너스가 붙지 않는 이상 얌전히 자기편 절반에 배치하는 편이다.

맵 중앙에 미션기물들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 인피니티의 특성상, 보통 인필을 보유하고 있는 스커미셔들이 서로 미드라인을 확보하기 위해 싸우며 본대의 진격로를 개척하는게 오프닝 게임의 상당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좋은 인필트레이트 모델 보유 여부는 팩션의 티어를 계측하는 하나의 척도가 되기도 한다.

1.29. 인스파이어링 리더십(Inspiring Leadership)

이 특수 스킬은 부대 전체의 행동을 사용자의 규율과 정신 상태에 연결시킵니다.
인스파이어링 리더십(Inspiring Leadership)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요구 사항
▶ 인스파이어링 리더십의 효과를 적용하려면, 사용자는 아미의 장교여야 하고, 게임 테이블에 배치되어 있어야 하며, 무력화(Null) 상태(언컨셔스, 데드, 셉시터라이즈드 등)가 아니어야 합니다.
효과
▶ 오더를 제공하는 아미 리스트의 모든 트루퍼는 레귤러 훈련 특성을 가집니다.
커리지 특수 스킬을 가집니다. (릴리저스 트룹은 이 효과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 사용자를 포함하는 합동 오더를 선언할 때, 특수 장교 오더만 사용하고, 지휘 토큰이나 추가 오더 소모 없이 가능합니다.
▶ 사용자가 모든 구성원이 이미 유닛 프로필에 레귤러 훈련 특성을 가진 파이어팀에 속해 있다면, 코헤런시 체크 시 팀 리더의 구역에 +2인치 보너스를 적용합니다.
▶ 부대는 후퇴! 규칙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후퇴! 상황에 절대 빠지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보유자가 장교일 경우 모든 이레귤러 오더 모델들을 레귤러로 바꿔주고, 합동 오더를 루테오더만 소모해서 공짜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킬.

이레귤러 오더를 레귤러로 바꾼다는 효능 자체가 매우 압도적이고, 합동 오더를 공짜로 쓰게 해주는 능력도 매우 강력하다.

다만 그만큼 스킬 보유자가 인피니티 전체를 통틀어서도 한손가락에 들 정도로 희귀하고, 사실상 공개루테를 쓰는것이니만큼 어떻게 장교를 보유할것인지를 잘 따져봐야한다.

1.30. 장교(Lieutenant)

이 스킬의 보유자는 플레이어가 배치한 전투 병력의 지휘관입니다.
레프티넌트(Lieutenant)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기밀 정보(Private Information),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이 스킬의 보유자는 장교 오더를 가집니다.
▶ 만약 턴의 택티컬 페이즈 동안, 장교가 고립 상태이거나 어떠한 무력화(Null) 상태(언컨셔스, 데드 등)이거나 테이블에 배치되지 않았다면, 장교 상실 규칙이 적용됩니다.
▶ 이 스킬은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가 되더라도 새로운 장교가 임명될 때까지 활성 상태를 유지합니다. 새로운 장교가 임명되면 이 스킬의 보유자는 스킬을 잃습니다.
▶ 새로운 장교가 임명될 때(장교 상실, 체인 오브 커맨드 등), 이들은 추가 능력이 없는 장교 특별 스킬을 얻습니다.
▶ 유닛 프로필에 이 스킬에 추가 능력들이 명시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커맨드 토큰: 이 트루퍼를 장교로 선택한 플레이어는 게임 동안 커맨드 토큰을 하나 더 가집니다.
+1 오더: 이 장교는 매 턴 장교 오더를 하나 더 가집니다.
▪ 플레이어의 아미 리스트에 장교 특별 스킬을 가진 트루퍼가 포함되는 것은 필수입니다.
▪ 플레이어의 아미 리스트에는 이 스킬을 가진 트루퍼를 두 명 이상 포함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1.31. 리미티드 커버(Limited Cover)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이 트루퍼는 부분 엄폐로 인한 사격 보정치를 받을 수 없습니다.
리미티드 커버(Limited Cover)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이 트루퍼를 대상으로 한 공격은 부분 엄폐로 인한 -3 BS 보정치를 적용받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임페츄어스가 있으면 커버가 자동으로 압수되던 N4와 달리, N5에서는 커버 관련 페널티가 단계적으로 적용되게 되었다. 다만 아머 보너스보다 BS 페투페 보정치가 더 중요시되는 인피니티 특성상, 노 커버가 아니라 리미티드 커버라고 사격전을 시도하는건 결국 별로 추천되지 않는 편. 노커버보단 낫다 정도로 생각하자.

1.32. 막스맨십(Marksmanship)

이 스킬의 보유자는 뛰어난 명사수로, 어려운 거리에서도 정확하게 사격합니다.
막스맨십(Marksmanship)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요구 사항
▶ 보유자는 사격을 선언할 경우에만 이 스킬의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효과
▶ 이 스킬의 보유자는 부분 커버와 나노스크린으로 인해 발생되는 부정적인 BS 보정을 무시합니다.
룰북 원문

상대의 커버로 인한 BS 페널티 -3을 무시하게 해주는 심플하고도 매우 강력한 스킬. 대부분의 사격전은 서로 커버를 끼고 싸우는것을 전제로 하는 인피니티 게임 특성상, 실질적 BS+3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강력한 효과를 자랑한다. 그러면서도 BS 3 올리는데 소요되는 포인트와 비교하면 엄청나게 싸서, 농담반 진담반으로 코벨이 모델 팔아먹고 싶으면 붙여주는 스킬이라는 소리까지 듣는 효자 스킬이다.

1.33. 무술(Martial Arts)

근접전 전문 특수 기술을 가진 이들은 탁월한 전투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무술(Martial Arts)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CC 특수 스킬(CC Special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액티브 턴 또는 리액티브 턴에, 이 트루퍼는 목표와 실루엣 컨택을 하거나 도달해야 하며, CC 공격을 선언해야 합니다.
효과
▶ 무술의 각 레벨은 CC 시 특정 보정치와 이점을 제공하며, 무술 차트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 트루퍼의 유닛 프로필에는 트루퍼가 보유한 무술 레벨이 명시됩니다. 보유한 레벨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술 차트
레벨공격 보정치상대 보정치연사 보정치
10-30
2+3-30
3+3-3+1SD
4+3-3+1B
5+3-3+1B, +1SD
▶ 공격 보정치: CC 공격 시 사용자의 CC 능력치에 적용되는 보정치.
▶ 상대 보정치: 대면 굴림 시 적의 능력치에 적용되는 보정치.
▶ 연사 보정치: CC 공격 시 사용자의 CC 무장의 연사(B) 값에 적용되는 보정치.
“+1 SD” 보정치는 주사위를 하나 더 굴리고, 그 후 굴림에서 주사위 하나를 선택하여 버릴 수 있게 합니다.
무술 차트의 모든 보정치는 액티브턴과 리액티브 턴 모두에 적용됩니다.
룰북 원문


근접전을 시도했을때 자동으로 적용되는 보정치. 2레벨만 되도 사실상 CC+6에 가깝고, 3레벨부터 제공되는 주사위 갯수 보너스는 비무술가가 무술가 상대로 근접전을 이기기 매우 어렵게 만들어준다. 근접전을 시도할 생각이 있다면 사실상 필수 스킬에 가까운 위치

1.34. 메타케미스트리(Metachemistry)

이 특수 기술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전투 약물 처리를 나타내는 무작위적인 이점과 특수 기술을 제공합니다.
메타케미스트리(Metachemistry)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메타케미스트리 스킬을 가진 트루퍼를 모델로 배치할 경우, 즉시 메타케미스트리 굴림을 해서 메타케미스트리 차트에 따른 추가 보정치나 스킬을 얻습니다.
▶ 메타케미스트리 차트로 얻은 스킬은 트루퍼의 스킬 항목에 추가됩니다. 기존 스킬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메타케미스트리 차트
굴림항목굴림항목
1-3+3 PH15NWI
4-5슈퍼 점프16+1 ARM + 이뮤니티(ARM)
6-7리제네레이션17도기드 + 이뮤니티(인핸스드)
8-10클라이밍 플러스18MOV: 6-4 + 슈퍼 점프
11-12MOV: 8-419MOV: 8-4 + 클라이밍 플러스
13-14+6 BTS20+3 PH + 리제네레이션
룰북 원문

비슷한 포지션인 부티 스킬이 무작위 장비를 지급해준다면, 이쪽은 무작위 스킬 혹은 능력치 향상을 지급하는 스킬.

능력치에 따라 꽝 취급인 장비가 은근히 많은 부티와 달리(사격전 모델에게 근접전용 장비가 지급된다거나), 최소한의 효용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부티보다 더 좋은 평을 받는다. 부티와 같이 '배치 후'에 주사위를 굴리기 때문에 무작위 스킬의 포텐셜을 최대한 뽑는 장소를 찾기가 힘든게 난점.

1.35. 미메티즘(Mimetism)

이 특수 기술은 군인이 주변 환경과 섞여들고 은밀하게 움직이며, 은신 능력을 사용하는 기술을 나타냅니다.
미메티즘(Mimetism)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부정적 피드백(NFB, Negative Feedback),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적이 이 스킬 보유자에게 LoF가 필요한 사격이나 발견을 선언할 경우, 공격자는 해당 스킬의 괄호 안에 표시된 추가 마이너스 보정치를 적용해야 합니다. 미메티즘(-3), 미메티즘(-6) 등.
▶ 미메티즘 보정치는 CC 공격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인피니티는 서로의 주사위값을 비교하는 페투페 시스템을 차용한 만큼, 상대의 BS를 깎아버리는 미메티즘은 의미가 크다. 특히 미메티즘-6은 멀스바가 없다면 정면 사격전으로 걷어내기는 포기해야 할 정도. 다만 강력한 스킬인건 분명하지만, 화염방사기를 비롯한 템플릿 무기, 근접전, 지뢰 등 미메티즘을 우회해서 잡을 수단은 많으므로 미메티즘 하나만을 믿고 노출된 공간에 배치하는것은 가급적 지양하는것이 좋다.

1.36. 마인레이어(Minelayer)

이 특수 기술의 보유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뢰나 다른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를 근처에 배치하여 배치 지점을 확보함으로써 적 트루퍼의 접근을 막을 수 있습니다.
마인레이어(Minelayer)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가 배치될 때 적 트루퍼나 카모플라주 마커가 해당 무기 또는 장비의 격발 구역(trigger Area) 안에 없어야 합니다. 패리미터 무기인 경우, ZoC 안에 없어야 합니다.
▶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의 배치는 일반적인 배치 규칙을 따라야 하며, 항상 마인레이어 트루퍼가 배치될 수 있는 구역 내에 있어야 합니다.
효과
이 스킬의 보유자가 배치될 때, 해당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를 자신의 ZoC 안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 해당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가 소모성(Disposable) 트레잇을 가지고 있다면, 사용 가능한 총 횟수에서 차감됩니다.
▶ 사용자가 상급 배치(Superior Deployment) 라벨이 있는 특수 기술을 사용하여 배치하고, 배치 굴림에 실패하면, 해당 특수 기술에 표시된 효과 외에, 마인레이어는 설치형 무기 또는 장비를 잃게 되며, 소모성(Disposable) 트레잇이 있는 경우 사용 가능한 총 횟수에서 차감됩니다.
▶ 이 특수 기술 이름 뒤 괄호 안에 1보다 큰 값이 나열되어 있으면, 이 값은 사용자가 배치될 때 ZoC 안에 배치할 수 있는 무기 또는 장비의 수입니다.
룰북 원문


보유하고 있는 지뢰, 설치형 리피터 등 각종 설치무장들을 하나 소비하여 게임 시작때 배치하고 시작할 수 있게 해주는 스킬.

일단 무언가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오더를 기본적으로 하나 절약시켜줄 뿐더러, 후턴이 잡힌 경우에도 기본적인 방어선을 깔고 시작하기 때문에 로스터의 안정성이 크게 올라간다.

특히 카모플라주를 보유하고 있는 스커미셔들이 인필트레이트 스킬과 함께 들고오는 경우, 같이 깔린 지뢰와 스커미셔 본체를 구분하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함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다만 카모플라주가 없이 단순히 마인레이어만 들고 오는 경우, 본체의 설치장비는 공개정보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무엇을 까는지 고스란히 노출된다는 점에 주의

1.37. 네모니카(Mnemonica)

네모니카는 EI 위상들만이 보여주는 능력으로, 부두테크의 끔찍한 정교함을 더욱 증명합니다. 이는 위상의 물리적 형태 파괴 시 아군 함선의 큐브로 점프할 수 있게 합니다.
네모니카(Mnemonica)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이 스킬을 사용하려면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여야 합니다.
효과
▶ 보유자는 자신의 WIP 능력치와, 네모니카 스킬을 자신의 아미의 다른 트루퍼에게 전이시킬 수 있습니다. 대상은 전장에 마커 혹은 모델로 배치되어 있어야 하고, 큐브를 보유하거나 REM 타입이어야 합니다. 만약 보유자가 장교 스킬을 보유하고 있었을 경우, 장교 스킬과 장교 부가효과(+1 장교오더) 등도 전이됩니다.
▶ 숙주의 WIP 값은 보유자의 WIP값으로 대체됩니다.
▶ 네모니카 트루퍼가 장교였다면, 숙주가 새로운 장교가 됩니다.
▶ 전이는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에 들어간 오더의 끝에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 플레이어는 어떤 모델이나 마커가 새로운 숙주인지 알려야 합니다. 하지만, 장교 스킬의 전이 여부는 기밀 정보이기 때문에 알리지 않습니다.
▶ 전이가 완료되면, 기존 보유자는 데드 상태가 되어 게임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새로운 숙주가 무력화(Null) 상태가 되면, 원래 사용자의 WIP 값, 므네모니카 특수 기술, 장교 특수 기술을 동일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다른 아군에게 다시 전송할 수 있습니다.
▶ 또한, 네모니카를 가진 트루퍼는 큐브를 가진 것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고립(isolated) 상태는 무력화(null)상태가 아닙니다. 따라서, 네모니카를 발동시키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1.38. 모르포-스캔(Morpho-Scan)

모르포-스캔은 ZoC 안에 있는 적 모델의 능력치 값을 복제할 수 있게 합니다.
모르포-스캔(Morpho-Scan)
숏 스킬(Short Skill)
통신 공격(Comms Attack), 굴림 없음(No Roll), 선택 적용(Optional), ZoC (Zone of Control)
요구 사항
▶ 대상은 VITA 능력치를 가진 적 모델이어야 하며, 사용자의 ZoC 안에 있어야 합니다.
▶ 모르포-스캔은 적 마커나 STR 능력치를 가진 적 트루퍼에게는 효과가 없습니다.
효과
▶ 이 스킬은 굴림이 필요 없습니다.
▶ 모르포-스캔은 보유자의 MOV, CC, BS, PH 능력치 값을 대상의 능력치 값으로 대체합니다.
▶ 모르포-스캔을 막기 위해서 상대는 -9 보정치를 받고 리셋 ARO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대상의 종류(LI, MI, HI 등)나 모르포-스캔이 대상의 LoF 밖에 선언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적용됩니다.
▶ 이 특수 기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해 보유자의 능력치 값이 대상의 능력치 값으로 대체된 후, 게임 도중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1.39. 내추럴 본 워리어(Natural Born Warrior)

이 CC 스킬을 가진 병사들은 훌륭한 전사로, 근접전 시 적들이 자기에게 먹이는 마이너스 보정치를 무효화할 수 있습니다.
내추럴 본 워리어(Natural Born Warrior)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CC 특수 스킬(CC Special Skill)
요구 사항
이 스킬은 아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할 때 발동합니다:
▶ 보유자가 CC 어택의 대상자가 되었을 때, CC 어택을 선언해야 합니다.
효과
▶ CC 대면 굴림 도중, 보유자는 상대가 부여하는 모든 마이너스 보정치를 무시합니다.
시빌라의 조언
▪ 내추럴 본 워리어가 만약 서프라이즈 어택, 무술 3레벨, CC 어택 -3, PARA CCW(-3)을 모두 동시에 보유한 트루퍼에게 CC 공격을 당한다고 하더라도, 어떤 마이너스 보정치도 받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무술의 카운터격 스킬이었던 n4에서 살짝 변경되어, 본인의 CC값에 페널티를 받지 않는 스킬이 되었다. 무술도 상대방 -3 페널티가 있는만큼 일정 부분 카운터 역할은 그대로 해줄 수 있으나, 주사위 갯수를 늘려주는 3단계 이상의 고급 무술가 대상으로는 좀 개기기 힘들어졌다. 고급 무술가의 카운터 역할이었던 스킬에서 리모트의 파라CC무기 등을 카운터 치는 스킬로 변경된 편에 가깝다.

1.40. NCO

이 특수 기술은 장교의 신뢰받는 부사관을 지정하며, 이들은 장교의 직접 명령 하에 작전할 수 있습니다.
NCO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이 스킬의 보유자는 장교 오더를 택티컬 오더로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 특수 기술은 NCO와 장교가 같은 전투 그룹에 속해 있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만약 이 스킬을 가진 트루퍼가 파이어팀의 구성원이고, 팀 리더인 경우, 택티컬 오더로 파이어팀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룰북 원문


장교의 오더를 본인이 레귤러 오더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능력. 사용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주로

1. 장교오더를 복수 제공하지만 몸이 약해 본진에 있어야 할 경우 장교오더를 전투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
2. 장교가 본인이 직접 장교오더를 쓰는것과 달리, NCO를 통해 사용하면 누가 장교인지 드러나지 않음
3. 파이어팀에 소속되있는 장교가 장교오더를 쓰면 파이어팀이 깨지지만, NCO를 통해 사용하면 파이어팀이 유지가 됨

등의 이유로 채용되곤 한다. 본인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좋은 장교가 팩션에 있냐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 스킬

1.41. 뉴로시네틱스(Neurocinetics)

이 특수 기술을 보유한 트루퍼는 강화된 반응 임플란트를 가지고 있어, 더 나은 반응 능력을 제공합니다.
뉴로시네틱스(Neurocinetics)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액티브 턴 동안, 이 트루퍼의 모든 사격 무장의 연사(B) 값은 1로 감소합니다.
▶ 리액티브 턴 동안, 뉴로시네틱스는 트루퍼가 자신의 사격 무장의 전체 연사(B) 값을 단일 목표에 대해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연사(B) 보정치는 리액티브 턴에만 적용됩니다.
룰북 원문

액티브턴에도 자기 B로 쏠 수 있는 토탈리액션의 하위호환격 기술. N5에서 파이어팀 포탑 구성이 많이 너프되면서 ARO를 적극적으로 하고 싶다면 채용해볼만한 스킬. 다만 SWC를 먹는 유닛이 액티브 턴에 잉여가 되는건 꽤 부담스럽기 때문에 아무 고민없이 넣을 수 있는 스킬은 아니다. 로스터 빌딩 단계에서 명확한 목적성이 있는 경우에만 넣는걸 권장

1.42. 노 커버(No Cover)

다양한 이유(민첩성, 크기, 훈련 등)로 인해, 이 트루퍼는 부분 엄폐로 인한 어떤 보정치도 받을 수 없습니다.
노 커버(No Cover)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이 특수 기술을 가진 트루퍼는 모든 부분 엄폐 보정치를 받을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임페츄어스를 보유하고 있는 모델들 중에서도 매우 저돌적인 유닛들이 리미티드 커버 대신 노 커버를 받는다.

커버 보너스를 받을 수 없다는건 사격전에서는 우위를 점하기 매우 힘들다는 뜻이므로 매우 큰 페널티이나, 막상 이 스킬 보유자들은 태반이 근접전 지향 모델이거나, 값싸게 상대와 교환하게 위한 템플릿 무기를 들고 나오는 편이므로 쓰고 버린다는 감각으로 사용하자.

대신 나노스크린 보유자들이 중복커버를 받는걸 방지하기 위해 노커버를 함께 들고 나오는데, 이 경우는 사실상 상시 커버를 받는다에 가까운 개념이므로 이런 모델들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1.43. 노 운드 인캐퍼시테이션(No Wound Incapacitation)

이 특수 기술을 가진 트루퍼는 부상이나 전투 피해에 대한 내성이 높습니다.
노 운드 인캐퍼시테이션(No Wound Incapacitation)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액티브 턴, 혹은 리액티브 턴에 트루퍼가 언컨셔스 상태가 될 때, 해당 모델을 소유한 플레이어가 NWI 스킬 사용을 선언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효과
▶ NWI 스킬을 사용 중인 트루퍼는 아래와 같은 특수 규칙을 가집니다:
▪ 트루퍼에게 언컨셔스 토큰을 놓는 대신 NWI 토큰을 놓습니다.
▪ NW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트루퍼가 언컨셔스 상태에 진입할 때, 반드시 사용 선언을 해야합니다.
▪ 해당 트루퍼는 언컨셔스 상태의 모든 효과와, 무력화(Null) 라벨을 무시하고, 정상 상태인 것으로 간주합니다.
▪ 트루퍼가 또 다른 피해를 입게 된다면, 즉시 데드 상태가 되고,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이 스킬은 어떤 자동 적용 스킬이나 자동 적용 장비에도 간섭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관련 룰들이 정상적용 됩니다.
▶ NWI 적용 중인 트루퍼는 회복될 수 있습니다. (닥터, 메디킷, 리제네레이션 등..) 회복 이후, 정상상태가 되면 NWI 토큰을 제거합니다.
▶ 만약, NWI 적용 중인 트루퍼를 회복하기 위한 굴림이 실패한다면, 트루퍼는 즉시 데드 상태가 되고 게임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 리모트 프레센스와 STR 능력치를 가진 트루퍼는, 언컨셔스의 몇 단계로 진입하건 상관없이 NW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이미 언컨셔스였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쇼크탄은 이 스킬을 사용하는 트루퍼의 언컨셔스 상태를 해제하고, 즉시 데드 상태로 만듭니다.
룰북 원문

1.44. 논-해커블(Non-Hackable)

기술 시스템이 너무 낙후된 이 트루퍼는 해킹에 적합한 대상이 아닙니다.
논-해커블(Non-Hackable)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이 스킬의 보유자는 특정 유닛 유형(HI, REM, TAG 등)을 요구하는 해킹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 이 스킬은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가 되더라도 계속 활성 상태를 유지합니다.
룰북 원문

아리아드나의 HI(중보병)등이 주로 들고 오는 스킬. 해킹이 안되는 이유는 너무 낡아서(...)이다.

HI들이 늘 꺼리는 오블리비언, 카보나이트 등의 강력한 프로그램에서 면역 상태로 만들어주는 스킬이지만, 스팟라이트처럼 병종 구분 없이 모두에게 걸 수 있는 프로그램에는 그대로 걸리므로 입문 단계때 헷갈리지 말자.

1.45. 넘버 2(Number 2)

이 특수 기술의 보유자는 지휘 계통상 팀 리더 바로 다음 서열에 있는 2인자로, 팀 리더가 작전 수행 중 지휘를 할 수 없을 경우 지휘권을 인수할 수 있습니다.
넘버 2(Number 2)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보유자가 파이어팀 구성원이어야 합니다.
▶ 소속된 파이어팀의 파이어팀 리더가 고립(Isolated) 혹은 무력화(Null) 상태에 진입해야 합니다.
효과
▶ 보유자가 즉시 해당 파이어팀의 파이어팀 리더가 됩니다. 파이어팀 리더 토큰을 옆에 놓습니다.
▶ 이전 파이어팀 리더가 고립(Isolated) 혹은 무력화(Null) 상태에서 회복하더라도 다른 트루퍼에게 리더를 넘겨주지 않은 한 넘버2 트루퍼가 여전히 파이어팀 리더입니다.
룰북 원문

기본적으로 파이어팀은 리더가 죽을 경우 자동으로 해체되게 된다. 액티브 턴에서 교전을 담당하는건 리더이기 때문에, 의외로 리더 사망이 자주 일어나는 편인데, 재결성에 소요되는 귀중한 토큰을 아끼게 해주는 좋은 스킬. 다만 파이어팀 전원이 다 들고 있는건 포인트 누수라고 싫어하는 경우도 있는 편이다.

1.46. 파라슈티스트(Parachutist)

이 스킬을 가진 병사들은 강하 장비를 장착하고, 전장으로 직접 강하하는 투하 전술을 훈련받았습니다. 강하 지점에서 적을 기습합니다.
파라슈티스트(Parachutist)
롱 스킬(Long Skill)
공수 배치(Airborne Deployment), 기밀 정보(Private Information),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이 트루퍼는 배치 페이즈에 배치될 필요가 없습니다. 플레이어가 본인 액티브 턴에 배치를 결정하기 전까지, 이 유닛은 테이블에 배치되지 않습니다.
▶ 테이블에 없을 때, 이 병사는 택티컬 페이즈 때 오더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플레이어의 선택에 의해 전장에 투입될 때 자신의 오더를 사용해 나올 수 있습니다.
▶ 이 스킬을 사용했을 때, 배치된 모델은 엎드리거나, 적 또는 중립 모델/마커/토큰 및 어떠한 임무 목표에도 닿게 배치될 수 없습니다.
▶ 플레이어는 유닛을 테이블의 수평 표면에 배치할 수 있으나, 배치되는 표면이 유닛의 베이스 크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고, 베이스를 테이블 외곽과 붙여서 배치해야합니다.
▶ 적 배치구역 내에는 배치될 수 없습니다.
▶ 배치된 이후, 리액티브 플레이어는 이에 대해 ARO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제한: 이 스킬을 사용한 오더 동안, 보유자는 커버를 받을 수 없습니다.
▶ 임페추어스 페이즈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럴 경우 본인의 임페추어스 오더와 레귤러/이레귤러 오더를 모두 사용하게 됩니다.
▶ 테이블에 나와 있지 않았을 때도, 스킬 보유자는 코디네이트 오더로 강하가 가능합니다. 다만 이럴 경우 본인의 오더를 잃게 됩니다.
파라슈티스트 (배치 구역): 보유자는 적 배치 구역 내부에 배치될 수 있습니다.
어떤 스킬을 가지고 있더라도, 트루퍼는 적이나 중립 모델, 마커, 토큰, 미션 기물과 접촉해서 배치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컴뱃점프와 함께 인피니티의 공수부대를 상징하는 유이한 스킬.

컴뱃점프와 달리 맵 가장자리에서만 튀어나올 수 있지만, 대신 컴뱃점프와 달리 주사위 굴림을 요구하지 않고 확정적으로 강하할 수 있다.

누가 누구의 상위호환이라기보다는 상호호환에 가까운 스킬로, 실제로 컴뱃점프와 파라슈티스트를 둘다 들고 나오는 강하병들도 많은편. 맵 배치상황을 보고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

기본적으로는 상대 배치구역에는 배치할 수 없으나, 일부 고급 강하병들이 보유하고 있는 파라슈티스트(디플존) 스킬의 경우 말 그대로 상대방의 뒤통수에 유닛을 강하시킬수있어, 이를 의식하고 있지 못한 상대한테 일방적으로 총알을 퍼부어줄수있는 매우 강력한 스킬.

1.47. 패러메딕(Paramedic)

패러메딕은 현장에서 부대원에게 응급 처치를 제공합니다.
패러메딕(Paramedic)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패러메딕은 언컨셔스 상태인 아군을 회복시키기 위한 메디킷을 장비하고 있습니다.
룰북 원문

메디킷을 들고 나오는 의무병. 다만 메디킷의 회복효과를 보고 채용하기보다는 값싼 미션러너라는거에 주목되서 채용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

1.48. 퍼리페럴(Peripheral)

퍼리페럴은 자체적으로 오더를 기여하거나 소모할 수 없으므로 아미 리스트에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특수 범주의 트루퍼입니다. 퍼리페럴은 의존하는 트루퍼인 컨트롤러가 오더를 소모할 때 활성화되어 컨트롤러의 행동을 복제합니다.
퍼리페럴(Peripheral)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아미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각 전투 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트루퍼 수를 결정할 때, 컨트롤러와 모든 퍼리페럴은 하나의 트루퍼로 계산됩니다.
▶ 퍼리페럴은 해당 퍼리페럴 유형에 대한 규칙이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컨트롤러와 동시에 게임 테이블에 배치됩니다.
▶ 컨트롤러가 배치 페이즈 이후에 배치할 수 있는 배치 스킬을 가지고 있지만, 퍼리페럴이 해당 스킬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이 퍼리페럴은 배치 페이즈 동안 배치되며 컨트롤러가 게임 테이블에 배치되어 해당 퍼리페럴 유형의 작동 거리 내로 이동할 때까지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 퍼리페럴은 컨트롤러와 동일한 오더로 항상 활성화되며, 컨트롤러와 동일한 숏 스킬이나 롱 스킬을 실행하지만, 동일한 대상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 게임 요소(컨트롤러 또는 퍼리페럴) 중 하나가 컨트롤러가 선언한 오더의 스킬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한 게임 요소는 대신 아이들(Idle)을 수행합니다.
▶ ARO를 선언하는 트루퍼는 컨트롤러 혹은 퍼리페럴 중 하나의 대상만을 상대로 ARO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여러 ARO가 같은 대상을 선택할 필요는 없습니다.
▶ 리액티브 턴에는 컨트롤러와 퍼리페럴이 각자 ARO를 합니다. 하지만, 다른 규칙에서 명시하지 않은 이상, ARO로 동일한 스킬을 선언해야 합니다.
▶ 근접전에서는 다수 트루퍼와의 근접전에 설명된 규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 컨트롤러가 무력화(Null) 상태 또는 고립(Isolated) 상태에 진입하면, 퍼리페럴은 해당 오더의 끝에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에 진입합니다.
▶ 퍼리페럴이 고립(Isolated) 상태에 진입하면, 해당 오더의 끝에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에도 진입합니다.
▶ 프로필에 포인트 비용이 있는 퍼리페럴은 승점, 작전 구역 통제 등에 포함됩니다. 총 유닛 비용에는 퍼리페럴이 포함되므로, 유닛의 항목별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퍼리페럴의 값을 차감해야 합니다.
▶ 컨트롤러가 시나리오 조건이나 스킬로 인해 임페추어스 특수 기술을 가지고 있거나 얻게 되면, 컨트롤러의 퍼리페럴도 영향을 받습니다.
제한: 퍼리페럴과 컨트롤러는 합동 오더의 일부가 될 수 없으며 어떤 종류의 파이어팀이라도 구성원이 될 수 없습니다.
▶ 컨트롤러와 퍼리페럴은 항상 동일한 그룹에 속합니다. 플레이어가 컨트롤러를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키면, 모든 퍼리페럴도 함께 이동됩니다.
▶ 플레이어가 컨트롤러에게 MOD나 상태를 부여하는 해킹 프로그램(예: 사이버마스크)을 활성화하면, 해당 MOD나 상태는 퍼리페럴에게도 적용됩니다.
▶ 퍼리페럴 특수 기술은 보유자가 무력화(Null) 상태가 되더라도 계속 활성 상태를 유지합니다.
▶ 퍼리페럴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 고유한 특징을 가집니다:
퍼리페럴(서번트)
닥터 또는 엔지니어 특수 기술을 가진 트루퍼만이 퍼리페럴(서번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퍼리페럴(서번트)와 컨트롤러 간의 작동 거리는 제한이 없습니다.
제한: 컨트롤러는 최대 두 개의 퍼리페럴 (서번트)를 조종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이전 조건을 적용하여 한 번에 하나만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한편, 다른 퍼리페럴(서번트)는 비활성 상태가 됩니다.
퍼리페럴 (서번트)와 닥터/엔지니어
▪ 이 특수 기술은 컨트롤러가 닥터 또는 엔지니어인 경우, 목표와 실루엣 컨택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자신의 특수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퍼리페럴이 아군 모델과 실루엣 컨택 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는 해당 모델을 대상으로 닥터/엔지니어 스킬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닥터/엔지니어 스킬을 사용하면 대상과 실루엣 컨택한 병사가 퍼리페럴(서번트)이더라도 닥터/엔지니어가 WIP 롤을 수행하게 됩니다.
▪ 닥터/엔지니어 스킬은 오더 당 하나의 대상을 상대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
▶ 각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는 컨트롤러와 코헤런시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플레이어는 오더와 ARO의 시작과 끝에 코헤런시 체크를 해야합니다.
▶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 트루퍼가 코헤런시 체크에 실패하여 컨트롤러와 코헤런시가 깨지면, 선언된 이동을 측정하기 전에 즉시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에 진입합니다.
▶ 만약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의 트루퍼가 컨트롤러와의 코헤런시 체크에 성공하면,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가 즉시 해제됩니다.
▶ 만약 컨트롤러가 하나 이상의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이 스킬은 똑같이 적용됩니다. 하나의 오더로 컨트롤러와 모든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가 동시에 활성화됩니다.
퍼리페럴(컨트롤)
▶ 퍼리페럴 (컨트롤)와 컨트롤러 간의 작동 거리는 제한이 없습니다.
제한: 컨트롤러는 최대 세 개의 퍼리페럴 (컨트롤)를 통제할 수 있습니다. 이 퍼리페럴들은 컨트롤 유닛을 형성합니다.
▶ 플레이어는 컨트롤 유닛의 구성원 중 한 명을 스피어헤드로 지정하고, 그 옆에 스피어헤드 토큰을 놓아야 합니다.
▶ 각 퍼리페럴(컨트롤)은 컨트롤 유닛의 스피어헤드에 대해 코헤런시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플레이어는 오더와 ARO의 시작과 끝에 코헤런시 체크를 해야합니다.
▶ 퍼리페럴 (컨트롤) 트루퍼가 코헤런시 체크에 실패하여 컨트롤 유닛의 스피어헤드와 코헤런시가 깨지면, 선언된 이동을 측정하기 전에 즉시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에 진입합니다.
▶ 연결 끊김 상태인 트루퍼가 오더 또는 ARO 종료 시 컨트롤 유닛의 스피어헤드와 코헤런시 체크를 통과하면, 연결 끊김 상태가 즉시 해제됩니다.
▶ 컨트롤러와 퍼리페럴이 오더로 활성화될 때마다, 플레이어는 컨트롤 유닛의 구성원 중 한 명을 해당 오더의 스피어헤드로 지정하고, 그 옆에 스피어헤드 토큰을 놓아야 합니다.
▶ 스피어헤드가 무력화(Null) 상태에 진입하면, 플레이어는 즉시 새로운 스피어헤드를 지정해야 합니다.
▶ 액티브 턴에 대상을 요구하는 스킬이 선언되면, 컨트롤러와 스피어헤드만 해당 스킬을 수행하고, 컨트롤 유닛의 다른 구성원은 대신 아이들(Idle)을 수행합니다.
퍼리페럴(앤실러리)
▶ 퍼리페럴(앤실러리)와 컨트롤러 간의 작동 거리는 제한이 없습니다.
▶ 퍼리페럴(앤실러리)는 컨트롤러와 함께 게임 테이블에 배치되지 않습니다. 대신, 컨트롤러는 장비 배치(Place Deployable) 스킬을 수행하여 퍼리페럴(앤실러리)를 배치할 수 있습니다.
▶ 퍼리페럴(앤실러리)가 게임 테이블에 있고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 또는 무력화(Null) 상태가 아니라면, 컨트롤러는 합동 오더 또는 파이어팀의 일부가 될 수 없습니다. 컨트롤러가 퍼리페럴 (앤실러리)를 배치하거나, 퍼리페럴 (앤실러리)의 연결 끊김(Disconnected) 상태 또는 무력화(Null) 상태가 해제되면, 컨트롤러는 자동으로 파이어팀 소속에서 제외됩니다.
▶ 아미 리스트에 포함된 퍼리페럴은 항상 컨트롤러가 있어야 합니다.
컨트롤러와 퍼리페럴 모두 AVA 수치를 준수해야 합니다.
룰북 원문

1.49. 프로테이온(Protheion)

이 CC 특수 기술의 보유자는 근접전에서 운드를 입힐 때마다 운드를 제거하거나 VITA 능력치 값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프로테이온(Protheion)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CC 특수 스킬(CC Special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액티브 턴 또는 리액티브 턴에, 이 트루퍼는 목표와 실루엣 컨택을 하거나 도달해야 하며, 근접 공격을 선언해야 합니다.
▶ 공격 대상은 VITA 능력치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효과
▶ 근접 공격의 대상에게 입히는 각 운드 또는 수행하는 쿠데그라(Coup de Grâce)에 대해, 사용자는 자신이 받은 운드를 1개 제거합니다. 운드를 받지 않았다면, VITA 능력치 값을 1 증가시킵니다.
제한: 사용자의 VITA 능력치 값은 최대 두 포인트까지만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의 VITA 능력치가 원래 값보다 높으면, 트루퍼의 현재 VITA 능력치를 나타내기 위해 파워업 1 또는 파워업 2 토큰을 놓아야 합니다.
▶ 동일한 오더에서 여러 운드가 입혀진 경우, 사용자는 다음 순서를 따릅니다:
▪ 먼저, 입힌 운드를 사용하여 자신이 받은 운드를 제거합니다 (있는 경우).
▪ 그 후, 남은 입힌 운드를 사용하여 VITA 능력치 값을 증가시키며, 최대 두 포인트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니다.
▪ 마지막으로, 해당 오더에서 자신에게 입혀진 운드를 적용합니다.
룰북 원문

1.50. 리제네레이션(Regeneration)

재생(Regeneration)
이 특수 스킬의 보유자는 특정 조건에서 부상을 회복하거나 생존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상태 페이즈, 선택 적용
발동 (Activation)
▶ 상태 페이즈에서 플레이어가 이 특수 스킬을 사용하기로 결정하면 발동.
효과 (Effects)
▶ PH 능력치를 사용, 일반 굴림을 시행합니다.
▶ 성공하면 운드 1개를 제거하고, 만약 무의식 상태였다면 무의식 상태에서 회복합니다.
▶ 실패하면, 추가로 운드 1개를 더 받습니다.
▶ 이 특수 스킬은 사용자가 무력화된 상태여도 사용 가능합니다.
룰북 원문

매턴 시작시 운드를 입은 상태면 PH 주사위를 하나 굴려서 성공시 체력회복, 실패시 추가 데미지를 받는 스킬. 실패할 경우 추가 데미지를 받는다는 점 때문에 2운드 중보병이 1운드 까였다고 시도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이미 무력화된 모델이 공짜로 한번 시도해봐서 성공하면 좋고 실패하면 말고 정도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보통 PH값의 성공률이 60~70% 정도이므로, 쓰는 입장에서는 맨날 실패하는거 같고,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맨날 성공하는거 같은 오묘한 스킬. 체력회복 자체보다는 상대가 이 스킬 보유자를 완전히 죽이기 위해 오더를 하나 더 소모해야한다는데 의의를 두자.

1.51. 릴리저스 트룹(Religious Troop)

지도자들의 신념과 가르침은 이 병사들을 흔들림 없는 믿음을 가진 충성스러운 전사들로 만들었습니다. 이 광신도들의 열정은 동료들이 희망을 포기했을 때조차도 굳건히 버틸 수 있게 합니다.
릴리저스 트룹(Religious Troop)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Effects)
▶ 보유자는 별도의 굴림 없이 모든 거츠 롤(Guts Rolls)을 자동으로 통과합니다. 즉, 스킬 보유자가 자신의 위치를 고수해야 하며, 공격에서 살아남은 후에 뒤로 빠지거나 커버를 찾을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 보유자를 공격에서 살아남은 후 사선에서 나가거나 커버를 얻게 하고 싶다면, WIP 굴림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굴림이 성공하면, 보유자는 거츠 롤에 실패했을 때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보유자는 후퇴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후퇴 상태가 되지 않고, 게임이 끝날 때까지 정상적으로 행동합니다.
제한: 후퇴 상황이더라도, 보유자는 시나리오 규칙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스스로 테이블에서 나갈 수 없습니다.
▶ 다만, 보유자는 장교 상실 상태에는 빠집니다. 후퇴 상태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이 보기 (SEE ALSO)
후퇴 상태
룰북 원문

거츠 롤을 '실패'하고 싶다면 WIP 테스트를 해야 하는 특이한 스킬. 인피니티에서는 사실 총 맞고 살았으면 엄폐물에 숨어야하는 경우도 많아 보너스라기도 뭐하고 페널티라고 하기도 뭐한 애매한 포지션이다. 그래도 후퇴 상태에서 정상적인 싸움이 된다는건 장점.

거츠 롤 성공여부를 자의적으로 고를 수 있는 용기(courage)의 완벽한 하위호환 격 스킬.

1.52. 렘드라이버(Remdriver)

이 특수 스킬의 보유자는 같은 아미 리스트에 있는 리모트에게 보너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렘드라이버(Remdriver)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Effects)
▶ 이 스킬을 가진 유닛을 배치할 때, 플레이어는 배치된 리모트 옆에 렘드라이버 토큰을 놓습니다.
▶ 해당 리모트는 렘드라이버 스킬 보유자의 프로필에 나와 있는 보정치와 스킬을 얻습니다.
▶ 렘드라이버 토큰은 스킬 보유자가 무력화 상태에 진입하면 제거됩니다.
▶ 하나의 리모트는 한 번에 하나의 렘드라이버 토큰만 가질 수 있습니다.
룰북 원문

1.53. 리모트 프레젠스(Remote Presence)

무인 TAG나 리모트들의 고유 특징입니다. 리모트는 유사 AI와 전문적인 프로그램으로 짜여진 논리에 따라, 전장에서의 행동을 제어받습니다. TAG의 경우 보통은 인간 조종사가 타고 있지만, 리모트 프레젠스 기술은 전장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이 조종사들을 배치시킬 수 있습니다. 안전보다 성능에 중시할 수 있게 말이죠.
리모트 프레젠스(Remote Presence)
자동 스킬(Automatic Skill)
효과 (Effects)
▶ 이 스킬을 가진 유닛이 STR 수치를 사용한다면, 2개의 의식불명 상태 레벨이 추가됩니다.
▶ 보유자의 STR 속성 값만큼 운드를 받으면, 의식불명 상태에 진입합니다. 하지만 STR 값보다 1운드를 더 받더라도 평소처럼 사망(Dead) 상태에 진입하는 대신, 두 번째 의식불명 상태에 진입하며, 이 상태에서 운드를 하나 더 받아야만 사망 상태에 진입하여 테이블에서 제거됩니다. 즉, 리모트 프레젠스+STR 보유자는 속성 값보다 2개 이상의 운드를 받아야만 사망 상태에 진입합니다.
▶ 어떤 수준의 의식불명 상태에 있든 엔지니어 특수 스킬을 사용해 WIP굴림 또는 기즈모킷(GizmoKit)을 사용, PH 굴림을 통해 의식불명 상태를 해제하고 운드 하나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이 스킬 보유자를 엔지니어가 수리할 때, WIP굴림에 실패할 경우 커맨드 토큰을 써서 굴림을 다시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이 스킬은 보유자가 무력화되어도 발동 가능합니다.
같이 보기 (SEE ALSO)
▶ 스피드볼 오토리페어-S는 보유자의 의식불명 상태를 해제하는 데 필요한 모든 운드 회복이 가능합니다.
룰북 원문

소유자가 원격조종 장비임을 나타내는 스킬. 기절 2단계가 추가되어 맵에서 완전히 제거되는데 1데미지를 더 필요로 한다. 별거 아닌것처럼 보이지만 엔지니어 수리리롤 능력과 시너지 효과를 내어 토탈봇 등 거슬리는 고화력 리모트가 끈질기게 맵에 남아있게 하고, 커터같은 고화력 태그는 가능한한 기를 쓰고 시체까지 부수는 원인이 되게 한다.

특히 도기드, 엔땁 스킬과 조합될 경우 상대방 화를 돋구는데 최적화되어있는데, 기절-2단계 에서도 도기드가 사용가능하여 전투 지속능력을 징그럽게 올려주기 때문

1.54. 새퍼(Sapper)

이 특수 스킬은 사용자를 요새화된 거점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합니다.
새퍼(Sapper)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 롱 스킬(Long Skill)
선택적(Optional)
요구사항 (Requirements)
▶ 사용자가 폭스홀 상태(Foxhole State)를 활성화하는 공간은 해당 상태의 실루엣 크기와 같거나 더 큰 높이와 너비를 가져야 합니다.
▶ 그렇지 않으면 폭스홀 상태로 진입할 수 없으며, 대신 대기(Idle)를 수행합니다.
효과 (Effects)
▶ 배치 페이즈에 보유자는 폭스홀 상태로 배치되며, 옆에 폭스홀 토큰을 놓습니다.
▶ 액티브 턴에 롱 스킬을 사용하여 폭스홀 상태로 진입하고 자신의 옆에 폭스홀 토큰을 놓을 수 있습니다.
룰북 원문

게임시작시, 그리고 롱스킬 사용을 통해 참호를 파고 미메티즘(-3), 360도 시야, 용기(courage)스킬을 제공하는 폭스홀 상태에 돌입하게 해주는 스킬.

참호에서 벗어난 뒤 다시 참호를 파려면 오더를 하나 통으로 써야하는 만큼, 보통 처음 배치한 장소에서 움직이지 않은채 화력지원을 하거나 상대방의 진격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효과 자체는 꽤 좋은 축에 속하나, 정작 보유자가 그리 많지 않아 게임에서 볼일은 그리 많지 않다.

1.55. 센서(Sensor)

초고도로 발달된 감각과 정교한 추적 기술은 센서라는 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어느 쪽이든, 핵심은 동일합니다: 주변 환경 내의 숨겨진 위협을 즉시 발견하는 능력입니다.
센서(Sensor)
숏 스킬(Short Skill)
공격(Attack), 선택 적용(Optional), 존 오브 컨트롤(Zone of Control)
효과 (Effects)
▶ 센서를 선언했을 때, 스킬 보유자는 일반 WIP+6 굴림으로 자신의 존 오브 컨트롤(Zone of Control)내에 있는 모든 적, 무기 또는 장비의 히든 디플로이먼트(Hidden Deployment) 또는 카모플라주(Camouflaged) 상태에서 동시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 보유자는 대상에 대한 시야가 필요하지 않으며, 대상을 지정할 필요도 없습니다.
▶ 카모플라주(Camouflage) 특수 스킬을 가진 적은 보유자의 존 오브 컨트롤 내에서 재위장할 수 없습니다.
▶ 센서는 보유자가 카모 마커에 대해 발견을 선언할 때 WIP에 +6 보정치를 부여합니다.
룰북 원문

위장(Camouflage)를 발견하는데 보너스를 주는 스킬. 단순무식하게 발견 선언에 +6의 보너스를 주며, 시야가 나오지 않더라도 ZOC 공간에 발견을 시도해볼 수 있다.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의 모델을 꺼낼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도 하지만, 보통은 일반 발견 보너스 쪽을 더 시도해보는 편.

초보자 단계에서 많이 착각하지만, 위장 외 다른 발견을 요구하는 마커 스킬들(변장, 홀로프로젝터)등에는 어떠한 보너스도 제공하지 않으니 주의.

1.56. 샤스바스티(Shasvastii)

샤스바스티의 특성을 나타내는 종족 특수 스킬입니다.
샤스바스티(Shasvastii)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요구사항 (Requirements)
▶ 액티브, 리액티브 턴을 가리지 않고 보유자가 의식불명 상태에 진입하면 플레이어는 샤스바스티 스킬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효과 (Effects)
▶ 샤스바스티 특수 스킬 사용자는 의식불명 상태에 빠질 때 의식불명 토큰을 놓는 대신, 샤스바스티-엠브리오 토큰(Shasvastii-Embryo Token)을 놓습니다.
▶ 활성화 시점은 사용자가 의식불명 상태에 진입할 때입니다.
게임 중 : 보유자는 후퇴 상태에 필요한 아미 포인트를 계산할 때, 남아 있는 포인트에 포함됩니다.
게임 종료 시 : 보유자의 특수 기술이 사라지게 되어, 승점에는 포함되지 않게 됩니다.
룰북 원문

1.57. 식스 센스(Sixth Sense)

이 특수 스킬의 보유자는 임박한 위협을 감지하는 놀라운 본능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스 센스는 증강된 본능이거나, 정교한 탐지 스킬이거나, 의사-AI의 결과물입니다. 어쨌건 식스 센스는 트루퍼가 공격적인 수준의 위협을 감지하고, 심지어 그것들을 볼 필요 없이 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식스 센스(Sixth Sense)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Effects)
▶ 보유자의 시야 밖에 있는 적의 공격에 반응할 수 있게 합니다. 보유자의 시야각은 360°로 치며, CC에 걸린 상태여도 공격자에게 대응할 수 있게 됩니다.
▶ 보유자가 제로 비지빌리티 존 너머에서 날아온 사격의 대상인 경우, 제로 비지빌리티 존 너머의 공격에서 비롯된 -6 수정치를 무시합니다.
▶ 보유자가 닷지나 리셋을 선언했을 때는, IMM-A의 -6 보정치, IMM-B의 -3 보정치, 아이솔레이티드 상태의 -9 보정치 외 어떠한 MOD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중요 (IMPORTANT)
이 스킬 보유자에게 스텔스 스킬은 무효화됩니다.
알아두세요 (REMEMBER)
▶ 닷지에 성공하면, 실루엣 컨택트를 벗어날 수 있는 유효한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면 교전 상태를 풀어낼 수 있습니다.
같이 보기 (SEE ALSO)
컴뱃 인스팅트 스킬은 공격자의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를 무시하도록 합니다. N4에서는 이 기능이 식스 센스 특수 스킬의 일부였습니다.
룰북 원문

1.58. 스페셜리스트 오퍼레이티브(Specialist Operative)

이 특수 기술은 해당 유닛이 시나리오 목표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합니다.
스페셜리스트 오퍼레이티브(Specialist Operative)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이 스킬의 보유자는 임무 또는 시나리오 목표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필요한 스킬을 선언할 수 있게 됩니다.
▶ 이 스킬의 보유자는 시나리오에서 지정한 병종(닥터, 엔지니어 등)이 아니더라도, 스페셜리스트 트룹으로 간주됩니다.
룰북 원문

1.59. 스트래티직 디플로이먼트(Strategic Deployment)

이 특수 기술은 스킬 보유자와, 파이어팀 구성원 모두를 사용자의 배치 구역 너머로 배치할 수 있게 합니다.
스트래티직 디플로이먼트(Strategic Deployment)
배치 스킬(Deployment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배치 페이즈에 이 스킬 보유자는 파이어팀 구성원 중 가장 먼저 배치되어야 합니다.
▶ 이 스킬 보유자가 파이어팀의 파이어팀 리더로 배치되어야 합니다.
효과
▶ 배치 페이즈에, 이 스킬 보유자와 파이어팀 구성원은 포워드 디플로이먼트(+4'')가 있는 것 처럼 배치될 수 있습니다. 이 스킬 보유자를 먼저 배치한 다음, 파이어팀 구성원을 배치해야 합니다.
▶ 시나리오나 토너먼트 룰이 포워드 디플로이먼트(+4'')를 파이어팀 구성원에게 부여할 경우, 스트래티직 디플로이먼트 보유자와 파이어팀은 포워드 디플로이먼트(+8'')을 가진 것 처럼 배치할 수 있습니다.
룰북 원문

1.60. 스텔스(Stealth)

이 특수 기술의 보유자는 조용한 이동, 발각되지 않는 기술, 그리고 숨어 있다가 의심하지 않는 적에게 무자비한 근접 공격을 가하는 능력에 중점을 둔 특별 훈련을 받았습니다.
스텔스(Stealth)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이 특수 스킬의 보유자는 자신의 액티브 턴이어야 합니다.
효과
▶ 보유자는 적 모델이나 마커의 ZoC(Zone of Control) 및 해킹 구역(Hacking Zones) 안에서도 커셔스 무브먼트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 보유자가 커셔스 무브먼트, 아이들(Idle), 또는 이동기(Movement) 라벨이 있는 베이직 숏 스킬을 선언할 경우, 자신에게 LoF(Line of Fire)를 가진 적에게만 ARO(Automatic Reaction Order)를 부여합니다.
▶ 다른 스킬을 선언할 경우, ARO는 정상적으로 부여됩니다.
▶ 보유자가 LoF 없이 적과 실루엣 컨택(Silhouette contact)을 하고 다른 스킬을 선언할 경우, 해당 적은 CC 공격, 닷지, 리셋 또는 교전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킬만 선언할 수 있습니다.
알아두세요 (REMEMBER)
스텔스(Stealth)는 컴뱃 인스팅트나 식스 센스 특수 스킬을 가진 트루퍼 또는 설치형 무기나 장비에는 무효화됩니다.
룰북 원문


스텔스라고 하면 상대가 자신을 못 보는걸 생각하기 쉽지만, 이 게임에서 그 역할은 카모플라쥬 스킬이 담당하고 있다.

스텔스 스킬의 역할은 상대의 존컨 ARO를 무력화시키는 것으로, 특히 해커들이 리피터망을 펼쳐놓은 공간을 돌파하는데 많이 쓰이곤 한다.

다만 식스센스 등을 보유한 해커한테는 무효화당하고, ARO 공간 내에서 이동 외 다른 행동(ex 사격, 닷지) 등을 할 경우 스텔스를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할것

1.61. 스트라테고스(Strategos)

이 특수 스킬은 전문 전략가를 지칭합니다. 이들은 뛰어난 분석적 사고와 전쟁술 및 그 심리적 함의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진 인물들입니다.
스트라테고스 L1(Strategos L1)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이 스트라테고스 레벨의 혜택을 받으려면, 보유자는 아미의 장교여야 합니다.
효과
▶ 배치 단계에서, 2명의 트루퍼와 그들의 퍼리페럴(Peripherals)을 상대방보다 나중에 배치하도록 따로 빼놓을 수 있습니다. (기존 1명)
▶ 자신의 액티브 턴 시작 시, 오더 카운트 단계에서 장교 오더를 레귤러 오더로 대체해 장교가 속한 컴뱃 그룹에 더합니다.
스트라테고스 L2(Strategos L2)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이 스트라테고스 레벨의 혜택을 받으려면, 보유자는 아미의 장교여야 합니다.
효과
▶ 액티브 턴 택티컬 페이즈의 커맨드 토큰의 전략적 사용 단계에서, 이 스킬 보유자는 한 트루퍼를 다른 컴뱃 그룹으로 커맨드 토큰 소모 없이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 배치 페이즈에서, 2명의 트루퍼와 그들의 퍼리페럴(Peripherals)을 상대방보다 나중에 배치하도록 따로 빼놓을 수 있습니다. (기존 1명)
▶ 자신의 액티브 턴 시작 시, 오더 카운트 단계에서 장교 오더를 레귤러 오더로 대체해 장교가 속한 컴뱃 그룹에 더합니다.
룰북 원문

1.62. 슈퍼-점프(Super-Jump)

이 특수 스킬은 사용자가 점프하여 장애물을 넘거나 짧은 거리를 뛰어넘을 수 있게 합니다.
슈퍼-점프(Super-Jump)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이동기(Movement),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점프(Jump)가 오더의 첫 번째 베이직 숏 스킬(Basic Short Skill)로 선언될 경우, 롱 스킬이 아닌 베이직 숏 스킬로 변경됩니다.
▶ 슈퍼-점프 특수 스킬은 사용자가 점프하는 동안 다른 베이직 숏 스킬이나 숏 스킬(예: 점프 + 사격)을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
제한: 트루퍼는 오더 당 한 번만 점프를 베이직 숏 스킬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 이후 트루퍼가 무브(Move)를 선언할 경우, MOV 능력치의 두 번째 값을 사용합니다.
▶ 사용자가 점프(Jump)를 롱 스킬로 선언할 경우, 일반적인 점프 스킬의 2인치 대신 자신의 첫 번째 MOV 값에 4인치를 더한 만큼 점프할 수 있습니다.
제한: 점프를 선언할 때, 슈퍼-점프를 가진 트루퍼는 이동 경로의 어떤 지점에서도 부분 엄폐(Partial Cover) 보정치를 받을 수 없습니다.
▶ 해당 트루퍼가 임페추어스 상태가 되더라도(프렌지 특성 또는 다른 효과로 인해), 임페추어스 페이즈에서 슈퍼-점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일부 트루퍼는 유닛 프로필에 괄호 안에 거리가 표시된 슈퍼-점프 스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점프 시, 트루퍼는 일반적인 점프 스킬의 2인치 대신 이 거리를 점프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슈퍼-점프 (제트 추진) (Super-Jump (Jet Propulsion))
▶ 유닛 프로필에 이 스킬이 명시된 트루퍼는 점프의 궤도를 제어할 수 있어, 착지 전에 점프의 방향과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알아두세요 (REMEMBER)
슈퍼-점프를 사용할 때, 상대 플레이어가 모든 ARO를 선언할 수 있도록 트루퍼가 수행할 완전하고 정확한 궤적을 명시해야 합니다.

룰북 원문

1.63. 서프라이즈 어택(Surprise Attack)

이 특수 스킬의 보유자는 적들이 알아채지 못하게 기습적으로 공격을 선언하여 적들을 방심하게 할 수 있습니다.
서프라이즈 어택(Surprise Attack)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요구 사항
▶ 이 특수 스킬을 사용하려면, 활성화되는 오더 시작 시 트루퍼가 마커 상태(예: 카모플라주, 임퍼스네이션, 디코이, 홀로에코 등)이거나 히든 디플로이먼트 상태여야 합니다.
▶ 보유자는 CC 공격, 사격(BS Attack), 또는 통신 공격(Comms Attack)을 선언해야 합니다.
▶ 이 특수 스킬의 보유자는 자신의 액티브 턴이어야 합니다.
효과
▶ 이 공격은 대상에게 추가적인 마이너스 보정치를 부과합니다. 이는 유닛 프로필의 괄호 안에 표시됩니다 (예: 서프라이즈 어택(-3), 서프라이즈 어택(-6)...). 이 보정치는 공격 대상에게만 적용되며, 해당 대상이 ARO로 수행하는 모든 스킬 굴림에 적용됩니다.
▶ 만약 유닛 프로필에 특정 능력치(예: 서프라이즈 어택(CC-6))가 괄호 안에 명시되어 있다면, 마이너스 보정치는 공격 대상의 해당 능력치에만 적용됩니다. 이 보정치는 다른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치와 중첩되지 않습니다 (예: 트루퍼가 서프라이즈 어택(-3)과 서프라이즈 어택(CC-6)을 모두 가지고 있더라도).
제한: 트루퍼가 마커 상태로 돌아갈 때까지 이 스킬을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같이 보기 (SEE ALSO)
바이오메트릭 바이저 보유자는 임퍼스네이션 혹은 홀로에코 상태의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치를 무시합니다. 추가로, 이 상태들에게서 근접 공격을 당할 때는 시야가 없더라도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치를 무시합니다.
컴뱃 인스팅트 보유자는 공격자의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치를 무시합니다.
멀티 스펙트럴 바이저 L3 보유자는 공격자에게 시야가 있을 경우,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치를 무시합니다. 근접 공격을 당할 때는 시야가 없더라도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치를 무시합니다.
룰북 원문

1.64. 택티컬 어웨어니스(Tactical Awareness)

이 특수 스킬은 전술 환경에 대한 더 높은 지식을 정의하며,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전술 오더를 제공함으로써 더 큰 작전 능력을 부여합니다.
택티컬 어웨어니스(Tactical Awareness)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이 특수 스킬은 사용자에게 자신의 훈련 특성(레귤러 또는 이레귤러)으로 제공되는 오더 외에 추가적인 택티컬 오더(Tactical Order) 1개를 부여합니다.
▶ 오더 카운트 스텝 중, 사용자가 모델 혹은 마커로 테이블에 존재할 경우, 택티컬 오더를 사용자 옆에 놓습니다.
▶ 만약 트루퍼가 오더 페이즈에 테이블에 등장할 경우, 택티컬 오더를 사용자 옆에 놓아야 합니다.
▶ 만약 트루퍼가 파이어팀 구성원이고, 파이어팀 리더로 지정되었다면, 택티컬 오더를 파이어팀을 활성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룰북 원문

1.65. TAGCom

TACom은 TAG에게 전술적 이점과 현장 지휘관과의 긴밀한 연결을 제공하여 생존력을 향상시킵니다.
TAGCom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보유자가 테이블에 무력화(Null) 상태가 아닌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동안, 해당 컴뱃 그룹의 모든 TAG는 보유자의 유닛 프로필에 괄호 안에 명시된 보정치를 받습니다.
▶ 개별 TAGCom 보정치는 중첩되지 않으며, 플레이어는 서로 다른 보정치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룰북 원문

1.66. 터레인(Terrain)

일부 유닛은 특정 지형에서 효과적으로 이동하고 전투하는 추가 훈련을 받습니다.
터레인(Terrain)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터레인 구역의 지형 유형이 사용자의 트룹 프로필에 명시된 지형 유형과 일치해야 합니다.
효과
▶ 사용자의 MOV 능력치 첫 번째 값에 1인치 보너스가 부여됩니다.
▶ 이 보너스는 해당 지형 구역에서 이동기(Movement) 라벨이 있는 스킬을 선언할 때만 적용됩니다.
▶ 사용자는 자신의 지형 유형과 일치하는 지형 구역을 이동 제한 없이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의 터레인(Terrain) 특수 스킬에 여러 지형 유형이 괄호 안에 명시되어 있을 경우, 플레이어는 트루퍼를 게임 테이블에 배치할 때 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터레인(토탈)(Terrain (Total))을 가진 사용자는 규칙에 명시된 모든 지형 유형(아쿠아틱, 데저트, 마운틴, 정글, 제로-G)에 이 효과를 적용합니다.
룰북 원문

1.67. 토탈 리액션(Total Reaction)

이 특수 스킬을 가진 트루퍼는 ARO 시 일반보다 높은 공격 반응 능력을 지닙니다.
토탈 리액션(Total Reaction)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선택 적용(Optional)
효과
▶ 사격(BS Attack) ARO를 수행할 때, 사용자는 자신의 무기 연사(Burst, B) 값 전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B에 대한 모든 보정치도 적용됩니다.
▶ ARO는 오더로 활성화된 트루퍼 중 하나를 대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룰북 원문

1.68. 트랜스뮤테이션(Transmutation)

이 특수 스킬은 사용자가 자신의 속성과 스킬을 가진 다른 유형의 트루퍼로 변형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트랜스뮤테이션(Transmutation)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요구 사항
▶ 보유자는 스킬 옆 괄호 안에 명시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효과
▶ 트랜스뮤테이션의 다양한 유형은 트루퍼의 변형을 유발하는 원인에 따라 분류되며, 이는 강제적이거나 선택적일 수 있습니다.
▶ 모든 유닛 프로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스킬, 장비, 상태는 다른 유닛 프로필에도 적용됩니다.
▶ VITA/STR 능력치의 현재 상태는 다른 유닛 프로필과 공유합니다. 따라서, 운드를 입었다면, 다른 유닛 프로필로 변형하더라도 여전히 운드를 입은 상태입니다.
▶ 마찬가지로, 상태(States)도 해당되는 경우 다른 유닛 프로필에 공유됩니다.
트랜스뮤테이션 (X) (Transmutation (X))
▶ 이 스킬을 가진 트루퍼는 첫 번째 유닛 프로필로 배치됩니다.
▶ 이 스킬 이름 뒤 괄호 안에 나열된 값은 트루퍼가 두 번째 유닛 프로필로 변경되기 전에 받아야 하는 운드(Wounds)의 수를 나타냅니다.
▶ 트루퍼와 초기 유닛 프로필은 초기 유닛 프로필이 이 스킬 이름 뒤 괄호 안에 명시된 값만큼의 운드를 받았을 경우, 반드시 해당 오더가 끝날 때 두 번째 유닛 프로필과 그를 나타내는 모델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트랜스뮤테이션 (탈출 시스템-X) (Transmutation (Escape System-X))
▶ 트랜스뮤테이션 (X)와 동일하게 작동하지만, 유닛 프로필과 모델이 교체될 때 모델 중앙에 이클립스(Eclipse) 특수 탄환 원형 템플릿이 배치되어야 합니다.
▶ 유닛 프로필 변경에 필요한 운드의 수는 스킬 이름 뒤 괄호 안에 "탈출 시스템" 다음에 명시됩니다.
트랜스뮤테이션 (해칭) (Transmutation (Hatching))
▶ 이 스킬을 가진 트루퍼는 첫 번째 유닛 프로필로 배치되지만, 모델 대신 시드-엠브리오 토큰(Seed-Embryo Token)을 사용합니다.
▶ 만약 트루퍼가 마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스킬을 가지고 있다면, 시드-엠브리오 토큰 대신 해당 마커를 사용합니다. 트랜스뮤테이션 (해칭)을 가진 트루퍼의 카모플라주(Camouflage) 마커는 실루엣(S) 값이 2입니다. 트루퍼가 발견되거나 자신을 드러내면, 마커는 시드-엠브리오 토큰으로 교체됩니다.
▶ 마찬가지로, 트루퍼가 공수 배치(Airborne Deployment) 라벨이 있는 배치 스킬을 가지고 있다면, 시드-엠브리오 토큰으로 배치되며, 자신의 공수 배치 스킬 규칙을 정상적으로 적용합니다.
▶ 트루퍼는 다음 상황에서 두 번째 유닛 프로필로 변경되고 마커 또는 씨드-엠브리오 토큰을 자신의 발달 형태에 해당하는 모델로 교체합니다:
▪ 오더의 첫 번째 숏 스킬로 이동기(Movement) 라벨이 있는 스킬을 선언할 때. 이 경우, 두 번째 "발달 형태" 유닛 프로필은 전체 오더 시퀀스 동안 사용됩니다.
▪ 성공적인 닷지(Dodge) ARO를 수행할 때. 발달 형태 프로필은 닷지 이동이 수행되기 전에 적용됩니다.
트랜스뮤테이션 (오토) (Transmutation (Auto))
▶ 트루퍼는 자신의 어떤 유닛 프로필을 사용해서든 배치될 수 있습니다.
▶ 이동기(Movement) 라벨을 가진 아무 스킬을 사용할 때, 트랜스뮤테이션 (오토) 보유자는 다른 유닛 프로필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 전환은 항상 이동 시작 시점에 실행되고 그 이동 도중 유지됩니다.
▶ 이 전환은 어떤 유닛 프로필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해당 트루퍼가 테이블 위에서 얼마나 이동할 수 있는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트랜스뮤테이션 (WIP) (Transmutation (WIP))
▶ 이 스킬을 가진 트루퍼는 첫 번째 유닛 프로필로 배치됩니다.
▶ 이 스킬을 가진 트루퍼가 오더를 사용하거나 ARO를 선언할 때, 일반 WIP 굴림을 성공하면 해당 ARO 및 해당 플레이어 턴의 나머지 동안 두 번째 유닛 프로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태 페이즈 종료 시, 첫 번째 유닛 프로필로 돌아갑니다.
▶ WIP 굴림이 실패했을 경우, 첫 번째 유닛 프로필을 계속해서 사용합니다. ARO 혹은 오더를 다시 사용해 재시도할 수 있습니다.
▶ 유닛 프로필에 보정치가 적혀있을 경우, 그 보정치를 WIP 굴림에 적용합니다.
알아두세요 (REMEMBER)
게임 시퀀스와 트랜스뮤테이션 (X)/(탈출 시스템-X):
받은 운드의 수가 이 스킬 이름 뒤 괄호 안에 명시된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거츠 롤을 수행한 후 유닛 프로필을 변경해야 합니다.
룰북 원문

1.69. 삼각측량사격(Triangulated Fire)

이 탐지 시스템은 목표물의 정밀한 삼각 측정을 돕고, 더 효과적인 목표 획득을 가능하게 합니다.
트라이앵귤레이티드 파이어(Triangulated Fire)
롱 스킬(Long Skill)
공격(Attack),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보유자는 대상에게 LoF(Line of Fire)를 그릴 수 있어야 합니다.
효과
▶ 보유자는 대상에 대한 사격(BS Attack)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어떠한 보정치(사거리, 엄폐, 미메티즘 등)도 적용하지 않습니다.
▶ 유일한 예외는 연사(Burst, B)에 영향을 미치는 보정치이며, 이는 정상적으로 적용됩니다.
중요 (IMPORTANT)
트라이앵귤레이티드 파이어(Triangulated Fire)는 사용자가 무기의 최대 사거리보다 멀리 있는 대상을 맞출 수 있게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콤비 라이플은 48인치보다 멀리 있는 대상을 절대 맞출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롱오더로 모든 보정치를 무시하고 사격할 수 있게 해주는 룰. 센서봇이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전에는 -3으로 사격하기 때문에 그리 선호받지 못했지만, N5에서 상향되면서 미메티즘-6 모델들을 치우는 용도로 꽤 적극적으로 고려해볼만해졌다. 다만 롱오더인 만큼 시야를 미리 확보해야한다는 점에서 쓰기 쉬운 스킬만은 아니다.

1.70. 버너빌리티(Vulnerability)

아무리 강인한 트루퍼라도 특정 공격, 무기 또는 탄약에 취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버너빌리티(Vulnerability)
자동 적용 스킬(Automatic Skill)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사용자는 유닛 프로필에 괄호 안에 명시된 유형의 공격, 무기 또는 탄약에 취약합니다. 사용자의 이뮤니티(Immunity) 특수 스킬은 이러한 공격이나 특수 스킬에 맞설 때 사용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1.71. 워호스(Warhorse)

이 병사는 전장 한복판에서 수년간을 살아남은 결과, 전장에서 살아남는 방법을 체득하게 됐습니다.
워호스(Warhorse)
선택 발동(Optional)
효과
▶ 스킬 보유자는 장교 손실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레귤러 상태를 유지합니다.
▶ 스킬 보유자는 리트릿!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레귤러 상태를 유지합니다. 게임이 끝날때까지 평소대로 행동할 수 있습니다.
▶ 스킬 보유자는 탄환이나 해킹, 미션 특수 룰 등으로 인해 고립(Isolated) 상태에 빠지지 않습니다.
중요 (IMPORTANT)
▶ 스킬 보유자는 BS 공격 -X의 효과를 받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구 베테랑 스킬이 병종구분 베테랑과 혼동이 있다는 이유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고립 상태에 빠지지 않고, 장교손실 상황에서도 레귤러 오더를 제공해준다는 기존 베테랑 스킬도 상당히 고평가 받는 스킬이었는데, 이에 더해 BS 공격 -X 값을 무시한다는 추가 버프를 받아 밸류가 하늘을 찌르고 있는 중.

특히 고립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 힘입어 워호스 중보병은 상대 해커 등을 상대할때 매우 편해지는데, 고립 상태에 빠지지 않으므로 이모빌-B를 받더라도 리셋 보정치가 크지 않아 전투 지속력이 보장되는 편이다.

2. 장비

2.1. 360°바이저(360º Visor)

이 장비는 보유자의 시야를 확장시킵니다.
360°바이저(360º Visor)
자동 적용 장비(Automatic Equipment)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이 바이저는 보유자에게 일반적인 180도 시야가 아닌, 360도 전방위 시야를 부여합니다.
룰북 원문

2.2. AI 모터사이클(AI Motorcycle)

AI 모터사이클은 탑승자가 하차하면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가 되는 모터사이클입니다.
AI 모터사이클(AI Motorcycle)
자동 적용 장비(Automatic Equipment)
효과
▶ AI 모터사이클을 장비한 유닛은 2개의 서로 다른 유닛 프로필을 가지며, 트랜스뮤테이션(오토)로 프로필 간에 전환을 할 수 있습니다.
▪ AI 모터사이클에 탑승한 동안에는 탑승한 트루퍼 프로필을 사용합니다. 모터사이클 장비 룰을 적용합니다.
이 프로필로 전환할 때, 하차한 트루퍼 모델은 퍼리페럴 모델과 실루엣 컨택한 상태여야 합니다. 퍼리페럴 모델을 탑승한 트루퍼 모델도 교체한 후, 하차한 트루퍼 모델을 제거합니다.
▪ AI 모터사이클에서 하차하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하차한 상태의 트루퍼 프로필을 사용합니다. AI 모터사이클에는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 룰을 적용합니다. 이 프로필로 전환할 때, 탑승한 트루퍼 모델을 퍼리페럴 모델로 교체한 후, 이에 실루엣 컨택한 채로 하차한 트루퍼 모델을 놓습니다.
▶ 서로 다른 무장이 기재되어 있는데, 첫 번째 무장은 탑승한 트루퍼 프로필, 두번째 무장은 하차한 트루퍼 프로필의 것입니다.
제한: 만약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 모델이 고립(Isolated)되거나, 마비(IMM)되거나 기타 무력화(Null) 상태가 된다면, 트루퍼는 탑승한 트루퍼 상태로 전환할 수 없습니다.
제한: 탑승한 트루퍼 프로필은 어떠한 종류의 서포트웨어도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 만약 서포트웨어가 퍼리페럴(싱크로나이즈드) 리모트에 적용 중일 때, 탑승한 트루퍼로 전환하면, 해당 서포트웨어는 해제됩니다.
룰북 원문

노매드 존드너티카 전용 장비. 바이크에서 하차하면 바이크가 리모트로 변신해 같이 싸울 수 있다.

2.3. 알베도(Albedo)

알베도는 멀티스펙트럴 바이저와 조준장치를 재밍해 조준을 교란합니다.
알베도(Albedo)
자동 적용 장비(Automatic Equipment)
필수 적용(Obligatory), 부정적 피드백(NFB, Negative Feedback)
효과
멀티스펙트럴 바이저 또는 막스맨십을 보유한 적은 사격, 발견, 시야(LoF)가 필요한 모든 스킬에 역보정치를 받습니다. 알베도(-3), 알베도(-6)처럼 유닛 프로필에 얼마나 역보정을 받을지 적혀 있습니다.
▶ 알베도 보정치는 근접공격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2.4. 배기지(Baggage)

이 장비는 플레이어가 사용가능한 보급품을 나타냅니다.
배기지(Baggage)
자동 적용 장비(Automatic Equipment)
필수 적용(Obligatory), 굴림 없음(No Roll)
효과
▶ 무력화 상태가 아니고, ZoC 내부의 아군 트루퍼는 재장전 스킬을 사용해 탄약고갈(Unloaded) 상태를 해제하거나, 소모성(Disposable) 무장의 모든 사용 횟수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한 오더 당 하나의 아군 트루퍼에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상태 페이즈에, ZoC 내부의 각 아군 트루퍼는 자동적으로 탄약고갈(Unloaded) 상태를 해제하거나, 소모성(Disposable) 무장의 모든 사용 횟수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 소모성(Disposable) 무장의 사용 횟수를 회복하는 것은 이미 테이블에 배치된 어떤 무기나 장비에도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같이 보기 (SEE ALSO)
재장전 불가 라벨이나 트레잇을 가지고 있는 무기나 장비는 탄약고갈(Unloaded) 상태를 해제하거나, 소모성(Disposable) 무장의 모든 사용 횟수를 회복할 수 없습니다.
룰북 원문

2.5. 뱅밤(Bangbomb)

뱅밤 사용자는 자신의 발밑에 뱅밤을 던져 상대의 공격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뱅밤이 터질때 나오는 반사체가 폭발할 때 나오는 섬광을 반사해 상대의 공격을 더 쉽게 피할 수 있게 해줍니다.
뱅밤(Bangbomb)
자동 적용 장비(Automatic Equipment)
선택 적용(Optional)
요구 사항
▶ 보유자가 닷지를 선언해야 합니다.
효과
▶ 보유자는 닷지 굴림에 보정치를 받습니다. 얼마나 보정치를 받을지는 유닛 프로필에 적혀 있습니다.
제한: 이 보정치는 보유자의 LoF나 ZoC 내에서 보유자에게 대한 공격을 선언한 적 트루퍼에게만 적용됩니다.
제한: 이 보정치는 템플릿 무장을 상대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룰북 원문

대충 창작물에서 닌자같은 애들이 던지고 사라지는 바로 그거다. 정작 닌자는 이 장비가 없다...

단순 닷지+와의 차이점은 체라나 화염방사기 같은 상대 템플릿 무기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액티브턴 닷지이동을 위해 임의로 선언하는 닷지에도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정말 페투페에서만 사용 가능한 장비

2.6. 바이오메트릭 바이저(Biometric Visor)

이 장비는 다양한 변장이나 위장 기술에 대항하기 위한 장비입니다.
바이오메트릭 바이저(Biometric Visor)
자동 적용 장비(Automatic Equipment)
필수 적용(Obligatory)
효과
▶ 보유자는 임퍼스네이션의 -3 WIP 보정을 받지 않습니다.
▶ 만약 사용자가 임퍼스네이션-1(IMP-1) 상태를 발견 성공한다면, 해당 트루퍼의 임퍼스네이션 상태가 해제되고, IMP-1 마커를 모델로 대체합니다.
▶ 바이오메트릭 바이저 보유자는 임퍼스네이션 혹은 홀로에코 상태의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치를 무시합니다. 추가로, 이 상태들에게서 근접 공격을 당할 때는 시야가 없더라도 서프라이즈 어택 보정치를 무시합니다.
룰북 원문

2.7. 큐브(Cube)

이 장비는 해당 병사가 큐브라고 불리는 기억 저장 장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큐브를 가진 병사는 더 치료하기 쉽습니다. 추가로, 큐브를 사용하는 동안 발생한 사상자는 추후 작전에서 회복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큐브(Cube)
자동 적용 장비(Automatic Equipment)
필수 적용(Obligatory), 부정적 피드백(NFB, Negative Feedback)
효과
닥터(또는 스킬이나 장비에서 명시하는 내용이 있다면) 스킬을 큐브를 가진 트루퍼에게 사용할 경우, 커맨드 토큰을 사용해 실패한 WIP 굴림을 다시 굴릴 수 있습니다.
https://infinitythewiki.com/Cube

2.8. 데이저

2.9. 디액티베이터

2.10. 디플로이어블 커버

2.11. 디플로이어블 리피터

2.12. ECM

2.13. 패스트판다

2.14. 파이어월

2.15. 기즈모킷

2.16. 해킹 디바이스

해커를 해커답게 만드는 장비. 킬러 해킹 장비를 제외한 모든 해킹 장비는 0.5swc를 요구한다. 프로그램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인피니티(게임)/해킹 항목 참조

2.16.1. 해킹 디바이스

2.16.2. 해킹 디바이스 플러스

2.16.3. 킬러 해킹 디바이스

2.16.4. EVO 해킹 디바이스

2.17. 홀로마스크

2.18. 홀로프로젝터

2.19. 메디킷

2.20. 모터사이클

2.21. 멀티스펙트럴 바이저

2.22. 나노스크린

2.23. 리피터

2.24. 심비오메이트

토하가 보유하고 있는 전용 장비.
체인 오브 커맨드[Chanin of Command] 스킬과 함께 카엘타르[Kaeltar Specicalists]의 존재의 이유를 만들어주는 장비이다.
카엘타르가 배치될 때 카엘타르가 보유한 심비오메이트를 현재는 트랜스뮤테이션[Transmutation (X)]이라는 스킬명으로 대체된 토하의 공생장갑[Symbiont Armor]능력을 보유한 모델에게 제공한다.
이때 심비오 메이트를 받을 모델이 카모마커상태[Camouflaged State]이거나 배치가 안되어있으면 예를 들어 히든 디플로이먼트[Hidden Deployment]이거나 강하병이거나 혹은 리저브상태이면 장착이 불가능하다.
대부분의 주요 모델이 멀티운드라지만 사실상 첫운드를 잃으면 많은 능력이 상실되어 전투력이 급감하는 토하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장비로 통신 공격[Comms Attack]이 아닌 공격을 받아서 아머롤[Saving Roll]을 할 때 자동으로 사용되어 소유자의 방어력과 BTS를 9로 변경하고 이뮤니티 이뮤니티 인핸스[Immunity (Enhanced)]를 제공한다. 순간적인 방어력은 인티니티내 모델 중 가장높아지며(물론 요툼이 아머가 10이긴한데 이 이친구는 BTS가 3이고 이뮤니티가 없다는점에서 이쪽이 높다고 볼 수 있을꺼 같다.)피격 당한 오더내의 생존률은 매우 올려준다.
아머와 BTS보너스를 추가하는게 아니라 특정 값으로 변경하다보니 증가폭이 적은 태그나 중보병보다는 위에 언급한것과 같이 운드손실이 있으면 능력이 급감하여 사실상 싱글운드나 마찮가지로 운용해야하는 주요 공격 모델들이나 최대한 오래 버텨야하는 중요지역에서 하드아로를 하는 모델들에게 주로 제공된다.
https://infinitythewiki.com/SymbioMate

2.25. 틴봇

2.26. X-바이저


[1] 8인치[2] 정확히는 오더를 생성하는 유닛이 15단위로 제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