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231815> | 이승용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31815><colcolor=#fff> 소속 구단 | | Griffin |
2017 · 2018 · 2019 · 2020 | |||
| LNG Ninebot Esports | ||
2021 · 2022 · 2023 | |||
| Weibo Gaming TapTap | ||
2024 | |||
| Anyone's Legend | ||
2025 | |||
평가 |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대회 경력 · 주요 경력 | ||
기타 | 밈 · 여담 |
이승용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2022 시즌 | → | 2023 시즌 | → | 2024 시즌 |
[clearfix]
1.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
2023 Spring "LNG Tarzan" |
2023 LoL Pro League Spring 3rd Team |
정규시즌 내내 스카웃과의 아주 좋은 호흡을 과시하며 꾸준히 훌륭한 경기력을 보여줬다. LNG가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둔 데에는 미드정글의 힘이 결정적이었다는 평가다.
그러나 플레이오프에선 부진하며 OMG에게 업셋을 당하고 5위로 마무리했다.
2.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
2023 Summer "LNG Tarzan" |
그러나 서머에 들어서 극도로 부진하고 있다. LNG가 갈라를 영입해서 팀 체급이 올라갔음에도 기대 이하의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커뮤니티 사이트 선수 평점에서 연속으로 2점대의 처참한 점수를 받고 있는 중으로, 특히 IG전 참패 이후 퇴근길에 화가 난 팬들에서 욕을 얻어먹는 영상이 웨이보에 올라올 정도. #
이후 절치부심했는지 시즌 말까지 연승을 달리고, 플레이오프에선 티안과 카나비 상대로 오히려 판정승을 받을만큼 활약했다. 그리고 팀 창단 첫 LPL 결승진출에 성공하였다.
이후 결승에서 징동이 압살할걸 이라는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상과 다르게 5세트 까지 갔지만 우승에 실패했다.[1]
3.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선발전에서 EDG를 상대로 승리하며 롤드컵 진출을 확정지었다.4.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2023 Worlds "LNG Tarzan" |
그러나 8강 T1전에서, 3세트 내내 아무것도 못한 채 침묵하는걸 넘어 아예 게임을 던지는 최악의 실수를 해버렸는데다[2][3], 오브젝트를 단 하나밖에 따내지 못하면서 오너에게 완전히 압살당하고 말았다.[4] 특히 3세트에서 오너의 뽀삐한테 벽꿍각을 주고 퍼블을 내주는 모습은 타잔의 폼이 얼마나 떨어진 상태인지 여실히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결국 너무나도 큰 기복을 극복해내지 못하고, LPL 내에서 징동의 대항마로 불리던 기댓값에 비해 8강에 그치는 데 크게 일조하며 씁쓸하게 2023 시즌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한편 타잔이 있는 LNG가 패배하며 이번 월즈에 참가한 2019년 그리핀의 주전 멤버들은 모두 8강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게 되었다.[5]
[1] 타잔 본인은 고점이라 하기 애매했지만 딱히 못한 판도 없어서 아쉬울 부분[2] 물론 3세트 내내 LNG의 세 라인 모두가 T1에게 라인전부터 지고 들어갔고, 특히 미드에서 그 스카웃마저도 라인전을 리드하지 못하다 보니 정글은 자연스레 지워질 수밖에 없다는 점은 참작할 만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폼 자체가 저점인 것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3세트는 분명히 1레벨 미드 딜교 싸움에서 스카웃의 오리아나가 페이커의 아지르에게 매우 이득을 봐서 라인 이득을 봤는데, 이걸 본인이 뽀삐에게 솔킬각을 내주는 바람에 라인 손해를 감수하고 커버치러 온 오리아나까지 말리게 한 터라 타잔 본인의 저점이 큰 지분을 차지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3] 특히 메타픽이라고 할 수 있는 자르반을 쥐고도 1세트에 무색무취의 플레이는 물론 이해가 1도 되지 않는 미드 갱킹을 가면서 죽어버리는 저점을 보여준탓에 팀이 이후 2, 3세트에서 블루 사이드였음에도 상대인 오너도 잘 다루는 자르반을 넘겨줄 수 없어 스스로 밴을 하게 만들었다.[4] 간신히 따낸 단 하나의 오브젝트는 2세트의 두번째 전령이었으나, 그마저도 타워에 박지도 못하고 T1에게 일점사 당하여 산화했다.[5] 도란, 쵸비의 젠지가 BLG에게, 리헨즈의 KT가 JDG에게 패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