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2:21:40

이소라(정치인)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비례대표 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국민의힘
6석
황유정 이상욱 윤영희 이종배
이효원 송경택
더불어민주당
5석
이소라 박강산 아이수루 이원형
최재란 }}}
}}}}}}
<colbgcolor=#152484><colcolor=#fff>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의원
이소라
李소라 | Lee So-ra
파일:이소라의원.jpg
출생 1994년 8월 29일 ([age(1994-08-29)]세)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거주지 서울특별시
현직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의원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52484><colcolor=#fff> 학력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사회복지학 / 학사[1])
소속 정당
파일:zsdkl3gasdg.svg
지역구 비례대표
시의원 선수 1
시의원 대수 11
경력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대학생위원회 위원장
성북구청장 정책비서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부위원장
}}}}}}}}}
1. 개요2. 약력3. 생애4. 소속 정당5. 선거 이력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이다.

2. 약력

  • 1994.08. 전라북도 정읍시 출생 (現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2015.03.~2016.09.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 대학생 위원장
  • 2018.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사회복지학과 학사 졸업
  • 2018.08.~2021.07. 성북구청 정책비서
  • 2022.07.~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더불어민주당 / 비례대표)
    • 보건복지위원회 부위원장 (2022.07.~2024.07.)
    • 예산정책위원회 위원 (2022.11.~2023.11.)
    • 부동산대책 및 주거복지 특별위원회 위원 (2023.07.~2023.12.)
    • 저출생 인구절벽 대응 특별위원회 위원 (2023.07.~2024.07.)
    • 예산정책위원회 위원 (2023.11.~2024.11.)
    • 교육위원회 위원 (2024.07.~현재.)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24.08.~현재.)
  • 2022.12.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주관 복지의원상 수상
  • 2023.12.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1급 및 서울시당위원장 2급 포상
  • 2023.12.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선정 2023 지방의원 매니페스토 약속대상 최우수상 수상
  • 2024.06. 쿠키뉴스 선정 지방자치단체 우수 의정대상 수상
  • 2024.12.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주관 우수 의정대상 수상

3. 생애

1994년 8월 29일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태어났다. 서울에서 학창 시절을 보낸 그는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며 학문적 기초를 쌓았다. 대학 시절,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 대학생 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정치에 대한 관심을 구체적인 실천으로 옮기기 시작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시당 대학생 위원장직을 맡으며 당내 정치 활동에 참여하고, 대학생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다양한 정책을 제시했다. 2018년 성신여자대학교를 졸업한 후, 성북구청에서 정책비서로 근무하며 실무 경험을 쌓았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더불어민주당의 서울특별시의회 청년비례대표 선발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해 비례대표로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에 당선되었다. 그의 정치적 여정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같은 해 보건복지위원회 부위원장직을 맡으며 서울시의 복지 정책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예산정책위원회와 부동산대책 및 주거복지 특별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예산 집행과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제시했다. 2023년에는 저출생 인구절벽 대응 특별위원회에서 활동하면서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대표적으로 대구 수성구 간병살인 사건 등 복지 사각지대를 조명한 업적이 있다. 서울특별시가 전국 17개 시·도 중 최초 가족돌봄청년 지원 조례를 제정했는데, 이 의원이 발의했다. 이 노력을 인정받아 초선의 첫 해부터 사회복지사 주관 2022 복지의원상을 수상했다.

그의 뛰어난 의정 활동은 빠르게 주목을 받았다. 2022년에는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주관 복지의원상을 수상했으며, 2023년 12월에는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1급과 서울시당위원장 2급 포상,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가 선정한 2023 지방의원 매니페스토 약속대상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그의 정치적 신뢰를 쌓았다. 또한, 2024년에는 쿠키뉴스와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에서 우수 의정대상을 수상하며 그의 의정 활동이 더욱 인정받았다.

4. 소속 정당

5.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비례대표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809,636 (40.6%) 당선(1위) 초선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 흰색.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제11대 서울특별시의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동길 김경 김기덕 김성준 김인제
박강산 박수빈 박승진 박유진 박칠성
봉양순 서준오 성흠제 송도호 송재혁
왕정순 오금란 우형찬 유정희
이민옥 이병도 이상훈 이소라 이승미
이영실 이용균 이원형 임규호 임만균
임종국 전병주 정준호 최기찬 최재란
한신 }}}
}}}}}}


[1] 복수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