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醫學用語 | Medical Terminology의학에 관한 용어들.
2. 역사
라틴어 및 그리스어 계열의 언어에서 유래한 용어[1]와 일본을 통해 유입된 한자어[2]를 바탕으로 기초가 구축되어 있으며[3], 언어순화 주장이 계속되면서 여러 번 개정되고 있다.[4]그래서 의료 현장에선 주로 영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이를테면 '승모근'[5]을 '트라페지우스(trapezius)'[6], '이두박근[7]'을 '바이셉스 브라키(biceps brachii)'라고 부르는 식이다.
완전히 순우리말로만 구성된 의학 용어집을 완성하는 것은 많은 한국 학자들의 꿈이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의 정인혁[8] 명예교수가 대표적이지만, 그 외에도 많은 학자들이 의학 용어의 언어순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많은 우리말 의학용어를 만들어냈다.
또한 사소한 문제인 것 같지만 의학자들에게 큰 심리적 저항감을 주는 것이 사이시옷이다. 한글 맞춤법에는 순우리말과 한자가 합쳐진 경우 사이시옷을 넣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우리말 의학용어 중에는 우리말과 한자가 합쳐진 단어가 매우 많은데 의사들 기준에선 오랫동안 써온 단어 대신 사이시옷을 넣은 단어를 매우 어색해한다. 예를 들어 “두갈래근”의 “두갈래”는 우리말이지만 “근”은 한자이기 때문에 한글 맞춤법대로 표기하면 “두갈랫근”이며, 큰볼기근(대둔근)의 올바른 표기는 “큰볼깃근”이 되어야 한다.
[1] 대부분 영어[2] 일본식 한자어도 있지만, 한국식 한자어도 많다. 예를 들어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용어의 경우.[3] '구용어'라 한다.[4] '신용어'라 한다.[5] 구용어. 신용어로는 '등세모근'이다.[6] 승모근은 본래 삼각형 두 개를 붙여 놓은 마름모꼴을 띠는데, 이 삼각형 모양에 주목하여 trapezius라는 이름이 붙었다.[7] 위팔 두갈래근.[8] 2020년 사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