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관직에 대한 내용은 음양사 문서 참고하십시오.
제자백가 | ||||||||||
농가 | 도가 | 묵가 | 법가 | 명가 | 병가 | 유가 | 음양가 | 잡가 | 종횡가 | 소설가 |
1. 개요
陰陽家기원전 5세기 이후에 중국에서 생겨난 다수의 사상가인 제자백가(諸子百家) 중 하나이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중 한 파로, 음양이원(陰陽二元)과 5행(五行)을 조합하여 신비적인 종교철학을 주장한 학파이다.
여기서 5행이란 음양이 여러 가지 상호관계를 맺으면서 가져오는 자연의 변화수를 수(水)·화(火)·목(木)·금(金)·토(土)와 같은 5가지 유형으로 표현한 것이다.
성리학에서도 음양오행설을 수용하여 우주만물의 법칙과 원리를 규명하고있다.
은나라 시대의 홍범구주(洪範九疇)에 보이듯 중국에서는 우주의 원리를 음과 양이라는 두 가지의 범주가 서로 교대하며 소장(消長)하면서 삼라만상의 현상이 생성변화한다는 관념이 강하게 형성되어있었는데 거기에 다시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오행의 움직임에 따라 천지만물의 소장(消長)과 인간의운명이 길흉화복이 결정된다는 사상이 첨가되었다.
음양가는 복잡한 자연현상을 관찰하여 이를 음(陰)과 양(陽)의 운동으로 설명하고자 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한 유파이다.
음양가의 사상은 전국시대를 거치면서 두드러지게 발달한 우주•자연에 관한 음양(陰陽)·5행(五行)의 체계를 종합하여 이뤄진 일종의 자연철학이었다.
<한서 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추연(鄒衍)·장창(張蒼)·추석(鄒奭) 등을 음양가로 들고, 그 저작으로 〈추자 鄒子〉·〈추자종시 鄒子終始〉·〈추석자 鄒奭子〉 등이 있다고 했다.
음양가의 사상은 한국에도 전래되어 많은 영향을 미쳤다. 삼국시대의 설화나 벽화 또는 관직의 명칭 등에서 음양사상의 영향을 볼 수 있다. 통일신라 말기에는 승려인 도선(道詵)에 의해 참위설(讖緯說)과 풍수지리설이 결합된 도참설(圖讖說)이 크게 유행했는데, 그 바탕이 음양사상이었다. 이는 조선의 건립을 정당화하고 천도문제를 정착시키는데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정감록 鄭鑑錄>도 이러한 음양사상을 집대성한 것으로, 끊임없이 민중들의 정서를 지배하며 홍경래의 난을 비롯한 수많은 난과 민중 항쟁의 사상적 원동력이 되었다. 음양사상은 오늘날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인물
이 학파를 대표하는 학자로는 추연(鄒衍)이 있다.3. 음양(陰陽)의 개념
음양 : 햇빛의 향배를 가리키는 말.해를 향하면 양/ 해를 등지면 음.
예시 : 불은 양/ 물은 음
남자는 양/ 여자는 음
정신은 양/ 육체는 음
말하는 것은 양/ 듣는 것은 음
보는 것은 양/ 상상•꿈을 꾸는 것은 음
정신은 양/ 육체는 음
말하는 것은 양/ 듣는 것은 음
보는 것은 양/ 상상•꿈을 꾸는 것은 음
음양(陰陽)은 대립항쟁의 관계이며 상호의존의 관계이다. 서로 정지하여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한다. 음양의 변화가 일정한 단계에 이르면 음은 양이 되고 양은 음이 되기도 한다.
4. 오행(五行) 사상
•오행: 음과 양의 두 가지 기운이 분합작용을 일으켜 다섯 가지 새로운 성질이 발생하게 된 것으로 우주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원리(기운)이다.•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목(木): 직향성을 갖고 위로 쭉 뻗어 상승하는 기운
화(火): 흩어지는 성질은 갖고있는 기운
토(土): 분열을 마무리짓고 통일로 매개하는 기운
금(金): 양기를 감싸고 통일하는기운
수(水): 양기가 완전히 압축, 통일된 기운
•상생설(相生說) ,상극설(相克說=相勝說): 오행들간의 상호제약관계 이론
1. 상생설(相生說) : 목->화->토->금->수->목�(낳는 것)
2. 상극설(相克說=相勝說): 목>토>수>화>금>목�(이기는 것)
3. 장단점
-장점 : 사물관계의 대한 연구를 촉진시킨다.
-단점 : 복잡한 사물을 오행의 구조 안에 모두 집어넣음으로써 억지스러운 면이 있으며, 황당한 신비주의를 뒷받침하게 되었다.
5. 음양오행(陰陽五行)이론의 형성 및 발전적 배경
음양오행 사상은 사물의 연계를 연구하였고 사물의 연계에 관한 사상은 그 당시 사람들의 관심사였기 때문에 다양한 사상유파에 영향을 끼쳤다.많은 학파들은 음양오행의 관념을 빌려 사물의 관계를 설명하였으며, 음양오행 담론은 동양 철학의 보편적인 이론으로 자리를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