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1 03:40:23

유대아 사마리아 특구


{{{#!wiki style="margin: 0 -10px -5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예루살렘 관구 하이파 관구 텔아비브 관구
북부 관구 중부 관구 남부 관구
유대아 사마리아 특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5%, #0038B8 5%, #0038B8 15%, #FFFFFF 15%, #FFFFFF 85%, #0038B8 85%, #0038B8 95%, #FFFFFF 95%)"
파일:이스라엘 국장(진한 버전).svg
이스라엘의 특구
<colcolor=#fff>유대아 사마리아 특구
אֵזוֹר יְהוּדָה וְשׁוֹמְרוֹן
يهودا والسامرة,
Judea and Samaria Area
<colbgcolor=#0038B8>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면적 5,878km²
인구 529,455명[1]
인구 밀도 88/km²
시간대 UTC+02:00(서머타임 적용)
파일:Israel_judea_and_samaria_dist.png
1. 개요2. 현 상황3. 이스라엘 정착촌
3.1. 도시3.2. 지방 의회3.3. 지역 협의회


1. 개요

1967년부터 이스라엘이 점령한 서안지구를 지칭하는 행정구역이다. 이 지역은 국제적으로 팔레스타인의 일부로 인정받고 있지만, 이스라엘은 자신의 영토로 취급하고 있다. 다만 이스라엘 대법원은 동 예루살렘을 제외한 서안 지구 전체를 이스라엘 점령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

2. 현 상황

유대아 사마리아 특구는 이스라엘 방위군 중부사령부가 관할하고 있으며, 군법이 적용된다. 현재 529,455명이 살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불법 정착촌에 거주하고 있다.

8개의 군사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메나셰(제닌 일대), 하비카(요르단 계곡), 쇼므론(나블루스 일대), 에프라임(툴카름 일대), 비냐민(라말라 일대), 마카빔(모디인마카빔레우트 일대), 에치온(베들레헴 일대), 예후다(헤브론 일대)가 있다.

3. 이스라엘 정착촌

3.1. 도시

3.2. 지방 의회

  • 알페이 메나셰 (אַלְפֵי מְנַשֶׁה) : 7,975명
  • 베이트 아리에-오파림 (בֵּית אַרְיֵה-עֳפָרִים) : 5,517명
  • 베이트 엘 (בֵּית אֵל) : 6,108명
  • 에프라트 (אֶפְרָתָה) : 11,853명
  • 엘카나 (אֶלְקָנָה) : 4,301명
  • 기바트 제에브 (גִּבְעַת זְאֵב) : 21,097명
  • 하르 아다르 (הַר אֲדָר) : 4,065명
  • 임마누엘 (עִמָּנוּאֵל) : 4,656명
  • 카르네이 쇼므론 (קַרְנֵי שׁוֹמְרוֹן ) : 9,920명
  • 케두밈 (קְדוּמִים) : 4,548명
  • 키리야트 아르바 (קִרְיַת־אַרְבַּע) : 7,490명
  • 마알레 에프라임 (מַעֲלֵה אֶפְרַיִם) : 1,377명
  • 오라니트 (אֳרָנִית) : 9,295명

3.3. 지역 협의회

  • 비캇 하야든 (מועצה אזורית בקעת הירדן) : 5,621명
  • 구쉬 에치온 (מועצה אזורית גוש עציון) : 28,686명
  • 하르 헤브론 (מועצה אזורית הר חברון) : 11,031명
  • 마테 비냐민 (מועצה אזורית מטה בנימין) : 86,785명
  • 메길롯 (מועצה אזורית מגילות) : 1,827명
  • 쇼므론 (מועצה אזורית שומרון) : 45,810명



[1] 2024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