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4 16:17:14

윙맨(드라마)

<colcolor=white> 윙맨 (2024)
ウイングマン
WINGMAN
파일:윙맨실사.jpg
방송 시간 <colbgcolor=#ffffff,#1c1d1f>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수 / 오전 0:00 ~ 오전 0:30
방송 기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년 10월 23일 ~ 12월 24일
방송 횟수 10화
제작 테레비 도쿄, 토에이, DMM TV
채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테레비 도쿄
제작진 <colcolor=white> 원작 카츠라 마사카즈
프로듀서 테레비 도쿄 쿠라치 유타, 마에다 토모키
토에이 야마다 마사유키
감독 사카모토 코이치
각본 야마다 요시타츠, 니시가치 마사키, 나카노조 유우다 외
음악 카와무라 토시후미
출연 후지오카 마이토, 카토 코나츠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테레비 도쿄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시놉시스3. 특징
3.1. 제목 & 로고3.2. 제작 특징3.3. 원작과의 차이점3.4. 타 작품의 오마주
4. 키 비주얼5. 음악
5.1. 주제가
5.1.1. 오프닝5.1.2. 엔딩
5.2. 삽입곡5.3. 캐릭터 송5.4. 사운드트랙
6. 등장인물
6.1. 주요 인물들6.2. 괴인
7. 용어8. 방영 리스트9. 평가
9.1. 흥행 및 매상
10. 타임라인11. 제품 목록
11.1. DVD11.2. 피규어 및 기타 상품
12. 관련 작품
12.1. TV 시리즈12.2. 외전12.3. 영화12.4. 애니메이션12.5. 코믹스판
13. 기타

1. 개요

15초 티저
60초 예고편
만화 윙맨을 원작으로 하는 특촬물 드라마.

2. 시놉시스

특촬광이자 고등학교 2학년인 히로노 켄타(후지오카 마이토)는 수업중에도 상상의 세상에만 푹 빠져 있다.
주위에서 싸늘하게 보이며 시원찮은 일상을 보내던 켄타의 곁에, 아오이(카토 코나츠)라고 소개하는 불가사의한 미소녀가 나타난다.
그녀는 이차원 세상에서 악의 손을 피해 왔다고 한다.
켄타는 아오이가 가지고 있던 드림 노트에 자신이 상상한 히어로 '윙맨'을 그려내면서 진짜로 윙맨 변신 능력을 손에 넣는다.
염원하는 히어로로 변신하는 힘을 얻은 켄타였지만, 이차원 세상에서 아오이를 따라 차례차례 자객이 들어오는데…?

3. 특징

3.1. 제목 & 로고

3.2. 제작 특징

카츠라는 자신은 다른 미디어가 나올 때 일부러 원작을 파괴하고 새로운 걸 하라고 지시하는 편인데 이 작품은 원작의 팬이었던 스태프가 만들어서 원작에 가깝게 나올 것이라고 한다. 다만 설정은 중학생에서 고등학생으로 변경했다. 그 외에도 원작의 세부 설정이나 등장인물의 슈트 디자인 등 여러 가지 사항이 변경되었는데, 이러한 변경점에 관해서는 모두 카츠라 마사카즈가 직접 감수해서 진행한 것이므로[1] '만약 변경된 것으로 인해 불만이 나온다면 전부 자신의 책임'이라고 언급했다.

제작사가 토에이인 덕분에 원작에서 나왔던 전자전대 덴지맨 같은 토에이 특촬 언급이나 패러디, 주인공의 방에 즐비한 토에이 특촬 관련 완구나 포스터 등이 그대로 나온다.

3.3. 원작과의 차이점

3.4. 타 작품의 오마주

4. 키 비주얼

5. 음악

5.1. 주제가

5.1.1. 오프닝

chang[e]
TV ver.
MV ver.
Full ver.
가수 BLUE ENCOUNT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一体何になりたいの?”
“이타이 나니니 나리타이노?”
"도대체 뭐가 되고싶은데?"

浮かばない回答に腹立って
우카바나이 카이토오니 하라닷테
떠오르지않는 해답에 짜증나서

居てもたってもいられなくて
이테모 탓테모 이라레나쿠테
안절부절 못한채로

ノートに殴り書いた青い夢
노오토니 나구리 카이타 아오이 유메
노트에 써내려나간 푸른 꿈

他が望む「誰か」に変化して
호카가 노조무 "다레카"니 헨카시테
남들이 원하는 "누군가"로 변화하고

媚びて諂って嫌気さした
코비테 헤츠랏테 이야케사시타
아첨하고 아부하며 싫증이 났어

気がつきゃ羽もがれ重傷で
키가 츠캬하레모 가레주우쇼오데
정신차리니 날개도 망가져버려서

為す術ねぇ
나스스베네에-
방법이 없네

恐れんな
오소렌나
두려워마

英雄は「誰か」じゃないよ
에이유와 "다레카"쟈 나이요
영웅이란 "누군가"가 아니야

お前の衝動に宿っている
오마에노 쇼우도우니 야돗테이루
너의 마음속에 깃들어있어

胸張って吼えろ
무네핫테 호에로
가슴피고 외쳐라

『これが僕だ』って
"코레가 보쿠닷"테
"이게 바로 나라고"

大胆不敵に闇を切り裂いて
다이탄 후테키니 야미오 키리사이테
대담무쌍하게 어둠을 가르고

不格好くらいで良い
후캇코우쿠라이데 이이
볼품없어도 괜찮아

その熱量は正義だ
소노 네츠료우와 세이기다
그 정열은 정의다

全部失って良いよ 護るために
젠부 우시낫테 이이요 마무루타메니
전부 잃더라도 좋아 지키기 위해서

この愛はどんな次元も羽ばたける
코노 아이와 돈나 스토리모 하바타케루
이 사랑은 어떤 차원(이야기)도 날아올라

“絶対やってのけたいよ”
젯타이 얏테 노케타이요
"반드시 해내고 싶어"

根拠ない葛藤で争って
쿈코나이 캇토우데 아라솟테
근거 없는 갈등으로 다투고

寝ても覚めても苛ついちゃって
네테모 사메테모 이라츠이파챳테
자나깨나 짜증이나서

脳裏にふっと湧いた黒い影
노오리니 훗토 와이타 쿠로이 카게
뇌리에 불쑥 들어온 검은 그림자

きな臭いリズムで闊歩して
키나쿠사이 리즈무데 캇포시테
뒤숭숭한 리듬으로 활보하며

触れるもの全て蹴散らした
후레루모노 스베테 케치라시타
건들거리는 모든것를 걷어찼어

悪戯に心惑わすの
이타즈라니 코코로 마도와스노
장난으로 마음을 속이는거야

節操ねぇ
셋소오네에-
쾌락적이야

徹底的に闇を打ち砕け
텟테에테키니 야미오 우치쿠다케
철저하게 어둠을 부숴나가라

無鉄砲くらいで良い
무텟포오쿠라이데 이이
무모하더라도 괜찮아

その渇望は武器だ
소노 카츠보오와 부키다
그 갈망은 무기다

純粋無垢な闘志散りばめて
준신무쿠나 토오시 치리바메테
순진무구한 투지를 흩날리며

この愛でどんな願いも叶える
코노 아이데 돈나 네가이모 카나에루
이 사랑으로 어떤 소원도 이뤄줘

有象無象 烏合の衆 紛れ込んだ小宇宙
우조오무조오 우고오노 슈우 마기레콘다 쇼오우추우
유상무상 오합지졸 혼돈스러운 소우주

魔性に酔う微笑な展開
마쇼우니 요우 비쇼오나 쇼
마성에 도취되 비웃는 전개(쇼)

悲痛な声は叫ぶ
히츠우나 코에와 사케부
비통한 목소리는 외친다

他が望む「誰か」に変化して
호카가 노조무 "다레카"니 헨카시테
남들이 원하는 "누군가"로 변화하고

媚びて諂って嫌気さした
코비테 헤츠랏테 이야케사시타
아첨하고 아부하며 싫증이 났어

気がつきゃ羽もがれ重傷で
키가 츠캬하레모 가레주우쇼오데
정신차리니 날개도 망가져버려서

為す術ねぇ
나스스베네에-
방법이 없네

見くびんな
미쿠빈나
볼품없어도

その手は無力じゃないよ
소노 테와 무료쿠자 나이요
그 손은 무력하지 않아

お前の衝動に懸かっている
오마에노 쇼오도오니 카캇테이루
너의 충동에 달려있어

胸張って生きろ
무네핫테 이키로
가슴피고 살아라

『これが僕だ』って
"코레가 보쿠닷"테
"이게 바로 나라고"

大胆不敵に闇を切り裂いて
다이탄 후테키니 야미오 키리사이테
대담무쌍하게 어둠을 가르고

不格好くらいで良い
후캇코우쿠라이데 이이
볼품없어도 괜찮아

その熱量は正義だ
소노 네츠료우와 세이기다
그 정열은 정의다

全部失って良いよ 護るために
젠부 우시낫테 이이요 마무루타메니
모두 잃더라도 좋아 지키기 위해서

幻想さえも携えて
겐소오사에모 타즈사에테
환상조차도 가지고

徹底的に闇を打ち砕け
텟테에테키니 야미오 우치쿠다케
철저하게 어둠을 부숴나가라

無鉄砲くらいで良い
무텟포오쿠라이데 이이
무모하더라도 괜찮아

その渇望は武器だ
소노 카츠보오와 부키다
그 갈망은 무기다

純粋無垢な闘志散りばめて
준신무쿠나 토오시 치리바메테
순진무구한 투지를 흩날리며

この愛でどんな願いも叶える
코노 아이데 돈나 네가이모 카나에루
이 사랑으로 어떤 소원도 이뤄줘

この愛はどんな次元も羽ばたける
코노 아이와 돈나 스토리모 하바타케루
이 사랑은 어떤 차원(이야기)도 날아올라
}}}}}}}}} ||

5.1.2. 엔딩

yoin
Full ver.
가수 Nowlu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5.2. 삽입곡

5.3. 캐릭터 송

5.4. 사운드트랙

6. 등장인물

6.1. 주요 인물들

  • 히로노 켄타
    배우 후지오카 마이토

    고등학교 2학년.

    특촬 히어로 매니아로 머릿속에는 언제나 히어로 망상으로 가득하다.

    정의의 자작 히어로 '윙맨'을 고안해 친구의 협력을 받아 복장이나 무기를 자작하고 있다.

    드림 노트를 손에 넣은 것으로 5분 동안만 윙맨으로 변신할 수 있게 되었다.

    "체윙"이라는 구호를 통해 윙맨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2], 윙맨으로서의 능력은 강력한 플라즈마가 흐르는 검인 크롬 레이버, 크롬 레이버에서 빔을 쏘는 필살기인 레이버 스트레이트, 부메랑으로 사용 가능한 고글인 스파이럴 컷, 발에 붙이는 외장장갑인 윙클 크러쉬, 거기에 막대한 힘을 소모해 흉부 장갑에서 빔을 내뿜는 필살기인 파이널 빔이 있다. 이후 3화부터는 강화 폼으로 블랙 팬서마냥 상대의 공격을 흡수해서 반사하는 강화 폼인 가더 실루엣을 사용하며, 7화부터는 빨강색 및 노랑색의 분신을 소환하는 필살기인 델타 엔드를 사용한다.
  • 아오이
    배우 카토 코나츠

    이차원 세상 포드림즈에서 3차원(지구) 세상으로 찾아온 수수께끼의 소녀.

    지구에 온 목적은 아버지의 발명품 '드림 노트'를 소멸시키기 위해.

    그리고 전쟁 중인 포드림즈에 유폐된 아버지를 구출하기 위해서이다.

    포드림즈 출신이기에 자신의 모습을 다른 사람처럼 바꾸거나 다른 사람의 기억을 조작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이는 후술할 키타쿠라라던지 다른 괴인들도 기량의 차이는 있지만 동일하게 지니고 있다.
  • 오가와 미쿠
    배우 키쿠치 히나

    켄타의 정의감에 마음이 움직여 몰래 좋아하는 상냥하고 겸손한 클래스메이트.

    아오이와 함께 본작의 주요 히로인으로 켄타를 연모하고 있다.
  • 키타쿠라
    배우 미야노 마모루

    메인 빌런. 포드림즈의 수장 고스트 리멜의 오른팔로, 켄타가 다니는 고등학교의 신임 교사로 위장해 켄타와 아오이를 노리고 있다.

  • 후쿠모토 토모오 (배우:죠타로)
    히로노 켄타와 같이 다니는 동급생. 켄타가 특촬 히어로에 대한것을 계속 설파하고 다니자 질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종회에서 리멜과의 최종전을 앞둔 당시 친구인 히로노에게 우주형사 샤리반의 피규어를 선물로 받았는데 그동안에 켄타에게 물들었는지 어느새 자신도 히어로물 작품에 관한것을 줄줄이 외우는 상황까지 발전했다.
  • 후자와 쿠미코 (배우:카타다 히요리)[3]
    2화에서 첫 등장. 켄타의 동급생중 한명이자 르포 라이터 기자를 꿈꾸는 여학생. 숨겨야하는 것이 있으면 밝혀야만 한다는 좌우명으로 인해서 무언가를 기록해야지만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기도 하다. 3화에서는 키타쿠라가 일으킨 사건때문에 휴대전화로 영상기록을 남기기도 했으며 이로 인해서 히로노가 윙맨이라는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최종결전을 앞둔 마지막회에선 STD 바이오 로보를 선물받았다.
  • 모리모토 모모코 (배우:우에하라 아마네)[4]
    4화에서 첫 등장. 1학년 B반이며 히로노가 부활동의 명목으로 인해서 키타쿠라 선생의 지원아래 액션 연극부라는 부서를 만드는데 이 부의 부원으로 들어오게 된다. 특촬을 너무 좋아해서 후쿠모토에게는 여자 켄타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으며 아오이, 미쿠, 쿠미코와 함께 4대 히로인으로 활약하며 특히 본인이 제일 좋아하는 작품은 초광전사 샹제리온과 비 파이터 시리즈를 좋아한다. 마지막회에서 최종결전을 앞두고 초합금 다이덴진을 선물받는다.
  • 히로노 마사토 (배우:마토바 코지)
    히로노 켄타의 아버지.
  • 히로노 요시코 (배우:나카야마 시노부)
    히로노 켄타의 어머니.
  • 마츠오카 선생님 (배우:에미 쿠라라)
    켄타가 소속된 학급의 담임 선생님.

6.2. 괴인

  • 리멜
    성우 오오츠카 아키오

    포드림즈를 완전 지배하는 제왕으로 아오이가 가진 드림 노트를 노리고 있다.

    리멜 황제로 불리우는 2차원계의 왕. 본인 직속의 3명의 간부들인 틸, 자시바, 키타쿠라를 거느리고 있으며 라크 박사를 유폐시킨다. 5화에서 키타쿠라의 배반을 눈치챘다.
  • 자시바
    성우 토마츠 하루카

    리멜에 의해 3차원(지구) 세상으로 파견된 자객.

    6화에서 첫 등장. 포드림즈의 수장인 고스트 리멜의 왼팔. 첫 작전 당시에 쿠로츠라는 여학생으로 변신하여 드림노트를 빼앗기도 하였다. 7화에서 윙 맨의 신기술인 델타 엔드로 인해서 공중에서 폭사했다.
  • 라크 박사
    성우 세키 토모카즈

    아오이의 아버지이며 드림 노트의 개발자, 전쟁 중인 포드림즈에 유폐되어 있다.

    포드림즈 제일의 과학자이자 아오이의 부친. 현재는 리멜 일당에게 붙잡힌 상태이다. 7화에서 환영으로 등장하여 순수한 인간인 미쿠에게 디멘션 파워를 잠시 부여하기도 했고 켄타에게는 비록 드림노트의 내용은 지워졌으나 아직 윙맨의 힘을 쓸수있는게 가능하다고 힌트를 주기도 하였다.
  • 사카가미 / 틸 (배우:오오하라 유노)
    4~5화에 등장한 여성괴인. 4화에서 괴인체로 아주 잠시 등장하였고 후반에는 인간체로 변장하여 히어로 쇼에서 켄타와 함께 놀러온 오가와 미쿠에게 의태하였다. 5화에서 여선생으로 위장하여 아오이와 미쿠의 동향을 살피면서 켄타의 드림노트를 빼앗는데 성공하고 전투를 벌였지만 윙맨의 필살기인 윙 크러시에 패배하고 도주하였고 키타쿠라에게 자신의 계획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팀킬 당하고 만다.
  • 쿠로츠 (배우:미하라 우이)
    6화에 등장. 액션 연극부의 히어로물 영화 촬영을 돕기위해서 부에 일시적으로 합류한 모모코의 1학년 동급생이지만 정체는 여간부 괴인인 자시바가 변장한 모습. 드림노트를 탈취하고 윙맨의 정보들을 모두 지워버리고 미쿠를 위험에 빠뜨렸다.
  • 사이토 타츠오 / 나아스 (배우:타치바나 하루키)
    7~8화에 등장. 어디선가 전학을 온 수수께끼의 남학생으로 등장했는데 정체는 과거 아오이의 고향인 포드림즈 출신의 외계인이자 아오이의 소꿉친구였다. 그녀의 디멘션 파워가 떨어졌을때 자신의 힘을 나눠주기도 하였다. 친구인 아오이가 기억을 조작하거나 지운다면 나아스는 기억을 다시 되돌리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8화에서 드러난 진정한 속내는 리멜의 협력자로써 드림 노트를 빼앗기 위해서 비겁한 계략으로 아오이를 이용하고 있었다. 그후 사무라이 갑옷 무사와 비슷한 생김새의 괴인으로 각성하여 켄타와 싸우지만 결국 윙맨의 새로운 기술인 스트릭트 플래시에 치명상을 입은후 델타 엔드로 사망한다.

7. 용어

8. 방영 리스트

<rowcolor=#ffffff> 방송일 화수 서브 타이틀 각본 감독 등장 괴인 특이사항 시청률
2024년 10월 22일 제1화 신 시대의 히어로 등장 야마다 요시타츠 윙맨 첫 변신
2024년 10월 29일 제2화 적과의 격투가 시작된다! 야마다 요시타츠
나카조노 유우다
키타쿠라 첫 등장, 필살기 '파이널 빔' 첫 등장
2024년 11월 5일 제3화 학교 내에서 대배틀 발발 야마다 요시타츠
나카조노 유우다
강화 폼 '가더 실루엣' 첫 등장, 필살기 '레이버 스트레이트' 등장
2024년 11월 12일 제4화 히어로 쇼에서 사건 야마다 요시타츠 필살기 '콘티니 펀치', '윙글 크러시', '드라이버 레이드' 등장, 틸 첫 등장, 우주형사 갸반 찬조출연
2024년 11월 19일 제5화 2명의 히로인 출현!? 야마다 요시타츠 틸 사망
2024년 11월 26일 제6화 빼앗긴 드림노트 야마다 요시타츠
나카조노 유우다
키타쿠라 제 2변신체 첫 등장, 자시바 첫 등장.
2024년 12월 3일 제7화 수수께끼의 전학생 나타나다! 야마다 요시타츠
나카조노 유우다
자시바 사망, 나아스 첫 등장, 필살기 '델타 엔드' 첫 등장
2024년 12월 10일 제8화 사랑의 라이벌과의 격투 니시가키 마사키 필살기 '스프릭트 플래시' 등장, 나아스 사망
2024년 12월 17일 제9화 마지막 싸움이 시작된다! 야마다 요시타츠
나카조노 유우다
리멜 지구침략
2024년 12월 24일 최종화 히어로와 영원한 이별 야마다 요시타츠 윙맨 거대화, 아오이 사망[5], 키타쿠라 전사, 리멜 소멸

9. 평가

1화는 원작을 완벽히 재현했다고 호평이다. 카츠라 마사카즈는 본래 이 작품을 러브코미디가 아니라 히어로 액션 메인으로 밀고 싶었던지라[6], 액션이 대폭 강화된 이 실사화 버전이야말로 원작자가 정말로 표현하고 싶었던 윙맨의 영상화라고 할 수 있다. 방송 심의에 맞춰 원작의 야한 장면이 많이 검열되었지만 작가가 전부터 그건 자신이 원해서 넣은 게 아니라고 공언해왔던 거라 큰 반발은 없다.

9.1. 흥행 및 매상

10. 타임라인

  • 변신하라! 윙 맨 탄생 편 (1화~2화)
  • 수많은 라이벌과의 싸움 편 (3화~8화)
  • 장렬. 마지막 배틀 편 (9화~10화)

11. 제품 목록

11.1. DVD

2025년 3월 26일에 DVD와 블루레이 복스가 발매되었다.

11.2. 피규어 및 기타 상품

반다이 액션 피규어 시리즈인 S.H.Figuarts 진골조제법으로 모형화 됐다. 담당 슈트액터 하시도 류마의 신체 데이터를 스캔해서 제작했다고 한다. (SHF 윙맨 혼웹 한정)

2024년 11월 15일부터 예약을 받기 시작하여 2025년 8월 7일에 발송을 시작했다. 가격은 12,100엔. 전용 무기 2종과 드림 노트, 무려 10쌍의 손목 파츠가 부속되어 있으며 날아다니는 비행체를 재현하기 위한 전용 날개 파츠가 포함되었다. 그리고 머리에 있는 뿔은 따로 떼어내는게 가능해서 부메랑이 되는 모습을 재현할수 있다.

이와 동시에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으로 드라마에 나왔던 아이템인 드림 노트&드림 펜 셋트가 2025년 6월에 발매되었으며 가격은 16,500엔으로 책정되었다.

12. 관련 작품

12.1. TV 시리즈

12.2. 외전

12.3. 영화

12.4. 애니메이션

12.5. 코믹스판

드라마 공개 기념으로 특별 단편이 공개되었다. 작화는 入鹿良光.[7]

13. 기타

  • 드라마의 감독인 사카모토 코이치 감독은 원작 만화의 팬으로, 실사화를 바랐던 작품이었던 만큼 본 드라마의 감독이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1] 때문에 본 작품에서 카츠라는 원작 이외에도 '총 감수'로 표기된다.[2] 여담으로 드림노트에 적은 켄타가 적은 변신 방법을 알게 되면 누구라도 변신할 수 있는 지라 5화에서는 틸이 드림노트를 빼앗았을 때 윙맨으로 변신하여 켄타와 싸우기도 했다.[3] 최애가 부도칸에 가 준다면 난 죽어도 좋아 실사판 드라마에서 레나 역,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에서 키토 하루카의 동급생인 마에다 마리나 역을 맡았다.[4] 2003년 12월 16일 이바라키 현 출신으로 2016년에 데뷔하여 토호 영화사를 거쳐서 아뮤즈 소속의 걸그룹인 PiXMiX에서 토와코 (TOWAKO) 라는 예명으로도 활동중이다. 참고로 토호 영화사 소속 당시에는 키리시마 토와코 또는 스즈키 토와코로 활동했었다.[5] 최종결전이 끝난 직후 죽은줄 알았던 리멜에게 빔으로 사망하지만 모든 사건이 끝나고 세계가 리셋된 상황의 마지막 장면에서 인간으로 환생했다.[6] 애초에 윙맨을 맡은 배우가 후지오카 히로시의 아들, 후지오카 마이토다.[7] 대표작은 이블 히어로즈(イビルヒーローズ). 이쪽은 미츠나가 야스노리가 스토리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