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19:34:08

울프-룬드마크-멜로테 은하

파일:Cetus Outline.png
[[고래자리#발견된 천체|고래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92
멘카르
Menkar
베타성16
디프다
Diphda
감마성86
카팔지드마
Kaffaljidhma
델타성82
고래자리 델타
δ Cet
엡실론성83
고래자리 엡실론
ε Cet
제타성55
바텐 카이토스
Baten Kaitos
에타성31
데네브 알게누비
Deneb Algenubi
세타성45
고래자리 세타
θ Cet
이오타성8
데네브 카이토스 셰말리
Deneb Kaitos Shemali
카파성96·97
고래자리 카파1·2
κ Cet
람다성91
고래자리 람다
λ Cet
뮤성87
고래자리 뮤
μ Cet
누성78
고래자리 누
ν Cet
크시성65·73
고래자리 크시1·2
ξ Cet
오미크론성68
미라
Mira
파이성89
고래자리 파이
π Cet
로성72
고래자리 로
ρ Cet
시그마성76
고래자리 시그마
σ Cet
타우성52
고래자리 타우
τ Cet
웁실론성59
고래자리 웁실론
υ Cet
피성17·19·22·23
고래자리 피1·2·3·4
φ Cet
카이성53
고래자리 카이
χ Cet
-
-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플램스티드 명칭 순
고래자리 1
고래자리 2
고래자리 3
고래자리 6
고래자리 7
고래자리 9
고래자리 10
고래자리 12
그 외 고래자리에 속한 항성
고래자리 YZ 루이텐 726-8 WHL0137-LS RLP2010 별
}}}}}}
}}}
[ 심원천체 ]
||<bgcolor=white,#1c1d1f><width=25%> 고래자리A 은하G ||<bgcolor=white,#1c1d1f><width=25%> Holmberg 15A 은하G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45G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246N ||
NGC 247G NGC 584G IC 1613G 볼프-룬드마크-멜로테 은하G
S: 성단, N: 성운, G: 은하, O: 기타 천체, ?: 불명
}}}||
틀:별자리 · 고래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PGC 5065047
울프-룬드마크-멜로테 은하
Wolf-Lundmark-Melotte
<nopad> 파일:wlm.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0h 01m 58.1s
적위 -15° 27′ 39″
별자리 고래자리
겉보기 등급 +10.9
물리적 성질
형태 IB(s)m 막대 불규칙 은하
거리 3백 4만 광년
- 파섹
규모
겉보기 크기 11.5′ × 4.2′
지름 - 광년
- 파섹
명칭
WLM, DDO 221, UGCA 444, PGC 143

1. 개요2. 특징3. 명칭4. 내부 천체
4.1. WLM-14.2. WLM-CB1
5. 관련문서

1. 개요

WLM / 울프-룬드마크-멜로테 은하

울프-룬드마크-멜로테 은하(이하 WLM)은 국부 은하군 소속 고래자리에 위치한 불규칙 은하이다

2. 특징

WLM은 국부 은하군의 가장자리에 위치해서 타 은하와 중력적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WLM 내의 별들은 우주 형성 초기의 은하들의 별을 보여주는 표본이다.

3. 명칭

이 은하는 1909년막스 울프에 의해 발견되었고, 자세한 성질은 1926년, 필리베르 자크 멜로테크누트 룬드마르크에 의하여 알려져 이러한 명칭이 붙게 되었다.

4. 내부 천체

4.1. WLM-1

파일:wlm1.png
WLM-1은 WLM 내부의 구상성단이다. 절대 등급은 -8.8이며 약 150억년 정도 의 나이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4.2. WLM-CB1

WLM-CB1은 WLM 내에 존재하는 접촉 쌍성으로 추측되는 항성이다.

5. 관련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