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d000><colcolor=#fff> 지웅배 Woong-bae Zee | |
| |
이름 | 지웅배 |
출생 | 1992년 7월 5일 ([age(1992-07-05)]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한성과학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천문우주학 /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천문우주학 / 박사[1]) |
직업 | 천문학자, 작가, 크리에이터, 조교수 |
현직 | 세종대학교 대양휴머니티칼리지 자유전공학부 조교수 |
경력 | 우주라이크 디렉터 연세대학교 은하진화연구센터 연구원 |
플랫폼 현황 | 구독자: 24.6만명[기준] 조회수: 39,245,169회[기준] |
관련 링크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천문학자이자 유튜버. 천문학 관련 서적의 작가로도 활동 중이다.2. 활동
2.1. 유튜브
-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라는 채널을 운영 중이다. 천문학자로서 천문학계 최신 이슈들과 관련 지식을 전문적으로 전달하고, 직접 해외 논문 저자를 인터뷰하거나 본인이 직접 연구한 것을 올리는 등 양질의 컨텐츠를 제공하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매주 일요일 오전 11시에 새 영상이 업로드된다.
- 본인 채널 외에도 보다에 출연해 천문학 컨텐츠로 매 영상마다 수십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다.
- 과학을 다루는 채널은 여럿 있지만 물리학, 천문학, 화학, 생물학 등등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다루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천문학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유튜버는 우주먼지가 독보적이다.[4] 이전의 영상에서도 같은 과학이라고 할지라도 자신의 전문이 아닌것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고 밝힌바가 있으며 천문학 이외의 과학에 대해서는 언급을 자제하는 편이다.
과학이라면 그게 무엇이든 일단 설명하는 학부 동문 궤도와는 정확히 반대 포지션 - 신박과학의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대해 잘못 전달한 정보 영상을 저격한 적이 있다.# 이후 신박과학측에서 관련 영상을 내렸다. 자세한 내용은 신박과학의 4번 항목 참조
2.2. 논문
- Warped Disk Galaxies. I. Linking U-type Warps in Groups/Clusters to Jellyfish Galaxies(제1저자, Woong-Bae G. Zee et al 2022 ApJ 935 48)[5] 여담으로 ApJ는 천문학계에서 가장 저명한 3대 저널(ApJ, A&A, MNRAS)중 하나이다[6].
- Unraveling Joint Evolution of Bars, Star Formation, and Active Galactic Nuclei of Disk Galaxies(제1저자, Zee et al 2023 ApJ 949 91) [7]. 이 논문에 대해서는 우주먼지 본인이 직접 유튜브에서 해설하기도 했다.
- Rejuvenating Star Formation Activity in an Early-type Dwarf Galaxy, LEDA 1915372, with Accreted H i Gas(공동저자, Sanjaya Paudel et al 2023 ApJL 951 L36) [8]
- Living with Neighbors. V. Better-aligned Spiral+Spiral Galaxy Pairs Show Stronger Star Formation(제1저자, Zee et al 2024 ApJ 963 141) [9]
3. 어록
안녕하세요. 은하의 충돌과 진화를 연구하는 천문학자 우주먼지 지웅배입니다.
참 좋은 질문인데요.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오늘은 여기에서 마칩니다. 구독 좋아요 부탁드릴게요. 그럼 안녕
4. 저서
- 썸 타는 천문대 (2016)
- 하루종일 우주생각 (2017)
- 별, 빛의 과학 (2018)
- 우리 집에 인공위성이 떨어진다면 (2018)
- 오늘은 달 탐사 (2023)
- 날마다 우주 한 조각 (2024)
5. 역서
- 진짜 우주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2018)
- 나는 어쩌다 명왕성을 죽였나 (2021)
- 퀀텀 라이프 (2022)
- 코스미그래픽 (2024)
6. 방송 및 기타 활동
- MBC <능력자들> 14회 출연
- EBS <생각하는 콘서트> 출연 #
- YTN 사이언스 <별별이야기> 패널 출연
- 정영진 최욱의 매불쇼 <이건 왜 이럴 과학?> 코너 패널 출연
- 비즈한국 과학 칼럼 연재 #
- 연세대학교 멘토스클럽(교환학생 동아리) 회장
7. 수상
- 미래창조과학부 페임랩 코리아 대상 (2014) #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APAO)에 한국 대표로 출전하여 금메달 수상 (2009) #
- 과학 문화 확산 유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2) #
8. 여담
- 노아AI 표절 사건 때 우주고양이 김춘삼에게 도용 피해를 당했다. #
- 영어가 상당히 유창하다. 본인의 유튜브 채널에서 미국 학자와 인터뷰를 진행한적도 있다.
- 과거 랩퍼를 꿈꾸었던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발성이 상당히 안정적이라서 듣기 좋다는 반응이 많다.
- 반려동물로 고양이를 키운다.
- 인스타그램 자기소개 상 MBTI는 INTJ이다.
- 안될과학의 궤도와 같은 학과 동문이다.
- 유튜브 채널명 "현자타임즈"라는 이름은 룸메이트였던 학과동기가 지어줬다고 한다. 작명의 동기는 "자극적인 컨텐츠만 살아남는 유튜브 환경에서 진지한 과학 컨텐츠가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하고있는 것을 보고 "현자타임 후에는 모두가 철학자가 되기 때문에 진지하게 우주를 알고 싶어할 거다"라는 발상에서 착안했다고 한다.
- 2023년 12월 15일자로 모교인 연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 본인 말로는 요리와는 거리가있으며 주로 외식을 한다고 한다.
- 특이한 안경줄을 차고 다닌다.
- 2025년 3월 1일자로 세종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1] 박사 학위 논문: Galactic anatomy : the warp, bar, and spin of disk galaxies[기준] 2025년 1월 11일[기준] 2025년 1월 11일[4] 사실 천문학과 우주를 다루는 유튜브 전문 채널은 이전에 여럿 있었다. 그러나 불미스러운 사건에 연루되거나 채널을 팔아버리는 등으로 인해 우주먼지 거의 혼자 남게 됐다.[5] arXiv:2208.05534[6] 천문학 저널 h5-index(google scholar) , 비교적 최근에 탄생한 Nature의 자매지인 Nature Astronomy도 높은 h-index를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전통적 3대장 외에 Nature Astronomy도 메이저 저널 대우를 해준다[7] arXiv:2305.07906[8] DOI 10.3847/2041-8213/acdef1[9] DOI 10.3847/1538-4357/ad2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