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19:31:31

우리말 겨루기/진행 방식/특집

파일:우리말 겨루기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퍼즐 챔피언
1~33회 34~65회 66~87회 88~141회
142~263회 264~302회 303~374회 375~399회
400~491회 492~510회 511~555회 556회~
특집
우리말 달인각종 기록시청률
}}}}}}}}} ||

1. 2004년 왕중왕전(48회, 2004년 12월 25일)2. 2007년 설 특집(153회, 2007년 2월 19일)3. 2007년 추석 특집(182회, 2007년 9월 24일)4. 2007년 왕중왕전(196회, 2007년 12월 31일)5. 2009년 패자부활전(277회, 2009년 8월 3일)6. 2008~2009 왕중왕전(298회, 2009년 12월 28일)7. 400회 특집 왕중왕전(2012년 1월 9일)8. 국군의 날 특집(434회, 2012년 10월 1일)9. 한글날 특집(435회, 2012년 10월 8일)10. 글로벌 우리말 겨루기(2023년 10월 9일~2023년 11월 6일)
10.1. 프랑스, 미국, 이집트, 베트남 예선(2023년 10월 9일~2023년 10월 30일)10.2. 한국 본선(2023년 11월 6일)
11. 2024년 여름방학 특집(2024년 8월 12일~2024년 9월 2일)
11.1. 초등학생 편(2024년 8월 12일)11.2. 중학생 편(2024년 8월 19일)11.3. 고등학생 편(2024년 8월 26일)11.4. 교사 편(2024년 9월 2일)
12. 연말 특집 최강자전(2024년 12월 2일~2024년 12월 23일, 2025년 1월 6일)
12.1. 본선 1~4차전(2024년 12월 2일~2024년 12월 23일)12.2. 결선(2025년 1월 6일)
13. 2025년 여름방학 특집 사제동행(2025년 8월 11일~8월 25일)
13.1. 1단계13.2. 2단계13.3. 3단계
14. 다문화 청소년 특집(2025년 9월 29일, 10월 27일, 11월 24일, 12월 22일)
14.1. 1단계14.2. 2단계14.3. 3단계

1. 2004년 왕중왕전(48회, 2004년 12월 25일)

1~4대 달인들이 출연해서 2인 1조 팀의 대표 한 명과 아나운서들이 2인 1조로 팀을 이루어서 진행했으며, 네 팀씩 차례대로 도전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 1단계: 34~65회 진행 형식 2단계와 동일하다. 한 문제당 20만 원(개인전으로 진행).
  • 2단계: 34~65회 진행 형식 1단계와 동일하다. 한 문제당 10만 원(개인전으로 진행).
  • 3단계: 어느 한 소설을 보고, 버저를 눌러 빈칸을 맞히는 형식, 2문제(한 문제당 50만 원).
  • 4단계: 34~65회 진행 형식 3단계와 동일하다. 개인별로 진행되고, 현재까지 적립한 상금의 절반까지 걸 수 있으며, 결과에 따라 상금이 가감된다.
  • 5단계: 34~65회 진행 형식 4단계와 동일하며 여기선 적립 상금의 모두를 걸 수 있다.
  • 6단계(최후의 한판): 34~65회 진행 형식 5단계와 동일하며, 성공 여부에 따라 우승 팀이 획득 상금을 두 배로 가져갈지가 결정된다.

2. 2007년 설 특집(153회, 2007년 2월 19일)

가족과 함께하는 설 특집으로 진행되었다.
  • 1, 2단계는 2007년에 진행된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며 우승 가족은 최고의 우리말 가족에 도전한다.
  • 최고의 우리말 가족 도전 단계
    • 우승 가족은 우승 상금 (우승 점수x1,000)원 확보
    • 첫 번째 문제: 우승 상금 + 100만 원, 총 낱말 9개 중 정답 3개. 선택한 3개 중 하나만 맞혀도 성공
    • 두 번째 문제: 첫 번째 문제 상금 + 300만 원, 총 낱말 9개 중 정답 2개. 선택한 2개 중 하나만 맞혀도 성공
    • 세 번째 문제: 두 번째 문제 상금 + 500만 원, 총 낱말 9개 중 정답 1개. 선택할 수 있는 낱말은 1개.

3. 2007년 추석 특집(182회, 2007년 9월 24일)

다문화 가정과 함께하는 추석 특집으로 진행되었다.
  • 1단계
    • 첫째 판: 세 글자 끝말잇기. 외래어, 고유명사 제외. '다시'를 외치면 수정 가능. 한 낱말당 10점씩 획득, 제한 시간 60초.
    • 둘째 판: 연상 복합어 맞히기. 주어진 첫소리를 보고 연상되는 복합어를 맞히는 문제로 가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한 시간 60초. 10점씩 모두 10문제. 10문제 모두 맞힐 경우 50점 추가.
    • 셋째 판: 자주 쓰는 표현 말 맞히기. 누름단추를 눌러 정답 말할 기회 획득. 한 문제당 20점, 모두 10문제. 한국인 가족 도움 없이 외국인 참가자만 문제를 풀 수 있음.
  • 문제를 다 풀고 점수가 높은 2명이 2단계 진출.
  • 2단계: 가로세로 낱말 맞히기로 여기선 문제를 맞히지 못해도 감점은 없음. 최종 낱말을 제외한 모든 문제에서 한국인 도전자의 도움을 두 번 받을 수 있다.
  • 명예 우리말 달인 도전 단계
    • 설명을 듣고 제시된 단어를 맞춤법에 맞게 받아쓰는 문제.
    • 총 3단계 문제가 주어짐.
    • 3문제를 모두 맞히면 명예 우리말 달인에 등극하며, 1,000만 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
    • 우승자는 100만 원을 확보한 후 달인 문제 도전.
    • 1단계(1음절) 성공 시 누적 상금: 200만 원
    • 2단계(2음절) 성공 시 누적 상금: 500만 원
    • 3단계(3음절) 성공 시 누적 상금: 1,000만 원

4. 2007년 왕중왕전(196회, 2007년 12월 31일)

9대 달인부터 12대 달인들이 펼치는 왕중왕전으로 진행되었다.
  • 1단계
    • 첫째 판: 보기 10개 중 제시어와 관련된 정답 6개 찾기, 개인전으로 진행되며, 한 문제당 20점, 모두 맞히면 200점이 주어진다.(중간에 오답을 고르면 문제 풀이 종료)
    • 둘째 판: 사전적 정의 맞히기, 형식은 전과 동일
    • 셋째 판: 점수가 높은 사람이 상대편을 지목해서 1:1 맞대결을 펼친다. 문제 유형은 2음절 단어 맞히기 버저 형식으로 진행되며, 한 문제당 30점이 주어진다.(총 10문제)
    • 넷째 판: 1단계 셋째 판과 동일하며, 문제 유형은 3지선다 형식으로, 한 문제당 50점이 주어진다(총 10문제). 각 대결마다 한 문제에는 행운을 잡아라 문제로 60만 원 상품권이 걸려 있다.
  • 문제를 다 풀고 점수가 높은 2명이 2단계에 진출하며, 그 뒤 형식은 전과 동일하다.

5. 2009년 패자부활전(277회, 2009년 8월 3일)

  • 1단계
    • 첫째 판: 10개의 낱말 중 정답 5개 찾기(개인전으로 진행, 한 문제당 50점, 오답을 고르면 문제 풀이 종료)
    • 둘째 판: 세 개의 뜻풀이를 보고, 그에 맞는 동음어 맞히기(누름단추 형식, 한 문제당 100점, 총 10문제)
    • 셋째 판: 2007년 왕중왕전 1단계 넷째 판과 유사하다.
    • 넷째 판: 사전적 정의 맞히기, 형식은 전과 동일(단, 1단계 점수가 2단계로 이어지지 않음.)
  • 문제를 다 풀고 상위 2명이 결승에 진출하며, 그 뒤 형식은 전과 동일하다.(낱말 맞히기 문제는 20개로 늘어났고, 문장 문제도 들어있음.)

6. 2008~2009 왕중왕전(298회, 2009년 12월 28일)

  • 2008~2009년 달인 4명이 참가하며 진행 방식은 이듬해인 2010년 2월 1일부터 쓰게 될 진행 방식의 파일럿판이다.
  • 또한 누름 단추 기계의 쓰기 기능 시험 경기를 겸하기도 했다.[1]
  • 1-1-1단계: 단어를 보고, 3음절 명사 만들기(예: 김치 - ㄱ, ㄷ, ㅁ, ㅅ, ㅍ(김칫국, 파김치, 김칫독)) 개인전으로 진행되며, 한 단어당 50점이 주어진다.(제한 시간 60초)
  • 1-1-2단계: 단어를 보고, 동사, 형용사 만들기(예: ㅂㄴ가다, ㅈㄴ가다 - 빗나가다, 지나가다) 개인전으로 진행되며, 한 단어당 50점이 주어진다.(제한 시간 60초)
  • 1-1-3단계: 2010년 2월 1일 ~ 2011년 6월 27일 2단계 진행 형식과 유사하다.(여기서 점수가 낮은 한 사람이 떨어짐)
  • 1-2단계: 사전적 정의 맞히기(단, 1단계 점수가 2단계로 이어지지 않음)
  • 2단계: 가로세로 낱말 맞히기 - 점수 제도가 없으며[2], 최종 단어를 맞히는 사람이 우승
  • 달인 도전 문제: 9개의 양자택일 문제 풀기(모두 맞히면 3,000만 원, 실패하면 100만 원 획득)

7. 400회 특집 왕중왕전(2012년 1월 9일)

역대 달인들 중 15명이 대결을 펼쳤으며, 초대 MC인 정재환과 엄지인 아나운서가 같이 진행을 했다.
  • 1단계: 국립 국어원에서 선정한 국어 순화어 맞히기. 총 5문제, 한 문제당 50점(공통 쓰기 문제)
  • 2단계: 맞춤법, 띄어쓰기 문제로 구성. 총 15문제, 한 문제당 50점(공통 쓰기 문제)
  • 3단계: 10문제 연상 문제(형식은 전과 동일, 겹낱말 5문제, 공통 낱말 5문제로 구성)
  • 여기서 점수가 높은 3명이 다음 단계 진출
  • 4단계: 주어진 초성으로 3음절 단어 맞히기(한 문제당 50점 부여) 단, 지명, 인명, 외래어는 제외
  • 5단계: 사전적 정의 맞히기(형식은 전과 동일) - 우승자는 1,000만 원 상금 획득
  • 왕중왕 도전 문제: 2012~2013년 달인 도전 형식과 동일(도전에 성공하면 우승 상금의 두 배 획득)

8. 국군의 날 특집(434회, 2012년 10월 1일)

  • 예비: 장병 300명이 OX 퀴즈 3문제를 통해 과반수가 통과하면 전원에게 1만 원 상품권이 주어진다.(야외에서 진행)
  • 1단계: 2인 1조로 우리말과 관련된 스피드 퀴즈 풀기(한 문제당 50점, 제한 시간 60초)
  • 2단계: 연상 문제 풀이로 총 7문제며, 한 문제에는 휴가를 잡아라 문제로 포상 휴가증이 걸려 있다.(상위 두 조 결승 진출)
  • 3단계: 십자말풀이, 형식은 66~374회 진행 방식과 동일.[3]
  • 4단계(명예 달인 도전): 병영일기에서 맞춤법과 띄어쓰기 올바르게 고치기. 맞춤법은 총 5문제가 주어지며, 한 문제당 100만 원이 주어진다.(주관식도 있음) 띄어쓰기는 60초 간 문장을 고쳐 쓰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성공하면 맞춤법 문제에서 받은 상금의 두 배가 주어지며, 최대 1,000만 원까지 획득 가능하다.

9. 한글날 특집(435회, 2012년 10월 8일)

5명의 중학생으로 이루어진 네 조가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을 기초로 한 문제들로 대결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 1단계: 끝말잇기로, 주어진 단어를 보고 끝말을 이어가는 형식, 명사만 허용되며, 지명, 인명, 외래어는 정답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세 번의 기회가 주어지며, 한 문제당 50점이 주어진다.(최대 300점 획득 가능)
  • 2단계: 소설 메밀꽃 필 무렵에서 발췌한 문장 속의 낱말 뜻풀이, 한 조씩 개인으로 진행되며, 한 문장당 100점이 주어진다.(세 번의 기회가 주어지며, 첫 번째 시도에서 모두 맞히면 500점 획득)
  • 3단계: 주어진 초성으로 사자성어 만들기, 한 학생이 문제를 설명하면, 다른 네 사람이 한 음절씩 답을 적는 형식으로 진행된다.(예: ㄱㅅㅊㅎ - 금상첨화)(총 3문제, 1문제당 200점, 한 팀씩 진행) 여기서 점수가 높은 두 조가 다음 단계에 진출한다.
  • 4단계: 소설 메밀꽃 필 무렵에서 발췌한 문장에서 문제가 출제되며, 맞춤법 5문제(한 문제당 150점), 띄어쓰기 1문제(200점)로 구성된다. 여기서 점수가 높은 한 조가 명예 우리말 달인에 도전한다.
  • 5단계(명예 달인 도전): 십자말풀이로, 2012~2013년 십자말풀이 진행 방식과 동일하다. 여기서는 한 사람씩 차례대로 문제를 풀며, 한 사람이 탈락하면 다음 사람이 계속 문제를 푸는 형식으로 진행해서 다섯 명이 모두 떨어질 때까지 문제 풀이가 계속된다.
  • 명예 우리말 달인에 등극 시 우승 조에게는 500만 원이 주어지며, 나머지 세 조에게도 100만 원이 주어진다.(실패 시 (4단계 누적 점수 x 1000)원의 상금 부여)

10. 글로벌 우리말 겨루기(2023년 10월 9일~2023년 11월 6일)

10.1. 프랑스, 미국, 이집트, 베트남 예선(2023년 10월 9일~2023년 10월 30일)

프랑스 예선에서는 우리말 겨루기 우승자 출신인 파비앙, 미국 예선에서는 우리말 겨루기 우승자 출신인 크리스, 이집트 예선에서는 방송인 새미, 베트남 예선에서는 하리원이 박지원 아나운서와 함께 진행했다.
  • 예선 1차전: OX 문제, 띄어쓰기, 맞춤법 등 다양한 문제가 출제되고, 6명이 남을 때까지 진행한다.
  • 예선 2차전: 십자말풀이 15문제. 100점짜리 12문제, 200점짜리 3문제가 출제되며 100점 혹은 200점 상관 없이 문제를 선택할 수 있다. 가장 점수를 많이 쌓은 2명이 한국 본선에 진출하며 우승자는 200만 원, 준우승자는 100만 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10.2. 한국 본선(2023년 11월 6일)

총 3단계로 진행되었다.
  • 1단계
    • 몸풀기 OX 5문제(30초)
    • 1~3번: 한국 관련 문제
    • 4~5번: 맞춤법 문제
    • 한 문제당 50점 획득
  • 2단계
    • 십자말풀이 10문제
    • 맞히면 100점 획득, 맞히지 못하면 50점 감점
  • 3단계
    • 유형 선택 5문제(계절, 민속, 속담, 음악, 작가)
    • 맞히면 200점 획득, 맞히지 못하면 50점 감점
  • 3단계 종료 후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나라가 우승 상금 1,000만 원 획득

11. 2024년 여름방학 특집(2024년 8월 12일~2024년 9월 2일)

  • 공통 사항
    • 2인 1조 대결 종료 후 상위 2개 조가 개인전 단계 진출.
    • 1위 조 개인전 기본 점수: 200점, 2위 조 개인전 기본 점수: 100점.
    • 개인전 단계에 공동 1위로 진출한 경우, 기본 점수는 모두 200점.
    • 4인 대결은 본편 대결과 동일.
    • 개인전 단계 종료 후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도전자가 우승 상금 1,000만 원 획득.
  • 이 특집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2024년 하반기 바른 방송 언어상을 수상했다.

11.1. 초등학생 편(2024년 8월 12일)

  • 1단계(2인 1조 대결): 주제어 총 10문제. 맞히면 100점 획득, 틀리면 50점 감점.
  • 2단계(개인전): 4인 대결, 각자 풀기 문제. 한 사람당 2문제(맞춤법 1문제, 띄어쓰기 1문제, 문제당 10초). 맞히면 문제당 50점 획득.
  • 3단계(개인전): 4인 대결, 5회전(회전당 100점 혹은 200점)으로 진행.

11.2. 중학생 편(2024년 8월 19일)

  • 1단계(몸풀기 OX 문제): 한 조당 4문제(25초), 맞히면 문제당 50점 획득.
  • 2단계(2인 1조 대결): 주제어 총 10문제. 맞히면 100점 획득, 맞히지 못하면 50점 감점.
  • 3단계 (개별 문제): 2019년 이후 달인 1단계와 동일하며 맞춤법 2문제, 띄어쓰기 1문제 출제 (한 문제 당 50점, 문제당 7초).

11.3. 고등학생 편(2024년 8월 26일)

  • 1단계(2인 1조 대결): 공통 3문제(첫소리, 뜻풀이 문제). 같은 조 2명이 모두 정답을 맞히면 문제당 50점 획득.
  • 2단계(2인 1조 대결): 주제어 총 10문제. 맞히면 100점 획득, 맞히지 못하면 50점 감점.
  • 3단계(개인전): 본편 형식과 동일.

11.4. 교사 편(2024년 9월 2일)

  • 1단계(몸풀기 OX 문제): 한 조당 4문제(25초), 맞히면 문제당 50점 획득.
  • 2단계(2인 1조 대결): 주제어 총 10문제. 맞히면 100점 획득, 틀리면 50점 감점.
  • 3단계
    • 각자 풀기 문제: 양자택일 문제. 한 사람당 3문제(맞춤법 2문제, 띄어쓰기 1문제, 문제당 7초). 맞히면 문제당 50점 획득.
    • 개인전: 4인 대결, 7회전(회전당 100점 혹은 200점)으로 진행.

12. 연말 특집 최강자전(2024년 12월 2일~2024년 12월 23일, 2025년 1월 6일[4])

  • 박형욱 성우와 함께 엄태국 성우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 여기선 2년 간의 유예 기간은 적용되지 않으며, 우승자나 달인 위주로 본선 진출자가 뽑혔다.
  • 예심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32명이 4개 조로 나뉘어서 대결을 펼치며, 상위 2명이 결승에 진출한다.
  • 본선 우승자에게는 1,000만 원, 결선 우승자에게는 6,000만 원이 주어진다.
  • 엄격한 심사를 위해 국립국어원 전문가가 현장 감수에 참여했으며, 그만큼 여느 방송보다도 난도가 훨씬 높다.
  • 후에 최강자전의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2025년 3월 4일에 아침마당 화요초대석에 출연한 뒤 2025년 3월 17일 방영분에서 특별 출제자로 나왔다.

12.1. 본선 1~4차전(2024년 12월 2일~2024년 12월 23일)

  • 1단계(조별 4:4 대결)
    • 사전 제비뽑기로 우리말 조, 겨루기 조 결정
    • 문제마다 정답자는 개인 점수 100점 획득, 맞히지 못해도 감점 없음.
    • 정답자가 많은 조 전원에게 추가 점수 100점을 부여한다.
      • 1차전: 주제어가 하나씩 공개되면 도전할 조원은 누름단추를 누르며 해당 문제는 주제어 문제에 도전한 조원만 풀 수 있다.
      • 2차전, 4차전: 주제어 4개를 모두 공개 후, 각 조에서는 각 주제어 문제에 도전할 조원을 정한다.
      • 3차전: 주제어를 공개하기 전, 각 조에서 문제에 도전할 조원은 누름단추를 누른다. 문제에 도전할 조원이 정해지면 주제어를 공개한다.
    • 동점일 경우, 동점 조 문제를 푼다. 전원에게 기회가 있으며, 이 문제를 맞힌 조의 조원은 100점씩 획득하며 개인 점수의 변화는 없다.
    • 승부가 결정되어도 문제 풀이는 이어진다.
  • 2단계(십자말풀이)
    • 8인 개인전 누름단추 대결
    • 총 12문제
    • 맞히면 100점 획득, 맞히지 못하면 50점 감점. 쓰기 문제도 동일.
    • 2단계 첫 번째 문제는 진행자가 선택하며 그다음 문제부터는 문제를 맞힌 참가자가 선택한다. 공통 쓰기 문제의 경우, 그다음 문제는 진행자가 선택한다.
    • 상위 4명이 3단계 진출. 동점자가 있을 경우, 동점자 문제로 진출자 결정.
    • 2단계에서 획득한 점수는 3단계로 이어지지 않는다.
    • 십자말풀이는 1년여 만에 진행 방식으로 등장했다.
  • 3단계(4인전)
    • 누름단추 주제어 문제
    • 문제당 100점, 맞히지 못해도 감점 없음.
    • 3단계 첫 번째 문제는 2단계에서 점수가 가장 높았던 참가자가 선택한다. 2단계에서 공동 1위를 한 참가자들이 있다면, 참가자들끼리 가위바위보를 해서 이긴 참가자가 문제를 먼저 선택한다. 그다음 문제부터는 문제를 맞힌 참가자가 선택한다. 4단계 진출이 확정된 첫 번째 참가자가 나올 경우, 그다음 문제는 진행자가 선택한다.
    • 300점(3문제)을 먼저 획득한 2명이 4단계에 진출하며 결선 진출권을 획득한다.
    • 3단계에서 획득한 점수는 4단계로 이어지지 않는다.
    • 주어진 문제는 10문제며, 4단계 진출자가 결정될 경우 남은 문제와 관계없이 문제 풀이는 종료된다.
  • 4단계(2인전)
    • 5회전으로 진행(쓰기 3문제, 누름단추 2문제)
    • 문제당 100점, 동점 시 50점 부여.
    • 높은 점수를 획득한 참가자가 우승 상금 1,000만 원을 획득한다.
    • 우승자가 결정될 경우 남은 문제와 관계없이 문제 풀이는 종료된다.
    • 두 참가자가 동점일 경우, 동점자 문제로 우승자를 결정한다.
    • 출제 유형
      • 1회전(양자택일)
        • 748회~ 달인 도전 1단계 유형과 동일.
        • 단어 고르기 쓰기 문제.
        • 두 참가자가 3문제를 동시에 쓰기 형식으로 풀며, 한 문제당 10초가 주어진다.
        • 3문제를 모두 푼 후 정답을 공개하며, 정답을 더 많이 맞힌 참가자가 100점을 획득하며 정답 개수가 같을 경우 50점 획득.
        • 492~510회 연승 도전 문제와 달인 도전 문제에 나왔던 bgm을 사용했다.
        • 홀수 회차의 경우 한국 소설의 한 문장을 제시했다.
      • 2회전(띄어쓰기)
        • 748회~ 달인 도전 2단계 유형과 동일.[5]
        • 띄어쓰기 문제.
        • 두 참가자가 동시에 문제를 푼다. 주어진 문장을 60초 안에 띄어쓰기 하며, 띄어 써야 할 부분을 문장이 적힌 답판에 표시한다. 답판에 빨간색 펜으로 표시하면 그 답은 수정할 수 없다.[6]
        • 정답을 맞히거나 오답 개수가 적은 참가자가 100점을 획득하며, 두 참가자가 모두 정답을 맞혔거나 오답 개수가 같을 경우 50점씩 획득한다.
      • 3회전(심화 어휘)
        • 748회~ 달인 도전 3단계 유형과 동일.
        • 심화 어휘 쓰기 문제.
        • 5개의 보기 중 제시된 단어의 뜻풀이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단어를 고르며, 해당되는 답의 번호를 10초 안에 적는다.
        • 정답을 맞힌 참가자가 100점을 획득하며 두 참가자의 답이 같을 경우 50점씩 획득한다.
      • 4, 5회전(누름단추)
        • 문제를 듣고, 누름단추를 눌러서 답을 맞힌다. 정답을 맞힌 참가자는 100점을 획득한다.

12.2. 결선(2025년 1월 6일)

  • 1단계(1:1 대결)
    • 본선 우승자와 준우승자가 대결을 펼치며 같은 방송에 출연한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대결을 펼치지 않는다.
    • 정답을 맞힌 참가자는 개인 점수 100점 획득, 감점 없음.
    • 첫소리 문제로 진행되며 '최', '강', '자', '전' 중 하나를 선택한다. 문제를 선택할 도전자는 사전에 지정되었다.
    • 대진
      • 1차전 우승자 VS 4차전 준우승자
      • 2차전 우승자 VS 3차전 준우승자
      • 3차전 우승자 VS 2차전 준우승자
      • 4차전 우승자 VS 1차전 준우승자
  • 2단계(십자말풀이): 본선 1~4차전과 동일하다.
  • 3단계(4인전): 본선 1~4차전과 동일하다.
  • 4단계(2인전)
    • 전체 진행 방식은 본선 1~4차전과 동일하다.
    • 높은 점수를 획득한 참가자가 최강자가 되어 6,000만 원을 받는다.
    • 출제 유형
      • 1회전(양자택일): 본선 1~4차전 4단계 1회전과 동일
      • 2회전(심화 어휘): 본선 1~4차전 4단계 3회전과 동일
      • 3회전(우리말 꾸러미)
        • 쓰기 문제(60초)
        • 주어진 보기 중 복수 표준어, 한 단어 등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올바른 표준어 단어를 모두 골라 쓰는 문제.
        • 정답을 맞히거나 오답 개수가 적은 참가자가 100점을 획득하며, 모두 정답을 맞혔거나 오답 개수가 같을 경우 50점씩 획득한다.
      • 4, 5회전(누름단추): 본선 1~4차전 4단계 4, 5회전과 동일

13. 2025년 여름방학 특집 사제동행(2025년 8월 11일~8월 25일)

  • 초, 중, 고등학생과 같은 학교의 교사로 이루어진 2인 1조 4팀이 대결을 벌여서 우승 조의 교사에게는 300만 원, 학생은 200만 원이 주어지며 1,000만 원은 우승 조의 학교 발전 기금으로 사용된다.
  • 현직 교사와 학생 2인 1조로 참여할 수 있으며, 같은 학교에서 여러 팀이 접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작년 여름방학 특집 우승자는 제외)
  • 이 특집부터 문제 자막 모양이 바뀌었다.

13.1. 1단계

  • 초등학생: 첫소리 문제 (5문제, 50점) - 977회~ 형식과 동일하나 다른 점이 있다면 제시되는 첫소리를 두 글자씩 나누어 맞히며, 교사부터 학생 순서로 말해야 한다.
  • 중학생: 표준어 및 띄어쓰기 양자택일 문제 (4문제, 50점), 주어진 보기를 보고 5초 안에 1, 2 패널 중 하나 선택.
  • 고등학생: O/X 퀴즈 (5문제, 50점)

13.2. 2단계

  • 십자말풀이 12문제 출제 (상의 불가능, 맞히면 100점 획득, 맞히지 못하면 50점 감점)
    • 초등학생: 교사, 학생 문제 개수 동일. 행운권을 획득하는 문제를 맞힐 경우 2단계 문제 풀이 중 원하는 문제에 행운권을 쓸 수 있으며, 우선권 획득과 함께 서로 상의해서 풀 수 있다.
    • 중학생: 교사, 학생, 공통 문제 개수 동일.
    • 고등학생: 교사 4문제, 학생 6문제, 공통 2문제
  • 상위 두 조가 3단계 진출.

13.3. 3단계

  • 총 6문제 (고등학생 편은 5문제)
    • 초등학생: 학생, 교사 각각 3문제
    • 중학생: 학생, 교사, 공통 3문제
    • 고등학생: 선생님, 학생 2문제, 공통 1문제
  • 2단계 점수는 승계되지 않으며, 1위 팀에게 200점, 2위 팀에게 100점이 부여된다.
  • 문제 선택권은 가위바위보의 승자 팀에게 주어지며, 이전과 달리 글자 선택 후 배점(100점 혹은 200점)이 공개된다.[7]
  • 문제 선택 표
    • 초등학생
      1회전 2회전 3회전 4회전 5회전 6회전


    • 중학생
      1회전 2회전 3회전 4회전 5회전 6회전


    • 고등학생
      1회전 2회전 3회전 4회전 5회전


14. 다문화 청소년 특집(2025년 9월 29일, 10월 27일, 11월 24일, 12월 22일)

  • 2025년 9월부터 11월 마지막 주에 본선 대결을 벌여 우승자 3명과 최다 득점을 한 준우승 1명에게 연말 결선 출연 기회가 주어진다.
  • 본선 우승자에게는 500만 원, 결선 우승자에게는 1,000만 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 이 특집부터 세트장과 자막 그래픽이 바뀌었다.
  • 달인 제도 이전의 형식처럼 연예인과 다문화 청소년이 2인 1조로 팀을 이룬다. 연예인 짝꿍은 2단계까지 참가자와 문제를 함께 풀며, 3단계에서는 참가자만 문제를 푼다.
  • 방영분: 1부 / 2부

14.1. 1단계

  • 1부(본선 1차전)
    • 2인 1조 대결 - 속담 몸으로 말해요
      • 한 조당 4문제(50초)
      • 한 문제당 50점, 감점 없음
      • 짝꿍은 몸짓과 의성어로 속담 설명
  • 2부(본선 2차전)
    • 2인 1조 대결 - 끝말잇기
      • 첫소리에 맞는 낱말 잇기
      • 짝꿍은 몸짓과 간단한 설명으로 도움
      • 한 조당 4문제(30초)
      • 한 문제당 50점, 감점 없음

14.2. 2단계

  • 2인 1조 대결 - 십자말풀이
    • 도전자용 6문제, 짝꿍용 2문제, 공통 2문제.
    • 공통 문제를 제외한 나머지 문제는 상의할 수 없음.
    • 맞히면 100점 획득, 맞히지 못하면 50점 감점.
    • 행운권(기본 점수에 100점 추가) 문제 있음.

14.3. 3단계

  • 4인 대결
    • 첫 번째 문제는 2단계 종료 후 1위인 참가자가 선택하며, 사제동행 특집처럼 글자 선택 후 배점(100점 혹은 200점)이 공개된다.
    • 공통 쓰기 문제 후에는 가위바위보를 이긴 참가자(1부) 혹은 진행자(2부)가 다음 문제를 선택한다.
    • 1부(본선 1차전)에서는 행운권(문제 점수에 100점 추가) 문제도 출제되었다.
    • 문제 선택 표
      • 1부(본선 1차전)
        1회전 2회전 3회전 4회전 5회전 6회전


      • 2부(본선 2차전)
        1회전 2회전 3회전 4회전 5회전 6회전




[1] 참고로, 누름 단추 기계의 쓰기 기능은 2010년 2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었다.[2] 따라서 상대가 맞히지 못한 문제를 맞힐 수 있는 제도 또한 없다.[3] 여기선 최종 단어를 맞힐 수 있는 기회가 2번 주어졌다.[4] 결승전은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인해서 1주 순연되었다.[5] 디자인과 글씨체는 첫번째 조를 제외하면 달인 문제와 다르다.[6] 첫 회에서는 족자에 적힌 답판에 표시했으며, 그 뒤에는 패널에다가 표시했다.[7] 본편에서도 1058회부터 이 형식이 적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