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퍼즐 챔피언 | |||
| 1~33회 | 34~65회 | 66~87회 | 88~141회 | |
| 142~263회 | 264~302회 | 303~374회 | 375~399회 | |
| 400~491회 | 492~510회 | 511~555회 | 556회~ | |
| 특집 | ||||
| 우리말 달인|각종 기록|시청률 | ||||
1. 개요
- 2011년 7월 4일 패자 부활전의 과도기를 거쳐 2011년 7월 11일부터 2012년 1월 2일까지 도입된 진행 방식으로 총 4단계로 되어 있다. 단계 하나가 없어진 대신 달인 도전 단계의 방송 분량이 그만큼 길어졌다. 또한 도움말로 속담, 예시문장, 문학 작품의 문구 등을 인용해서 범위가 다양해졌다.
- 띄어쓰기는 범위에서 제외되었으며, 한자어의 비중이 줄고 고유어(순우리말)의 비중이 크게 증가한 것도 특징. 또한 이때부터 어휘 문제의 수가 줄어든 대신, 고급 어휘 학습이 필요하도록 출제 메타가 변경되었다.
2. 1단계 - 첫소리 수수께끼
- 출연자 자기소개 없이 바로 시작한다.
- 도움 단어 하나와 일부 초성만 열린 정답 단어가 주어진다.(예: 우리말 - ㄱㄹㄱ(겨루기))
- 버저를 먼저 누르는 사람에게 기회가 주어지며, 도움 단어를 보고 연상되는 정답 단어를 맞힌다.
- 여기서 점수를 많이 따 놓으면 2단계에서 어느 정도 유리해진다.[1]
- 총 10문제로 기본 점수는 200점이 주어지며, 정답 여부에 따라 50점이 가감된다.
- 점수를 모두 잃으면 남은 문제를 풀 기회가 상실되며, 이렇게 되면 2단계에서 상당히 많은 점수를 얻어야 탈락의 위험을 벗어날 수 있다.[2]
- 첫소리 문제로 진행되는 해당 단계의 진행 방식은 556~976회 진행 방식의 본 대결인 십자말풀이의 초반 개인전 문제(1~4번 문제)와 거의 유사하다.
3. 2단계 - 연상 낱말 맞히기
- 2단계에서 드디어 자기소개를 시작한다.
- 기존과 달라진 점은 개편 전의 1대 4와는 달리 5명이 동등한 입장이 되었다는 것.
- 도전자는 옷깃차례로 돌아가면서 1~5번 가운데서 선택하는데, 여기에 써 있는 제시어들은 첫 번째 문제 제시어로 출제된다.
- 초성 중 하나가 열린 단어(주로 명사)가 열리며, 도움말이 총 4번 제시된다.
- 도움말은 단어 3개와 문장(주로 속담) 하나로 되어 있다.
- 이 도움말들을 보고 연상되는 단어를 5명이 모두 적어 맞히는데, 자신 있다 싶으면 버저를 누른 후 답을 미리 쓸 수 있다.[3] 도움말이 n개 주어질 때 답을 써서 맞히면 (200-50×(n-1))점[4]을 얻게 된다.
- 도움말을 몇 개 눌렀는지는 출연자가 작성한 답을 보여주는 모니터 상단에 표시되는 색깔로 구분하다가, 2011년 8월 15일 방송분부터는 모니터에 해당 점수를 같이 띄워 주고 있다.
| 도움말 개수 | 버저 색깔 | 해당 점수 |
| 1 | 빨간색 | 200 |
| 2 | 연두색 | 150 |
| 3 | 파란색 | 100 |
| 4 | 없음 | 50 |
- 따라서 자신이 있다면 버저를 일찍 눌러서 고득점을 노리는 것이 승부의 관건이며, 다만 버저를 눌러서 답을 쓴 후 다음 도움말이 제시되면 더 이상 답을 수정할 수 없으므로, 자신이 없다면 버저를 신중하게 눌러야 한다.
-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2명이 3단계에 진출.
- 써야 하는 답은 보통 쉬운 단어이기 때문에, 너무 어려운 단어를 쓰지 않는 것도 공략.
- 2011년 패자 부활전에서는 예전처럼 1:4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때는 4인 가운데서도 도움말을 멈출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며, 4인 가운데 도움말을 멈춘 사람이 맞히면 200점을 획득, 그렇지 않으면 100점이 감점된다.
- 2단계가 끝났는데 승부가 결정되지 않을 경우, 3단계 진출자를 제외시킨 후 2단계 유형 문제를 하나 더 내서 먼저 맞힌 사람이 3단계에 진출한다.[5]
4. 3단계 - 우리말 뜻 맞히기
- 2011년 11월 7일 방송분까지는 기본 점수 없이 시작했으며, 2011년 11월 14일 방송분부터는 이전 단계에서의 점수가 승계되었다.
- 우리말 단어[6]와 초성 몇 가지를 제시한 후, 단어 뜻의 부분 부분을 지워 놓고 그 뜻을 완성하는 문제.(형식은 전과 동일)
- 문제는 총 4문제 주어진다.
- 점수가 높은 사람이 우승하며, 만약에 점수차가 많이 벌어지면 콜드게임으로 우승자가 결정된다.
- 2011년 패자 부활전에서는 4문제 모두 버저 형식으로 출제가 되었으며, 이 때는 한 단어씩 답을 얘기할 수도 있었다.
- 동점일 경우에는 초성이 없는 형태의 3단계 유형 문제를 하나 내며, 문장을 먼저 완성한 사람이 우승한다.[7]
5. 4단계 - 달인 도전 단계(십자말풀이[8])
- 기존의 가로세로 퍼즐을 혼자서 푼다고 보면 되며, 이전엔 단어만 나왔던 형식에서 이 때부터는 문장, 속담, 관용구, 형용사 (~다) 등 다양한 문제들이 등장한다.
- 속담이나 관용구는 매번 한 문제씩 꼭 들어가며, 맞춤법에 틀린 문제를 올바르게 고치는 문제도 있었다.
- 문학 작품에 나오는 순우리말도 출제되며 순우리말과 부사의 출제 비중이 높아졌다.
- 20문제를 번호순으로 푼 다음 맞히지 못한 문제 중 하나씩 골라 다시 한 번 풀 수 있는 기회를 주는데, 여기서 고른 문제를 못 맞히면 바로 끝이다. 문제를 일단 고르고 나면 번복할 수 없기 때문에 신중히 골라야 하며, 문제 잘못 골라서 낭패본 우승자들 많다.
- 우승자가 달인 도전에 실패하면 엄지인 아나운서가 클로징 멘트를 하기 전에 못 푼 문제의 정답을 풀이하기도 했다.[9]
- 이 20문제의 난관을 헤치고 달인이 된 사람은 단 3명(24~26대) 밖에 없다.[10]
- 나름대로 침착성이 중요한 단계로, 단어들이 퍼즐로 연결되어 있는 특성상 잘 맞힐 땐 승승장구해 나가지만 한 번 당황하기 시작하면 점차 꼬여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도 다른 형식과는 달리 열린 글자를 토대 삼아서 맞힐 수 있기 때문에 맞춤법 체계가 있는 달인 체제보다는 나은 편.
- 방송 당일 우리말 겨루기 누리집(홈페이지)에서 십자말풀이 판을 제공했으며, 이를 내려받아 출력하여 시청자도 같이 풀어볼 수 있도록 했다. hwp 파일로 되어 있으며, 가로세로 그림만 달랑 그려져 있는 게 전부다. 또한, 문제 및 답은 일절 나와 있지 않으므로 방송을 보면서 참고하여 풀어야 한다.
- 여담이지만 우승자가 답을 말했는데 엄지인 아나운서가 뜸을 들이면서 정답이~, 혹은 정답~이라고 말하면 십중팔구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그 뒤에 아닙니다!라는 말이 오기 때문.[11]
- 이때부터는 우승자와 진행자가 먼저 이야기를 나누고, 그 이후에 진행자가 상금과 달인 도전 규칙을 안내한다.
- 달인 도전 단계가 이 진행 방식으로 바뀌고 난 뒤, 이 때부터 우승자가 문제를 풀 때 흘러나오는 BGM은 491회(2013년 11월 18일 방송분)까지 사용했다.
6. 달인 도전 상금
| 결과 | 상금 |
| 달인 등극 시 | 3,000+(1~3단계 획득 점수×1,000)만 원 |
| 1~5개 | 50만 원 |
| 6~10개 | 100만 원 |
| 11~14개 | 150만 원 |
| 15~19개 | 200만 원 |
[1] 실력이 좋으면 2단계에서 1000점 이상도 노릴 수 있다. 최대 이론치는 2000점.[2] 실제로 이런 사례는 단 한 번도 없었다.[3] 도움말을 보고 버저를 누를 때는 일반적인 버저음이 아닌 다른 버전의 버저음을 사용한다.[4] 2011년 11월 7일까지는 (400-100×(n-1))점[5] 여기서 동점자 문제가 나온 방송일은 다음과 같다. 2011년 11월 14일에 나왔으며, 2011년 11월 21일에는 4명의 동점자가 나왔다.[6] 주로 동사며, 명사도 가끔 나온다.[7] 여기서 동점자 퀴즈가 나온 경우는 총 4번 있었다.(2011년 8월 1일 - 3단계 문제를 두 명 모두 한 번도 틀리지 않고 모두 맞혔고, 동점자 문제도 버저를 먼저 누른 사람이 한 번에 맞혔다.(2011년 8월 29일, 2011년 10월 3일, 2011년 10월 17일)[8] 이전에는 가로세로 낱말 잇기였으며 2011년 10월 10일부터 해당 제목으로 변경되었다.[9] 맞히지 못한 문제가 많을 경우 자막으로 빠르게 답을 공개하곤 했다.[10] 여기서 1차 시도에서 가장 많이 맞힌 기록은 18문제.(2011년 8월 8일)[11] 예외로, 399회에 불뚱가지라고 답했는데 엄지인 아나운서가 "정답"하고 "맞습니다!"라고 한적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