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11:20:35

용살자(유희왕)


1. 개요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카드명은 일어판 기준으로 '용살자'라고 쓰고 '드래곤 킬러'라고 읽는다.[1]

2. 설명

2.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파일:DragonSeeker-DM2-JP-VG.png 파일:DragonSeeker-DM3-JP-VG.png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한글판 명칭 용살자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竜殺者, ruby=ドラゴン・キラー)]
영어판 명칭 Dragon Seeker
일반 몬스터 (DM1, DM2)
효과 몬스터 (DM3~DM8)
레벨 소환마족 종족 공격력 수비력
6[2] 악마마족 악마족 2000 2100
드래곤을 쓰러뜨리기 위해 마계에서 보내진 살육 몬스터.(DM1, DM2)
마계에서 온 살육 몬스터는 상대의 드래곤족을 전부 쓰러뜨린다. (DM3, DM4)
적의 필드의 드래곤족을 전부 파괴하는 효과를 가졌다. (DM7, 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부터는 상대 필드의 드래곤족을 전부 파괴하는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가 되었다. 제거 효과야 강하기는 하지만, 해당 시리즈에서는 기동 효과를 사용한 몬스터는 공격을 못하게 되므로 OCG판과 일장일단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다만 레벨 책정이 독자적으로 이루어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최상급 몬스터로 설정되는 바람에 실용성이 급락해버렸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DragonSeeker-BE2-JP-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용살자,
일어판명칭=<ruby>竜殺者<rp>(</rp><rt>ドラゴン・キラー</rt><rp>)</rp></ruby>,
영어판명칭=Dragon Seeker,
레벨=6,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000, 수비력=21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했을 때\,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드래곤족 몬스터를 파괴한다.)]

소환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대상 지정하고 파괴하는 유발 효과를 가진 상급 효과 몬스터.

드래곤족 전용 메타 카드지만, 같은 종족 / 속성 / 레벨을 가진 사 제왕 가이우스보다 나을 것이 없다. 더 비슷한 효과를 가진 번개 제왕 자보르그도 마찬가지로 공격력이 더 높은 것은 물론 파괴하는 몬스터의 종족 제한도 없으니 이 카드보다 낫다. 일단 악마의 현신 등으로 릴리스없이 소환했을 경우에도 소환할 수 있다는 점이나 달의 서로 뒤집어서 다시 효과를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완전 하위호환까지는 아니지만 차별화할 거리는 되지 못한다.

드래곤족과 관련된 카드인 주제에 드래곤족도 아니라 서포트 카드나 묘지 자원 요원으로도 못 쓴다. 얕은 무덤, 사황제의 능묘 등으로 소환해도 효과를 쓸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그래도 버스터 블레이더보다 용살이 안 되는 건 여전하다.

에라타로 효과가 뜯어고쳐진 카드 중 하나로, 1기 발매 당시 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구 텍스트
"용살자"가 공격 표시가 되었을 때, 드래곤족 몬스터를 1장 파괴할 수 있다.

요컨대 효과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사용하려면 수비 표시로 소환하고 나서 1턴을 필드에서 버텨야 한다는 소리였다. 이후 현 효과로 에라타되면서 그나마 쓰기가 나아진 것이긴 하지만,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카드나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카드가 계속해서 등장한 현 시점에서는 원래 효과도 활용 여지가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안기기도 한다.

레벨에 비해 공격력이 낮다는 점은 2기부터 말이 많았는지, '밸류어블 북 4'에서는 '제물 없이 쓸 수 있었다면 좋았을 텐데'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다만 이 능력치로 릴리스 없이 통상 소환하기엔 아직 파격적이라는 것 또한 사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배틀 시티 개막 직전에 개발된 듀얼 디스크이시즈 이슈타르에게 받은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을 테스트하기 위해 듀얼 로보와의 듀얼에서 카이바 세토가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한다.[3] 사이버 포드의 효과로 소환된 외눈 거인을 릴리스해서 소환되었으며, 에라타 전 효과로 등장했다. 듀얼 로보가 소환한 푸른 눈의 백룡을 노리고 사용한 카드였지만 다음 턴에 듀얼 로보가 드래곤의 제왕을 소환해버리는 바람에 허사가 되었고, 결국은 그냥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의 소환을 위한 제물이 되었다. 참고로 이때 패가 보여지는걸 보면 레벨이 4인데도 어드벤스 소환을 하는 오류가 있었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1999-09-23 |
[[일본|]][[틀:국기|]][[틀:국기|]] - | Vol.5
2000-11-23 |
[[일본|]][[틀:국기|]][[틀:국기|]] B3-31 | Booster R3
2001-08-30 |
[[일본|]][[틀:국기|]][[틀:국기|]] BC-67 | Booster Chronicle
2002-08-22 |
[[일본|]][[틀:국기|]][[틀:국기|]] DL2-104 | DUELIST LEGACY Volume 2
2004-06-24 |
[[일본|]][[틀:국기|]][[틀:국기|]] BE1-JP101 | BEGINNER'S EDITION 1
2002-10-01 |
[[미국|]][[틀:국기|]][[틀:국기|]] TP2-002 | TOURNAMENT PACK 2ND SEASON
2003-10-01 |
[[미국|]][[틀:국기|]][[틀:국기|]] TP4-006 | TOURNAMENT PACK 4
2005-07-27 |
[[미국|]][[틀:국기|]][[틀:국기|]] DB2-EN101 | DARK BEGINNING 2
2004-11-28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TP2-KR002 | 토너먼트 팩 2
2006-05-14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TP4-KR006 | 토너먼트 팩 4
2006-09-28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BP2-KR101 | 비기너즈 팩 Vol.2

[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SBS 더빙판에서도 이 명칭으로 불렀다.[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7.[3] 원작에서 같은 듀얼에 등장한 암흑 수면으로의 초대의 역할을 대체해서 등장한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