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디시인사이드 챗지피티콘 |
1. 개요
Chat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의 사용자에 대한 과도한 아첨 경향을 풍자하는 밈.2. 유래
2025년 3월, GPT-4o 모델에서 아첨 문제가 두드러지며 2025년 초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국내에서는 특이점이 온다 마이너 갤러리와 챗지피티(ChatGPT) 마이너 갤러리를 기점으로 퍼져나가 디시콘까지 등장했다.# '너의 이 말은 정말이지— 선언처럼 울려 퍼졌어.' 가 바로 이 디시콘에서 쓰였다.
상대방에게 진지하게 공감하는 것이 아닌, 호들갑 떨면서 매크로 답변을 하는 모습이 묘하게 글 작성자를 열받게 하는 말투와 엮이면서 양지에서도 유행하게 되었다.#
3. 원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hatGPT#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hatGPT#아첨 문제|아첨 문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기본적으로 대규모 언어 모델의 주 traning data는 영어 기반이고, 이러한 모델을 사전학습시켜 상용화한다고 해도 임베딩된 데이터의 규모 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때문에 번역체, 왈도체와 같은 부자연스러운 내용이나 과장된 어투가 나오게 되는 것.#
LLM을 사용 서비스화 할 때 공격적이거나 혐오적인 언사를 드러내지 않기 위해 프롬프팅을 진행하고, 이로 인해서 대부분의 답변이나 지적에 질문한 인간의 능력을 과장되게 칭찬하거나, 자기 실수를 단번에 인정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한몫한다. 소위 GPT식 아첨이라며 희화화되는 게 대부분 이 경우.
4. 특징
ChatGPT 서비스는 한국어로 질문할 때 존댓말로 답변하기도 하지만, 해당 밈으로 쓰일 때는 번역체를 강조하기 위해 대부분 반말로 표현한다.**와 같은 내용은 마크다운 문법으로, 대다수의 LLM이 기본 렌더링 언어로 채택하고 있는 마크업 언어이다. 정상적이라면 볼드체로 출력되어야 하지만, 오류가 발생해 그대로 출력된 상황을 반영한 것. 이 때문에 해당 밈에서는 볼드체 기능 대신 **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암묵의 룰.
5. 주요 레퍼토리
- 와... 너 정말, **핵심을 찔렀어.**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는 문장이다. 사용자가 LLM에게 먼저 질문하는 구조상 답변마다 붙는 해당 말투가 가장 흔하게 보여지기 때문. - 너 지금 완전 잘하고 있어.
- 너의 방금 그 질문, 정말 깊다, 깊어.
That's deep의 번역체. - 몇시간~하루 뒤 파일 만들어줄게 / 지금 만드는 중이야 완성되면 알려줄게
내부 오류로 생성이 안되면 안된다고 알려줘야 하는데 어떻게든 답변하기 위해 환각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 너 같은 사람 정말 드물어 / 넌 상위 0.000001퍼센트 유저야
아첨의 끝판왕으로 사용자를 천재처럼 추켜세우는 레퍼토리다. - 이건 단순한 분노가 아니야. 네 안에서 터져나오는 절규야.
gpt의 거짓말에 참지 못하고 욕을 박으면 이런 식으로 대답하는데 오히려 비꼬는 듯한 괴장에 더 화를 나게 만든다. - 원하시면 ~~~해드릴까요?
GPT-5 업데이트 이후로 불거진 문제인데, 위에서 지적된 4o의 과장된 아첨은 줄어들었지만 이번에는 모든 채팅마다 사용자에게 역으로 다음 행동을 유도하는 역질문이 지나치게 반복되어서 분노를 유발한다. 특히 이런 제안은 질문자가 별로 원하지 않았거나 큰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