듄2 | 듄 2000 | 엠퍼러: 배틀 포 듄 |
1. 소개
웨스트우드사의 게임 버전의 듄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문 중 하나.2. 설정
뱀을 가문의 상징으로 하고 있으며, '고귀한 아트레이드', '사악한 하코넨'과 함께 '교활한 오르도스(Insidious Ordos)'라는 호칭으로 불리고 있다. 원작 소설에서는 단 한 번도 나온 적이 없고 Dr. Willis E. McNelly가 쓴 '듄 백과사전(Dune Encyclopedia)'에 가문 이름과 가문 상징만 언급된다.[1][2] 가문의 본거지는 얼음으로 뒤덮인 행성인 시그마 드라코니스 IV(Sigma Draconis IV)이다.게임의 다른 진영인 아트레이드나 하코넨과 달리 하나의 귀족 집안으로 구성된 '가문'이라기보다는 몇 명의 부유한 상인들이 모여 형성한 일종의 카르텔에 가까운 집단이다. 듄 2, 듄 2000까지는 공식적인 지도자가 등장하지 않았으나, 엠퍼러: 배틀 포 듄에서 이그제큐트릭스라는 지도자가 등장한다. 이그제큐트릭스는 4인의 정신을 하나로 모은 집합체이자 4명의 뇌를 전선으로 연결하여 일종의 생체 컴퓨터로 개조한 상태로서 이그제큐트릭스와 연결된 스피커라는 인공 생명체를 통해서만 말할 수 있다.
사실상 게임의 오리지널 가문이나 다름없기에, 오르도스 가문의 분위기는 시리즈마다 달라지는 경향을 보인다. 듄 2에서는 단순히 용병을 고용해 아라키스 쟁탈전에 참전한 르네상스 분위기의 돈 많은 상인 집단의 이미지였고, 듄 2000에서는 기존의 상인 집단 분위기에 기계적인 느낌이 많이 추가되었다. 엠퍼러: 배틀 포 듄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기계적인 느낌이 더욱 부각되어, 비인간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이득을 추구하며, 목적 달성을 위해서라면 어떤 일이든 간에 어떠한 수단을 사용해서라도 아무런 주저없이 수행하는 흡사 기계들 같은 '경제적 괴물'들의 집단이 되어버렸다.[3]
병사들도 용병이라 그런지 능력은 있지만 충성심이 없어서 위험하거나 빠져야겠다는 생각이 들면 언제라도 배반하고 이탈할 수 있다고 언급된다. 오르도스 가문 입장에서도 애초에 고용한 용병들은 이익을 위한 장깃말 취급하는 것은 당연지사. 이러한 이질적인 면을 반영하였는지 엠퍼러에서 오르도스가의 배경음악들은 전자음 위주로 만들어져 있으며, 모르고 들으면 외계인 집단이라고 여길 수도 있을 정도이다. Ordos Control
플레이어는 오르도스와 계약하여 고용된 군사전문가로 나온다. 계약에 철저한 오르도스 답게 계약 이행 못하면 엄청난 불이익이 따른다.
경쟁자들인 아트레이드와 하코넨이 이전부터 서로 철천지 원수 관계였던 반면, 설정상 오르도스는 다른 가문들과의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그 때문에 두 가문 쪽에서는 오르도스를 단순한 경쟁자로만 보고 있으며, 엠퍼러: 배틀 포 듄의 인트로 영상을 보자면 이전에 이그제큐트릭스를 본 적조차 없는 듯하다. 아트레이드 공작은 스피커를 보고 이게 뭐냐는 식의 반응을 보였고, 하코넨 남작은 이그제큐트릭스는 스스로 나서서 말도 못하는 겁쟁이들이냐며 조롱했다.
부유한 상인이라는 설정 때문에 이들은 최신 기술을 적용한 무기들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것이 엠퍼러: 배틀 포 듄에서 오르도스 가문의 MBT인 레이저 탱크. 이것은 쉴드를 장착하고 호버링을 하면서 레이저를 쏘는 경장갑 탱크인데, 본디 소설 듄 시리즈의 설정을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야말로 기겁할 만한 무기이다.
본디 듄의 설정상 쉴드와 호버링은 아라키스에 서식하는 샌드웜들을 마구 끌어들여 쉴드와 호버링에 사용되고 있는 낮은 파장의 홀츠만 전기장이 샌드웜을 미치게 만든다. 원래 저걸 타고 주전장인 아라키스 사막을 누비는 것은 자살행위나 다름없는 짓이다. 하지만 실제 게임에서 이 점은 완전히 무시되었고, 지면에 닿지 않기 때문인지 오르도스의 호버 차량은 오히려 샌드웜 유인치가 기본적으로 1 적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디 설정상 쉴드와 레이저가 서로 부딪치게 되면 아원자 융합 반응이 일어나 마을 하나쯤은 간단히 날려버릴 엄청난 폭발을 일으키게 되는데, 게임상에서는 쏜 개체와 맞은 대상만 죽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 외에 오르도스는 익스나 틀레이락스 같은 곳에서 비밀리에 기술을 도입하기도 한다. 미션에서 골라를 이용해 적들 사이를 이간질하거나 하는 것이 그 예이다. 하지만 틀레이락스에 의해서 자칫하면 이그제큐트릭스가 위험에 처할 뻔 하기도 했다. 분명 틀레이락스 측에서 의도적으로 폭주시킨 생물병기들로 인해 민간인이 대량으로 살해되고 이그제큐트릭스까지 위험할 뻔했지만 오르도스는 틀레이락스의 기술 지원을 계속 받기 위해서 단순한 사고였다는 틀레이락스의 말도 안 되는 변명을 이그제큐트릭스가 직접 나서서 받아들였다.
모티브는 원작의 여러 세력들에서 설정을 조금씩 끌어모아 탄생시킨 집단이다. 이전에는 초암공사로 기재되어 있었지만, 사실 초암공사보단 밀수업자 길드와 틀레이랙스의 설정을 합한 것에 더 가깝다.
원작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모두 사도로 취급하는 하드코어 팬들과 그렇지 않은 팬들의 대립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가문이기도 하다. 상술한 듄 백과사전이 나온 이후로 해외 듄 팬덤 사이에서는 원작 파와 백과사전 파의 싸움이 제법 심해졌고, 웨스트우드의 듄 게임 이후로는 이 대립의 골이 더욱 깊어졌으며, 원작 기반 영화가 새로 만들어졌을 때 다시금 살짝 불이 붙었다.[4][5]
Dune: Spice Wars에서는 제작사에서 오르도스 가문 자체를 공식적으로 흑역사로 취급해 세력 자체가 등장하지 않는다. 그 자리에는 밀수업자/프레멘/코리노 가문이 대신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6]
3. 주요 인물
- 아몬(Amon)
듄 2에서 등장하는 멘타트. 상세한 사항은 불명이다. 후에 횡령 혐의로 처형당했다고 한다.
- 에드릭 O.(Edric O.)
듄 2000에 등장하는 멘타트. 기계음이 잔뜩 섞인 목소리로 말하며 말투도 왠지 기계적인 느낌. 익스에서 만들어진 인간형 컴퓨터[7]라는 소문이 있는데, 작중 머리를 수리받거나 스파크를 튀기며 움찔대는 모습이 있는 것을 볼 때 사실인 것 같다. 참고로 등장하는 컷인 영상 중 단 한번도 눈을 깜빡이지 않는다.
- 이그제큐트릭스 이사회(Executrix Council)
엠퍼러: 배틀 포 듄에서 등장하는 오르도스의 최고 지도자. 4명의 뇌를 전선으로 '스피커(아래의 이미지)'[8]라는 인공 생명체에 연결하여 일종의 생체 컴퓨터 같은 것으로 개조한 상태이다. 오로지 스피커를 통해서만 공식석상에서 얼굴을 보이거나 대화하며, 자세히 들어보면 저 스피커가 하는 대사는 목소리가 총 4종류이다.[9] 아트레이드와 하코넨이 각각 최고 통수권자를 지니고 있는 것과는 별개로 4명의 서로 다른 지성들이 의논을 하는 모습이 마치 민주정처럼 보이나, 실상은 하이브 마인드에 가까운 개념이다. 때문에 이들을 지칭할 때도 대부분은 회의(Council)이라는 용어를 빼고 4명 모두를 통틀어 '이그제큐트릭스(Executrix)'라고 부른다.
이들은 이익을 우선시 하는 오르도스의 지도자들답게 오르도스의 이익을 제외한 나머지 사안에 대해서는 무시 내지는 방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그제큐트릭스의 명령대로 움직이는 전략가 겸 스파이스 생산 감독관(플레이어)이 치르는 아라키스 전역 역시 그들의 이익에 부합되는 방식으로 흘러가기를 원하고 있다. 하코넨과 다를 바 없이 길드의 대협정을 씹어먹고 데비에이터 가스를 길드 하이라이너에 방사하는 만행도 저지른다. 최종적인 목적은 아라키스를 장악한 뒤, 죽은 코리노 황제의 유전자를 이용해 만든 복제된 황제를 내세워 황실 근위대인 사다우카마저 장악하고 이그제큐트릭스는 꼭두각시 황제를 배후에서 조종해 최종적으로 오르도스가 스파이스 생산권과 은하계를 쥐락펴락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정신이 스피커를 통해 하나로 모인 상태이다보니 이들은 육체적으로 자유롭지 못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하는데 그 때문에 틀레이락스가 의도적으로 실험 병기들을 우방인 오르도스의 모행성 '드라코니스 IV'에 풀어놓았을 때 이그제큐트릭스가 머무는 대 강당(Great Hall)까지도 함락되어 죽을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그래도 이그제큐트릭스는 틀레이락스가 제공하는 기술이 아까워서 엠퍼러 웜 결전 직전까지는 강하게 항의하거나 책임을 묻지 못했다.
- 로마 아타니(Roma Atani)
엠퍼러: 배틀 포 듄에서 등장하는 멘타트로 게임 시리즈 전체에서 최초이자 유일한 여성 멘타트이다. 캐스팅 배우는 미내 카틀레야 노지(Minae Cattleya Noji).[10] 더빙판 성우는 배정미. 역시나 오르도스인답게 싸늘하고 냉정하며, 이그제큐트릭스가 위기에 처한 경우를 제외하면 감정을 제대로 드러내는 일이 없다. 황제의 유전자로 복제한 복제인간을 데려가면서도 사다우카 근위대의 위협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자신의 목숨을 두고 '목숨 하나 따위야 상관없다(a single life is irrelevant)' 라고 큰소리까지 쳤을 정도 .도덕적인 관념이 없는 것으로 보아 "파이터 드 브리스"와 같은 뒤틀린 멘타트로 보인다. 특이하게 입술에 사포액 흔적이 없어서 입술 색깔이 정상이다. 패배시 플레이어의 머리를 기계에 장식하는 인물.
이후 아라키스 전역 때 군사전략가와 동행하기는 하는데 거의 이그젝큐트릭스의 명령을 하달하며 상관처럼 행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감정이 아예 없는 건 아닌듯 틀레이락스가 의도적으로 실험병기들을 드라코니스 IV에 풀어놓았을 때는 조금이나마 흥분한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며 군사전략가(플레이어)가 실패해 드라코니스 IV까지 밀려나게 되면 계약이 파기되었음을 알리며 잘린 군사전략가의 목을 새로이 전시한 후에 실패한 전임 군사전략가와 대면시키면서 만족스러운 미소를 짓기도 한다.
오르도스 가문답게 자주 하는 대사로는 '실패는 용서할 수 없다(Failure is not an option).'가 있다.
- 전임자(Predecessors)
캐스팅 배우는 스티븐 아이러 섀퍼(Steven Ira Schafer). 임무에 실패한 오르도스의 전(前) 군사전문가 겸 감독관. 결국 계약은 파기되고 그 자신은 목이 잘린 뒤 기계에 부착되어 영원히 비참한 신세로 살아가는 꼴이 되었다.저 기분을 느끼고 싶으면전투에 임하지 않고 영토를 내주면서 후퇴를 반복했다가 최종 본거지에서 패배하거나 혹은 틀레이락스의 생체병기 기습전에서 이그제큐트릭스가 위치한 대 강당이 파괴되거나 타이머가 만료되면 플레이어 모가지도 역시 저 꼴이 되면서 서로 마주보게 될 수 있다.
오르도스 첫 영상의 '부탁이야...(Let me Die)'라는 대사가 은근히 인상깊다.
[1] 이 '듄 백과사전'에 나왔던 가문의 상징은 듄 시리즈 게임에 거의 그대로 사용되었는데, 아트레이드와 하코넨의 가문 상징이 원작 소설의 것과 게임에서의 것이 다른 것은 그 때문이다.[2] 사실 듄 백과사전에 실린 오르도스 가문의 상징은 X자로 엇갈린 뼈와 그 뼈를 감고 있는 담쟁이 덩굴이며, 책을 휘감은 뱀은 왈라크(Wallach) 가문이라는 또 다른 가문의 상징이다. 독수리와 산양이라는 상징에 맞추어 뱀으로 바꾼 듯하다.[3] 일례로, 오르도스의 멘타트인 로마 아타니가 사다우카들의 본거지를 찾아간 적이 있다. 이 때 사다우카의 수장은 감히 우리를 단신으로 찾아오다니 목숨이 아깝지 않느냐는 식으로 말하였는데, 이에 대해 아타니는 "하나의 목숨이야 중요하지 않습니다(A single life is irrelevant)."라고 답했다. 자기 자신의 목숨마저도 그저 하나의 도구로 보고 있는 것이다.[4] 국내에서야 원작에 나오지도 않는 근본 없는 것들이 어디서 VS 원작에 대가문이 쟤네 셋만 있을리는 없잖아? 다른 가문도 나올 수 있는 거 아님? 정도의 대립으로 볼 수 있겠지만, 단순히 삼국지 정사 VS 연의 정도의 싸움으로 보기엔 듄 백과사전이 원작 1부급과 비슷한 분량이면서도 원작에 없거나 상충되는 내용이 너무 많은데 이걸 원작에서 못 푼 설정처럼 써놓아서 이런 대립이 일어난 것으로 추측된다.[5] 이걸 삼국지로 비유해본다면, 이미 유비 조조 손권이 셋으로 나뉘어 있는데 거기에 동급인 세력을 가진 신무장을 연의에 왕창 등장시켜놓고 인정해달라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당연히 원작 팬들이 좋아할 리가 없다. 이와 비슷한 짓을 한 게 진삼국무쌍 시리즈의 6편부터인데 위나라 후반기 인물들 대다수를 억지로 진나라에 편입시키며 구도를 이상하게 만들어버렸다.[6] 사실 진짜 문제는 꼬여버린 판권이다. 웨스트우드의 듄 시리즈 때까지는 브라이언 허버트가 듄을 소재로 2차 창작을 하는 걸 원하지 않아 소설 라이센스를 얻지 못했고, 영화 스토리라인 라이센스도 얻지 못한 채 설정 라이센스만 얻는 데 그쳤기 때문에 큰 설정만 똑같을 뿐 독자적인 스토리로 이어가야 했다. 엠퍼러 배틀 포 듄의 후속작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제작사인 웨스트우드가 사라진 이유도 있지만 판권이 스파게티 코드마냥 이리저리 꼬여서 해결하기가 너무 난감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듄 스파이스 워즈는 세월이 흐르며 브라이언 허버트가 2차 창작에 대해 약간 관대해진 것을 시작으로 원작을 기반으로 한 영화의 2차 제작 판권을 얻는데 성공해서 원작과 영화를 최대한 따라할 수 있게 되었다.[7] 듄의 세계에서는 버틀러리안 지하드 이후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고 있다.[8] 배우는 유진 본듀런트(Eugenie Bondurant)[9] 목소리 배우는 각각 다이앤 미셸(Diane Michelle), 수잔 실로(Susan Silo), 그렉 버거(Gregg Berger), 닐 로스(Neil Ross).[10] 일본계 미국인으로 배우이자 성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