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2 00:55:36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파일:러시아 제국 국장.svg
러시아 제국 해군 흑해함대 사령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c33, #ffcc33 20%, #ffcc33 80%, #ffcc33); color: #80008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80008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페도트 클로카쵸프 야코프 수호틴 니콜라이 모르드비노프 마르코 보이노비치
<rowcolor=#80008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표도르 우샤코프 니콜라이 모르드비노프 빌림 폰 데진 이반 트라베르스
<rowcolor=#80008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로만 갈 니콜라이 야지코프 알렉세이 그레이그 미하일 라자레프
<rowcolor=#800080>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모리츠 베르흐 니콜라이 메틀린 알렉산드르 판필로프 그리고리 부타코프
<rowcolor=#800080>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보그단 글라제나프 니콜라이 아르카스 미하일 망가나리 알렉세이 페슈로프
<rowcolor=#800080>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로만 그렌크비스트 니콜라이 코피토프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세르게이 티르토프
<rowcolor=#80008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야코프 길테브란트 니콜라이 스크리들로프 알렉산드르 크리게르 그리고리 추흐닌
<rowcolor=#800080>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이반 그리고로비치 니콜라이 스크리들로프 겐리흐 치빈스키 로베르트 비렌
<rowcolor=#800080>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이반 보스트렘 블라디미르 사르나브스키 이반 보스트렘 파벨 노비츠키
<rowcolor=#800080> 제37대 제38대 제39대
안드레이 에베르가르트 알렉산드르 콜차크
<rowcolor=#000> 러시아국군 흑해함대
<rowcolor=#800080>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베니아민 루킨 알렉산드르 네미츠 미하일 사블린 알렉산드르 티흐메네프
<rowcolor=#800080> 제44대 제45대 제46대 제47대
바실리 카닌 미하일 사블린 드미트리 네뉴코프 미하일 사블린
<rowcolor=#800080> 제48대 제49대 제50대
알렉산드르 게라시모프 미하일 사블린 미하일 케드로프
<rowcolor=#fff> 남러시아군 흑해함대
<rowcolor=#800080> 제51대 제52대
미하일 케드로프 미하일 베렌스
<rowcolor=#000> 우크라이나 인민군 흑해함대
<rowcolor=#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미하일 사블린 미하일 오스트로그라드스키 뱌체슬라프 클로치콥스키 니콜라이 막시모프 }}}
}}}}}}

<colbgcolor=#666633><colcolor=#fff>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Евге́ний Алексе́ев
Yevgeni Alekseyev
<nopad> 파일:1000096084.jpg
이름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알렉세예프
Евге́ний Ива́нович Алексе́ев
Yevgeni Ivanovich Alekseyev
출생 1843년 5월 13일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 1917년 5월 27일 (향년 65세)
러시아 공화국 타우리다현 얄타
복무 러시아 제국 해군
복무 기간 1859년 ~ 1904년
최종 계급 대장
주요 참전 의화단 운동
러일전쟁
주요 서훈 성 게오르기 훈장 3등급
성 블라디미르 훈장 1, 2, 3, 4등급
성녀 안 훈장 1, 2급
성 스타니슬라프 훈장 1, 2등급

1. 개요2. 생애

1. 개요

러시아 제국의 군인.

2. 생애

1843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일설로는 알렉산드르 2세의 사생아라고 하지만 확실하진 않다. 이후 입양되어 세바스토폴에서 성장했다. 해군 사관후보생으로 입교해 3년간 교육 후 장교로 임관했다. 여러 함선을 거치며 전투보단 세계 일주에 참가했다.

1889년 호위순양함 코르닐로프의 함장이 되었고 니콜라이 2세의 눈에 띄게되어 1892년 준장으로 진급해 해군본부 부장이 되었다. 1895년 태평양함대 사령관, 1897년 소장으로 진급하고 흑해함대 부사령관이 되었다. 이후 관동관구 사령관으로 의화단 전쟁 당시 만주를 점령한 공으로 중장으로 진급했다.

1902년 일본과의 관계에 관해 갑론을박이 심했는데 알렉세예프는 뱌체슬라프 플레베, 알렉산드르 베조브라조프와 함께 한반도를 장악하기 위해선 일본과의 관계를 강경하게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결과 러일전쟁이 발발하고 대장으로 진급해 육해군총사령관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해상, 지상 양 쪽에서 밀리고 있었고 공세를 명령했으나 알렉세이 쿠로팟킨은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이야기하며 갈등을 빚었다. 러시아 내부에서도 알렉세예프에 대해 책임론이 거두되고 있어서 결국 육군 지휘권에 대해 사임했다.

1905년 군계에서 예편하고 추밀원 의원이 되었고 그와 동시 교사로 일했다.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자 사임하고 크림 반도로 이주했으나 1917년 얄타에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