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7:48:46

열대송사리아목

열대송사리목에서 넘어옴

열대송사리아목
Cyprinodontoidei
파일:Poecilia wingei.jpg
학명 Cyprinodontoidei
L. S. Berg, 1940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색줄멸목(Atheriniformes)
아목 열대송사리아목(Cyprinodontoidei)
하위 분류
[ 펼치기 · 접기 ]
네눈박이송사리과(Anablepidae)
아파니우스과(Aphaniidae)
무지개송사리과(Aplocheilidae)
쿠바니크티스과(Cubanichthyidae)
열대송사리과(Cyprinodontidae)
플루비필락스과(Fluviphylacidae)
푼둘루스과(Fundulidae)
고오데아과(Goodeidae)
노토브란키우스과(Nothobranchiidae)
오레스티아스과(Orestiidae)
판타노돈과(Pantanodontidae)
포이킬리아과(Poeciliidae)
프로카토푸스과(Procatopodidae)
프로푼둘루스과(Profundulidae)
리불루스과(Rivulidae)
발렌키아과(Valenciidae)

1. 개요

[clearfix]

1. 개요

색줄멸목 열대송사리아목에[1] 속하는 어류의 총칭. 이름에 걸맞게 모든 종이 열대 기후에서 서식한다. 열대성 어류인 만큼 저온에 매우 취약해 한반도에서는 한 종도 자생하지 않지만 온수가 꾸준히 공급되는 발전소 등의 일부 지역에서는 살아남아 번성할 수 있다.

대다수의 종이 난태생이며 뛰어난 먹성과 번식력을 지니고 있다. 이때문에 관상어로 인기가 많은 어종들이며 동네 수족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종류들이 많다. 대표적인 종은 바로 구피.

같은 목의 송사리와는 생김새와 습성이 거의 비슷하지만 실제로는 아목 단위에서 달라 그렇게 가까운 동물은 아니다. 또한 최근에 나타난 극기상목 중에서도 최근에 분화된 종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24년 연구 결과에 따라 색줄멸목의 하위 분류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