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커스상 SF 장편소설 부문 수상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 <rowcolor=#fff> 제8회 (1978년) | 제10회 (1980년) | 제11회 (1981년) | 제12회 (1982년) | 제13회 (1983년) |
Gateway 프레데릭 폴 | Titan 존 발리 | The Snow Queen 조안 D. 빈지 | The Many-Colored Land 줄리안 메이 | 『파운데이션의 끝』 아이작 아시모프 | |
<rowcolor=#fff> 제14회 (1984년) | 제15회 (1985년) | 제16회 (1986년) | 제17회 (1987년) | 제18회 (1988년) | |
『스타타이드 라이징』 데이비드 브린 | The Integral Trees 래리 니븐 | 『포스트맨』 데이비드 브린 | 『사자의 대변인』 오슨 스콧 카드 | The Uplift War 데이비드 브린 | |
<rowcolor=#fff> 제19회 (1989년) | 제20회 (1990년) | 제21회 (1991년) | 제22회 (1992년) | 제23회 (1993년) | |
Cyteen C. J. 체리 | 『히페리온』 댄 시먼스 | 『히페리온의 몰락』 댄 시먼스 | 『바라야 내전』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 『둠즈데이 북』 코니 윌리스 | |
<rowcolor=#fff> 제24회 (1994년) | 제25회 (1995년) | 제26회 (1996년) | 제27회 (1997년) | 제28회 (1998년) | |
Green Mars 킴 스탠리 로빈슨 | 『미러 댄스』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 『다이아몬드 시대』 닐 스티븐슨 | Blue Mars 킴 스탠리 로빈슨 | The Rise of Endymion 댄 시먼스 | |
<rowcolor=#fff> 제29회 (1999년) | 제30회 (2000년) | 제31회 (2001년) | 제32회 (2002년) | 제33회 (2003년) | |
『개는 말할 것도 없고』 코니 윌리스 | 『크립토노미콘』 닐 스티븐슨 | The Telling 어슐러 K. 르 귄 | Passage 코니 윌리스 | 『쌀과 소금의 시대』 킴 스탠리 로빈슨 | |
<rowcolor=#fff> 제34회 (2004년) | 제35회 (2005년) | 제36회 (2006년) | 제37회 (2007년) | 제38회 (2008년) | |
『일리움』 댄 시먼스 | The Confusion The System of the World 닐 스티븐슨 | Accelerando 찰스 스트로스 | Rainbows End 버너 빈지 | 『유대인 경찰연합』 마이클 셰이본 | |
<rowcolor=#fff> 제39회 (2009년) | 제40회 (2010년) | 제41회 (2011년) | 제42회 (2012년) | 제43회 (2013년) | |
Anathem 닐 스티븐슨 | Boneshaker 셰리 프리스트 | 『블랙아웃』 『올 클리어』 코니 윌리스 | Embassytown 차이나 미에빌 | 『레드셔츠』 존 스칼지 | |
<rowcolor=#fff> 제44회 (2014년) | 제45회 (2015년) | 제46회 (2016년) | 제47회 (2017년) | 제48회 (2018년) | |
Abaddon's Gate 제임스 S. A. 코리 | 『사소한 칼』 앤 레키 | 『사소한 자비』 앤 레키 | 『사신의 영생』 류츠신 | 『무너지는 제국』 존 스칼지 | |
<rowcolor=#fff> 제49회 (2019년) | 제50회 (2020년) | 제51회 (2021년) | 제52회 (2022년) | 제53회 (2023년) | |
The Calculating Stars 메리 로비네트 코왈 | The City in the Middle of the Night 찰리 제인 앤더스 | Network Effect 마샤 웰스 | A Desolation Called Peace 아르카디 마틴 | The Kaiju Preservation Society 존 스칼지 | |
<rowcolor=#fff> 제54회 (2024년) | 제55회 (2025년) | 제56회 (2026년) | 제57회 (2027년) | 제58회 (2028년) | |
System Collapse 마샤 웰스 | - | - | - | - |
일반 커버 표지.
댄 시먼스의 SF 소설 히페리온과 히페리온의 몰락 이후 이야기를 다룬 소설.
주인공은 히페리온 행성의 사냥 가이드로 살아가던 27세 청년 라울 엔디미온, 브라운 라미아와 존 키츠 사이브리드 사이에서 태어난 딸인 신비로운 12세 소녀 이니아, 마틴 실레노스의 수발을 들던 안드로이드 A.베틱, 그리고 슈라이크(!)다.
헤게모니 연방이 몰락한 뒤, 파쳄 행성을 근거지로 하는 가톨릭 교단과 그들의 사설 군대 PAX가 사실상 우주의 슈퍼파워로 떠올랐다. 이들은 인간의 영생을 보장하는 '십자가형'을 인질로 삼아 인류를 경제적, 정치적, 이데올로기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이에 맞서 인류를 종교의 압제로부터 구원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새로운 메시아이자, 히페리온의 몰락에서도 예고됐던 가르치러 오실 분The One who teaches으로 선택된 자가 바로 브라운 라미아의 딸 이니아.
하지만 그녀는 아직 세상물정 모르고
후속작으로는 엔디미온의 각성(The Rise of Endymion)이 있으며, 아직 한국에는 번역판이 나오지 않았다.
DanceDanceRevolution A의 수록곡 ENDYMION은 이 소설에 영향을 받아 쓰인 곡이라고 코멘트에 언급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