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 ||
<colbgcolor=#00529c><colcolor=#ff0> 발생일 | 2024년 7월 16일 | |
발생 위치 | 이와테현 태평양 상공 부근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사고기 | 보잉 보잉 787-9 드림라이너 | |
운영 기관 | 에어프레미아 | |
출발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뉴저지주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 | |
도착 예정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인천광역시 인천국제공항 | |
회항지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도쿄 국제공항 | |
기체 등록번호 | HL8389 | |
유형 | 승객 의식 불명 | |
탑승 인원 | 승객: 272명 승무원: 10명 | |
인명피해 | <colbgcolor=#00529c><colcolor=#ff0> 사망 | 승객: 1명 |
생존 | 승객: 271명 승무원 10명 전원 생존 |
[clearfix]
1. 개요
2024년 7월 16일, 미국 뉴욕의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발 인천의 인천국제공항행 비행 중 발생한 회항 사고.2. 사고 기체
HL8389 | |
| |
사고 15일 후 일본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HL8389 | |
<colbgcolor=#f5f5f5,#2d2f34> 등록번호 | HL5212 |
제조사 | 보잉 |
기종 | 보잉 787-9 드림라이너 |
기령 | |
생산지 | [[틀:국기| ]][[틀:국기| ]][[틀:국기| ]] |
최초 비행일 | |
최초 인도 항공사 | [[틀:국기| ]][[틀:국기| ]][[틀:국기| ]] |
에어프레미아 도입일 |
3. 사고 진행
YP132편이 일본 상공에 접근하던 중 40대 한국인 여성이 갑작스레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그 후 간호사 자격을 가진 승무원과 간호사인 승객이 비상의료용 약물을 투여하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으나 의식이 돌아오지 않았다. 결국 항로상 가장 가까웠던 도쿄 하네다에 비상 착륙 후 현지 구급대에 인계하여 도쿄의 한 대학병원으로 이송했으나 끝내 사망했다.4. 사고 이후
40대 여성은 항공기 탑승 시 지병 여부를 알리지 않았으며 기내에서는 심정지로 이어질 만한 상황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일본 경찰이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고 에어프레미아 측은 설명했다.이 사고의 영향으로 132편은 당초 예정보다 2시간 30분 정도 지연되어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했다.
5. 언론 보도
그 외 다수의 국내외 언론이 보도했다.
6. 기타
- 에어프레미아 창사 이래 사망자가 발생한 최초의 사고다. 또한 2024년 두 번째 민항기 사망사고이다.
7.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 |
영어 | Air Premia Flight 132 |
한국어 | 에어프레미아 132편 회항 사고 |
8. 관련 문서
[1] 에어프레미아는 하네다 공항이 아닌 나리타 국제공항에 취항한다.[2] 에어프레미아가 저비용 항공사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다. LCC라고 하기에는 높은 서비스 품질과 보잉 787 드림라이너 같은 중대형 항공기, 미주노선 등 장거리 노선 운항 등이 그 이유인데 대표적인 FSC인 대한항공보다는 비용이 저렴한 점 등을 토대로 나무위키에서는 에어프레미아를 일단 저비용 항공사로 간주한다.[3] 두 번째 사망사고는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이며, 두 사고 모두 2024년에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