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21:26:02

에스테우리 루이즈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투수 7 스넬 · 11 사사키 · 18 야마모토 · 28 밀러 · 31 글래스나우 · 35 스톤 · 41 스튜어트 · 43 반다 · 48 그라테롤 · 49 트라이넨 · 51 베시아 · 60 엔리케스 · 61 클라인 · 63 허트 · 65 저베이스 · 66 스캇 · 70 로블레스키 · 77 라이언 · 78 캐스패리우스 · 80 시핸 · 86 드라이어 · 96 · #
포수 16 스미스 · 68 러싱
내야수 5 프리먼 · 6 김혜성 · 13 먼시 · 25 에드먼 · 50 베츠 · 76 프릴랜드
외야수 12 · 27 루이즈 · 37 T.에르난데스 · 44 파헤스 · # 워드
투타겸업 17 오타니
''''''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브 로버츠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 레만 파일:미국 국기.svg 애런 베이츠 ·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반 스코욕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프라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디노 에벨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바드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맥기니스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우드워드 파일:미국 국기.svg 밥 게런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든 맥대니얼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오클라호마시티 코메츠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파일:털사 드릴러스 엠블럼.svg 산하 AA팀 로스터 보기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27번
아메드 로사리오
(2024)
에스테우리 루이즈
(2025~)
현역
파일:다저스에스테우리루이즈.jpg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No.27
에스테우리 루이즈
Esteury Ruiz
본명 에스테우리 루이즈 레예스
Esteury Ruiz Reyes
출생 1999년 2월 15일 ([age(1999-02-15)]세)
아수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도미니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도미니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3cm | 77kg
포지션 외야수[1]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15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KC)
소속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2)
밀워키 브루어스 (202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3~202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5~)
토로스 델 에스테 (2018/19, 2021/22~2022/23)
계약 Pre-Arb / $760,000
연봉 2025 / $760,000
파일:MLB 로고.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경력5. 연도별 성적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외야수.

2. 선수 경력

2.1.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파일:파드리스루이즈.jpg

2.2. 밀워키 브루어스

파일:브루어스에스테우리.jpg

2022년 8월 1일, 조시 헤이더를 상대로 테일러 로저스, 디넬슨 라멧, 로버트 개서와 함께 밀워키로 트레이드되었다.

2022년 마이너에서 무려 80도루를 기록했다.

2.3.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파일:에스테우리루이즈.jpg

2022년 12월 12일, 션 머피가 포함된 삼각 트레이드를 통해 오클랜드로 이적했다.

ATL get : 션 머피 (from OAK)
OAK get : 카일 뮬러, 프레디 타녹, 매니 피냐, 로이버 살리나스 (from ATL), 에스테우리 루이즈 (from MIL)
MIL get : 윌리엄 콘트레라스, 저스틴 이거 (from ATL), 조엘 파이암프스 (from OAK)

이적 이후 오클랜드가 그리 원하던 든든한 외야수가 되었다. 5월 23일 기준 준수한 타율인 2할 8푼에 AL 도루 1위를 기록중이다. 션 머피를 주고 데리고 온 선수들 중 준수한 활약을 하고 있다.

전반기가 끝나지 않았는데 6월 18일 기준 36도루를 달성, 도루 2위인 완더 프랑코와의 차이를 12개로 벌리면서 아메리칸 도루왕을 확정지으려 하고 있다. 지난 시즌 AL 도루왕을 차지한 호르헤 마테오의 35도루를 넘은 것은 덤.

6월 27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도루를 추가하며 40도루를 달성하였다. 이날 경기가 시즌의 정확히 절반인 81번째 경기임을 감안하면, 이론상 80도루도 가능한 페이스.

그러나 도루왕과 80도루를 찍을 페이스임에도 2023 시즌 올스타에 선정되지 못했다. 아무래도 테이블 세터임에도 낮은 타율과 출루율로 부진에 허덕이는 점으로 인해 공격지표는 사실상 도루 원툴 타자인 것이 약점. 반면 이번 오클랜드 최고 히트작인 브렌트 루커는 올스타에 초청되었다.

시즌 최종 67도루로 도루왕을 차지했으나, 출루율은 3할을 겨우 넘었고 중견수 수비도 끔찍해서 bWAR은 음수를 찍었다.

24시즌 주전으로 시작했지만 주력은 뛰어나나 그 주력을 살리기 위한 출루를 못하다 보니 결국 4월 1일 트리플A로 옵션되었다. 그렇게 2주 뒤 15일에 다시 콜업되었지만 철저하게 대타나 체력안배용 백업선수로 밀려난 상황이다. 복귀 이후에는 출루율이 상승했다가 내려갔다가를 반복하는 중이다.

2025년 3월 30일 웨이버 클레임으로 영입된 앙헬 페르도모의 40인 로스터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DFA되었다.

2.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5년 4월 2일 마이너 투수 카를로스 듀란을 상대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웨이버 트레이드되었다.

7월 3일 콜업되었다.

7월 4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전에서는 다저스 유니폼을 입고 첫 안타를 기록했다.

콜업 이후 19경기에서 21타수 4안타를 기록한 뒤 8월 7일 다시 AAA로 내려갔다.

3. 플레이 스타일

한시즌 80도루까지 할 수 있는 29ft/s 이상의 스프린트 속도에 달하는 빠른 발을 가지고 있는 준족형 테이블세터에 가까운 타자지만 문제는 타격이 심각하고 눈야구가 안되어서 출루율이 낮은 편이다.

출루만 하면 도루 성공이 높아 안타를 2루타로 만드는 무서운 타자이지만 출루율이 낮기에 이전 구단서 포기한 타자이기도 하다.

빠른 발을 활용해 수비 범위가 넓다.

4. 수상 경력

수상 내역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도루 1위 (2023)

5.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에스테우리 루이즈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22 SD/MIL 17 36 6 1 1 0 3 2 1 1 7 .171 .194 .257 .452 -0.3 -0.5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23 OAK 132 497 114 24 1 5 47 47 67 20 99 .254 .309 .345 .654 1.2 -0.3
2024 29 65 11 2 1 2 10 8 5 4 20 .200 .270 .382 .652 -0.2 -0.1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25 LAD 19 23 4 0 0 1 2 2 4 2 8 .190 .261 .333 .594 0.0 -0.2
MLB 통산
(4시즌)
197 621 135 27 3 8 62 59 77 27 134 .241 .296 .343 .639 0.7 -1.2

6. 여담

7. 둘러보기

에스테우리 루이즈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도루왕
호르헤 마테오
(볼티모어 오리올스)
에스테우리 루이즈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호세 카바예로
(탬파베이 레이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43번
트레이스 탐슨
(2022)
에스테우리 루이즈
(2022)
잭슨 울프
(2023)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13번
마크 마타이아스
(2020~2022)
에스테우리 루이즈
(2022)
에이브러햄 토로
(2023)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1번
케빈 스미스
(2022)
에스테우리 루이즈
(2023~2024)
덴젤 클라크
(2025~)
}}} ||

[1] 빠른 발을 살리기 위해 주로 중견수로 출전하나 코너 외야수도 무난하게 소화한다.